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67

[전략경영] 기업의 다각화 전략 - 다각화 전략의 추세 및 효과 다각화와 관련된 관점의 변화: 미국의 경우 다각화로 인한 가치 창조 다각화에 대한 접근방법 1960년 일반적인 경영관리기술 ➔ 콩글로머릿(복합기업)의 등장 콩글로머릿의 취약한 경영성과 1970년대 포트폴리오관리기술 기획조정실의 대두 ➔ 경영자원의 효율적 배분 1980년대 다각화된 이질적인 사업분야에 대한 관리능력 부족, 국제경쟁력 악화 1990년대 ~2000년대 핵심역량적 접근 ➔ 리스트럭처링 주력사업으로 회귀 30대 재벌의 관련다각화와 비관련다각화 엔트로피지수(1987~2009) 미국은 관련다각화가 많은 편이며 국내 및 일본은 비관련다각화가 높은 편이었음. IMF시기 - 여러 계열사가 저가매물로 나오며 인수합병되며 일시적으로 비관련다각화 지수가 ↗. 1990년대 후반~2000년 이후 - 인수합병후 오히.. 2021. 10. 30.
[전략경영] 기업의 다각화 전략 - 다각화의 유형 및 다각화 동기 다각화란? 한 기업이 서로 다른 여러 산업에 참여하는 것 다각화의 종류 관련다각화 : 제품 및 지역차원에서 관련된 산업에 집중 비관련다각화 : 제품 및 지역차원에서 서로 관련되지 않는 산업에 참여 수직적통합 : 한 기업이 완제품과 부품생산을 병행 다각화의 목적 다각화가 항상 기업의 수익률을 향상시키려는 목적에 의해서 이루어지지는 X 성장추구 성장만을 위한 다각화는 기업이 수익성에 악영향 성장을 위한 다각화는 조직 내부의 구성원들에게 승진기회 제공 과거 한국기업의 다각화는 자본시장이 낙후된 상황에서 금융시장을 통한 자금조달에 도움이 되기도 위험회피 경기순환으로 개별 사업부문들이 직면하는 위험을 줄일 수 있음 기업의 다각화만으로 해당 기업이 가진 체계적인 위험을 줄이지는 X → 단점 범위의 경제의 활용 한 .. 2021. 10. 30.
[노인과문화] 문화 속 노인과 건강 - 노년기의 치매 ○ 치매의 정의 어원 : dementatus (정신이 나간 상태) WHO의 정의 : 뇌의 기능저하로 발생하는 인지장애로 대개 만성적이고 진행성으로 나타나며, 기억력, 사고력, 지남력, 이해력, 계산능력, 언어 및 판단능력 등을 포함하는 고도의 피질기능의 다발성 장애 ○ 치매의 주요 증상 기억장애 시공간 능력 저하 이해판단력의 저하 실행능력의 장애 ○ 치매 조기발견의 중요성 증상의 원인을 추정함 : 치료방침과 지원방법을 정하고, 현실적으로 대응이 가능함. 병을 이해할 수 있는 시점에서 검진 : 조금씩 이해를 더해가면서 생활상의 장애를 줄일 수 있고 이후에 생길 수 있는 문제를 줄일 수 있음 치료가능한 병이거나 일시적인 증상인 경우 : 장기간 방치하면 회복이 불가능할 수 있음 ○ 치매에 대한 부정적 인식 질.. 2021. 10. 24.
[노인과문화] 문화 속 노인과 건강 - 노년기의 암 노인 암환자 실태(2018년) 연령군별 조발생률 분석결과에 따르면 ▲0~14세 : 14.6명 ▲15~34세 : 71.7명 ▲35~64세 : 485.4명 ▲65세 이상 : 1563.4명으로 만 65세 이상에서 암 발생률이 급격히 증가 고령층 암 환자 증가 이유 중 하나는 인구고령화이기도 함 만 65세 이상 전체인구(738만9477명)의 12.3%가 암 치료 중이거나 암 완치 후 생존하고 있음 출처: https://www.khan.co.kr/life/health/article/202102250847002#csidx1e52b780d9deec895dc2460f6907a10 암으로 인한 노인 사망률 2018년 65세 이상 고령자의 사망원인 1위는 암으로 인구 10만 명당 763명 암 종류별 사망률 : 폐암이 인구.. 2021. 10. 24.
[노인과문화] 문화 속 노인과 건강 - 한국 노인의 건강실태 1. 건강상태 측정방법 기능 정도에 따라 질병의 유무와 관계없이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기능을 잘 할 수 있는지 개인의 주관적인 판단에 의해 측정 지역사회 내에서의 자립적인 일상생활과 사회적인 활동의 가능여부로 측정 신체적 질병의 유무에 따라 의사의 진단에 따른 질병 유무를 객관적으로 판단 2. 한국 노인의 건강실태 주요 건강상태 주관적 건강상태 : 자신의 건강상태가 좋다는 응답(2008년 24.4%→2017년 37.0%→2020년 49.3%)이 증가 우울증상을 보이는 비율은 감소해 주관적 건강상태의 긍정적 변화와 유사한 흐름을 보이고 있음 (2008년 30.8%→2017년 21.1%→2020년 13.5%) 우울증상을 보이는 남자노인은 10.9%, 여자노인은 15.5%이며, 연령이 높아질수록 우울증상이.. 2021. 10. 24.
