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필기-교양/노인과 문화

[노인과문화] 문화 속 노인과 건강 - 한국 노인의 건강실태

2021. 10. 24.
320x100

 

 

1. 건강상태 측정방법

 

기능 정도에 따라

  • 질병의 유무와 관계없이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기능을 잘 할 수 있는지
    개인의 주관적인 판단에 의해 측정
  • 지역사회 내에서의 자립적인 일상생활
    사회적인 활동의 가능여부로 측정

 

신체적 질병의 유무에 따라

  • 의사의 진단에 따른 질병 유무를 객관적으로 판단

 

 

 

 

2. 한국 노인의 건강실태

 

주요 건강상태

  • 주관적 건강상태
    : 자신의 건강상태가 좋다는 응답(2008년 24.4%→2017년 37.0%→2020년 49.3%)이 증가
  • 우울증상을 보이는 비율은 감소해
    주관적 건강상태의 긍정적 변화와 유사한 흐름을 보이고 있음
    (2008년 30.8%→2017년 21.1%→2020년 13.5%)
  • 우울증상을 보이는 남자노인은 10.9%,
    여자노인은 15.5%이며,
    연령이 높아질수록 우울증상이 심해지는 것으로 나타남
    (65세~69세 8.4%/85세 이상 24.0%)
  • 만성질환의 경우,
    1개 이상을 앓고 있는 비율은 2008년 이후 증가세를 보이다가 2020년 감소세
    (2008년 81.3%→2017년 89.5%→2020년 84.0%)
  • 노인들은 평균 1.9개의 만성질병을 가지고 있음
    (만성질병 1개 29.2%, 만성질병 2개 27.1%, 만성질병 3개 이상 27.8%)
  • 종류별 유병률을 보면 고혈압이 56.8%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당뇨병 24.2%, 고지혈증 17.1%, 골관절염 또는 류머티즘관절염 16.5%, 요통 및 좌골신경통 10.0% 등 순으로 높음
    출처: 의학신문(http://www.bosa.co.kr) 노인 49% "스스로 건강하다고 생각"…3년간 12%p 증가

 

 

주요 건강행태

  • 과음주율, 영양 개선 필요 비율은 각각 개선됨
    (2017년 10.6%→2020년 6.3%)/(2017년 19.5%→2020년 8.8%)
  • 흡연율은 큰 변화는 없었으며,
    (2008년 13.6%→2017년 10.2%→2020년 11.9%)
    운동실천율은 다소 저하됨
    (2011년 50.3%→2017년 68.0%→2020년 53.7%)
  • 2020년 기준 평소 운동실천 노인은 53.7%이고,
    이들 중 권장수준(1주일에 150분 이상)의 운동을 하는 경우는 37.6%임.
  • 건강검진 수진율은 다소 낮아졌으나,
    (2008년 72.9%→2017년 82.9%→2020년 77.7%)
    치매검진 수진율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2017년 39.6%→2020년 42.7%)
    출처: 의학신문(http://www.bosa.co.kr) 노인 49% "스스로 건강하다고 생각"…3년간 12%p 증가

 

 

기능상태
(2020년 노인실태조사)

  • 7개의 ADL 항목과 10개의 IADL 항목에 기초하여 파악한 기능상태
ADL(일상생활수행능력)  IADL(수단적 일상생활 수행능력)
옷 입기/ 세수・양치질・머리감기/ 목욕 또는 샤워하기
/ 차 려 놓은 음식 먹기/ 누웠다 일어나 방 밖으로
나가기/ 화장실 출입과 대소변 후 닦고 옷 입기/ 대
소변 조절하기
몸단장/ 집안일/ 식사준비/ 빨래/ 제시간에 정해진
양의 약 챙겨먹기/ 금전 관리/ 근거 리 외출하기/ 물
건 구매 결정・돈 지불・거스름돈 받기/ 전화 걸고 받
기/ 교통수단 이용 하기

 

  • ADL(일상생활수행능력)과 IADL(수단적 일상생활 수행능력)
    • 87.8%는 기능 제한이 전혀 없음
    • 6.6%는 IADL만 제한을 경험하고 있으며,
      5.6%는 ADL의 제한까지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남
    • 연령이 높을수록 제한율이 높아
      85세 이상 연령 군에서는 ADL의 제한 비율은 22.8%임
    • MMSE-DS를 이용한 인지기능 점수
  • MMSE-DS(치매선별용 한국어판 간이정신상태 검사)
    • 30점 만점이며, 치매의심판정은 연령과 성별, 교육수준을 고려한 기준점에 따라 해당점수 미만일
      경우로 판정함

 

MMSE-DS 진단검사 의뢰점수

연령 성별 교육연수
0~3년 4~6년 7~12년 13년 이상
60~69세 20 24 25 26
19 23 25 26
70~74세 20 23 25 26
18 21 25 26
75~79세 20 22 25 25
17 21 24 26
80세 이상 18 22 24 25
16 20 24 26('14년, 27)

자료: 보건복지부, 2020년 치매정책사업안내


∙전체 평균점수는 평균은 24.5점임
∙25.3%가 인지저하자인 것으로 파악됨
∙연령이 높을수록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어 85세 이상의 경우 34.0%

 

 

 

320x10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