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0x100
노년기 경제활동의 현황
(강은나, 2015).
- 65세 이상 노인 가운데 28.9%가 경제활동 참여(2014년)
- 2004년 30.8%, 2008년 30.0%, 2011년 34.0%에 비해 낮아짐
* 용어 설명
- 최장기 일자리 퇴직
: 일생동안 가장 오래 다닌 직장에서 퇴직 - 점진적 퇴직
: 최장기 직장을 그만둔 이후 다시 근로활동을 한 적이 있으나, 현재는 일을 하지 않은 상태 - 가교일자리
: 생애 주된 일자리를 그만두고 새로운 일자리에서 활동
전체 근로노인의 43.5%는 65~69세에 해당되고 70~74세 노인은 29.8%로 근로노인의 약 3/4은 75
세 미만 - 생활비 마련을 위해 일을 하고 있는 노인과
용돈 마련을 위해 일을 한다는 노인은 각각 79.3%과 8.6%로
소득마련을 위한 경제활동 참여노인이 약88%에 이르고 있음 - 현재 일을 하고 있는 노인의 58.8%는 현재 일자리에 만족하는 것으로 응답한 반면,
약 14.1%는 현재 일에 만족하지 않음
직업적 전이 경향
노년기에는 직업적 지위도 높고 임금수준도 높은 이전의 직업에서 물러나
전문지식이나 기술수준이 이전의 직업에 비해 낮은 제2의 직업
또는 임금고용상태에서 퇴직한 후 완전히 은퇴하기 이전에 새로운 직업에 종사하게 되는 교량직업으로
직업적 전이가 이루어지는 경향이 많음
(Atchley,2000)
노인 일자리 보장 정책
고령자 고용 보장 관련 주요 사업
주관 부서 | 고용노동부 | 보건복지부 |
법적근거 | 고령자 고용촉진법 | 노인복지법 |
정책 및 사업 | 고용촉진사업 고령자 기준고용률 준,고령자 우선 고용 직종 고령자고용촉진장려금 (임금피크제도) 고령자 취업지원사업 직업능력개발훈련 고령자고용정보센터 운영 고령자인재은행 운영 기타 취업지원사업 |
노인일자리사업(한국노인인력개발원) 노인의 능력과 적성에 맞는 맞춤형 일자리 제공 노이인력 활용에 대한 인식개선 민간참여 유도 노인문제 예방 및 사회적 비용절감 노인인력 교육 연계를 통한 일자리 창출 시니어 클럽 시장형 노인일자리사업 전문수행 노인인력에 대한 일자리 교육 및 사후관리 지역사회 유관기관과의 연계 및 조정 노인취업지원센터 노인인력 취업상담과 알선 및 사후관리 지역내 노인인력 수요업체 발굴과 관리 지역 내 노인취업관련 기관과 상시연계 |
320x100
'필기-교양 > 노인과 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인과문화] 문화 속 노인과 건강 - 한국 노인의 건강실태 (0) | 2021.10.24 |
---|---|
[노인과문화] 문화 속 노인과 건강 - 노년기 건강에 대한 이해 (0) | 2021.10.24 |
[노인과문화] 문화 속 노인과 일, 은퇴 - 노년기와 일 (0) | 2021.10.23 |
[노인과문화] 문화 속 노인과 일, 은퇴 - 노년기 은퇴생활 (0) | 2021.10.22 |
[노인과문화] 문화 속 노인과 일, 은퇴 - 노년기 퇴직 (0) | 2021.10.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