[노인과문화] 문화 속 노인과 건강 - 노년기 건강에 대한 이해 1. 노년기 건강의 중요성 WHO(세계보건기구) 건강의 정의 단순히 질병이 없거나 허약하지 않은 상태만 말하는 것이 아니라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및 영적으로 완전히 안녕한 상태 건강의 종합적인 면을 강조하고, 이상적인 상태를 의미함 건강의 중요성(Shanas & Maddox, 1976를 최성재, 장인협, 2008에서 재인용) 생물학적 존재인 인간의 생명을 유지시켜 주는 핵심적인 요소. 개인의 일상생활을 영위하고 개인의 목표를 달성해 나가는데 필수적인 요건 결혼생활, 가정생활, 사회생활에서의 역할 수행을 위한 중요한 요인 자아상을 긍정적으로 유지하고, 인간관계에서 소외, 고립 되지 않고 사회에서의 삶의 주류 속에서 자신을 통합하도록 함 노년기 건강의 중요성 건강 유지가 노년기 삶의 만족을 좌우함 신체 .. 2021. 10. 24.
[노인과문화] 문화 속 노인과 일, 은퇴 - 노년기 경제활동의 실제 노년기 경제활동의 현황 (강은나, 2015). 65세 이상 노인 가운데 28.9%가 경제활동 참여(2014년) 2004년 30.8%, 2008년 30.0%, 2011년 34.0%에 비해 낮아짐 * 용어 설명 최장기 일자리 퇴직 : 일생동안 가장 오래 다닌 직장에서 퇴직 점진적 퇴직 : 최장기 직장을 그만둔 이후 다시 근로활동을 한 적이 있으나, 현재는 일을 하지 않은 상태 가교일자리 : 생애 주된 일자리를 그만두고 새로운 일자리에서 활동 전체 근로노인의 43.5%는 65~69세에 해당되고 70~74세 노인은 29.8%로 근로노인의 약 3/4은 75 세 미만 생활비 마련을 위해 일을 하고 있는 노인과 용돈 마련을 위해 일을 한다는 노인은 각각 79.3%과 8.6%로 소득마련을 위한 경제활동 참여노인이 약8.. 2021. 10. 23.
[노인과문화] 문화 속 노인과 일, 은퇴 - 노년기와 일 1. 노년기 경제생활의 특징 노년기 경제생활의 변화 노년기 경제생활 유형은 개인의 교육수준, 노동능력, 가족구성과 생활주기, 일생 동안의 소득, 소비와 저축 패턴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어 개인차가 큼 일반적인 개인생활주기를 근거로 볼 때, 20대 후반에 취업을 하여 40대 후반에서 50대 초반에 소득이 최고조에 이름 약 55세부터는 소득이 줄어들지만 가계지출은 이전과 유사하거나 오히려 증가 65세 이후에는 건강문제나 재취업 기회의 제한으로 인해 무소득상태에 이르러 경제적 의존도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임 노년기에는 소득의 격감 또는 상실을 경험하지만 기본적인 생계유지를 위한 일상생활비 지출은 다소 감소한 선에서 유지됨. 단, 의료비의 증가로 인해 적자 가계상태로 전락할 수 있음 노년기에는 가계의 수지 균형 유.. 2021. 10. 23.
[노인과문화] 문화 속 노인과 일, 은퇴 - 노년기 은퇴생활 1. 퇴직의 단계 단계 주요 특성 퇴직 전 단계 먼 단계: 은퇴에 대한 막연한 인식 근접단계: 은퇴를 의식하게 되고, 말년의식을 보이거나 퇴직 후 생활에 대한 환상을 가지기도 함 밀월단계 일에서의 해방으로 인해 도취된 시기 대부분의 시간을 자신의 관심사나 흥미와 관련된 영역에 소모 경제적 지출이 요구되므로 재정상태에 따라 밀월단계 지속기간이 결정됨 안정단계 퇴직이전에 퇴직 후 활동이나 사회적 관계에 대한 선택을 한 사람일수록 퇴직 후 생활이 쉽게 안정화됨 휴식단계 활동적인 밀월단계와는 대조적으로 전체적인 활동량이 줄어들게 됨 충분한 이완과 휴식을 취하면서 지난 생을 반추해 보고 퇴직 이후의 생활계획을 수립함 환멸단계 퇴직생활에 대한환상에서 벗어나 실망하거나 우울을 경험함 퇴직 전 단계에서 퇴직에 대해 비.. 2021. 10.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