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0x100
1. 노년기 건강의 중요성
WHO(세계보건기구) 건강의 정의
- 단순히 질병이 없거나 허약하지 않은 상태만 말하는 것이 아니라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및 영적으로 완전히 안녕한 상태 - 건강의 종합적인 면을 강조하고, 이상적인 상태를 의미함
건강의 중요성(Shanas & Maddox, 1976를 최성재, 장인협, 2008에서 재인용)
- 생물학적 존재인 인간의 생명을 유지시켜 주는 핵심적인 요소.
- 개인의 일상생활을 영위하고 개인의 목표를 달성해 나가는데 필수적인 요건
- 결혼생활, 가정생활, 사회생활에서의 역할 수행을 위한 중요한 요인
- 자아상을 긍정적으로 유지하고, 인간관계에서 소외, 고립 되지 않고
사회에서의 삶의 주류 속에서 자신을 통합하도록 함
노년기 건강의 중요성
- 건강 유지가 노년기 삶의 만족을 좌우함
- 신체 노화로 인해 신체 및 정신 기능과 질병에 대한 면역력이 저하됨에 따라
노년기 건강을 유지하기 더 힘듦 - 노년기는 건강유지를 위한
개인의 건강관리 능력, 건강관리를 위한 가족 및 사회적 지지, 건강유지비용 등에 어려움이 큼
2. 노화와 질환간의 관계
노년기에 유발되는 질병은 노화와 상당히 복잡하게 얽혀 있음
- 질병의 원인이 노화, 나이와 상관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질병을 나이가 들어서 나타나는 노화현상으로 생각하는 오류 - 정상적인 노화가 질병의 증세나 진행과정에 영향을 미치거나
증상을 악화시키기는 경우
3. 건강과 노화 간의 관계
노화와 건강에 대한 편견
- Anti-aging 추구
: 아름다움과 젊음, 독립적인 생활과 활동적인 삶을 지나치게 선호함 - 노인차별주의
: 노년기에 쇠퇴, 질병, 장애 등이 불가피하여 의존적이고 무능력한 존재가 됨
노화와 건강에 대한 올바른 시각
- 노화가 신체뿐만 아니라
심리적, 사회적인 변화를 가져오므로
노인의 건강을 다차원적으로 이해해야 함 - 다수의 노인이 질환을 앓고 있어도
2/3은 타인의 도움 없이도 자립적으로 일상생활을 하고 있음 - 독립적으로 생활할 수 있는 노인의 연령이 점점 높아지고 있음
- 여러 가지 서비스나 다양한 보조기구의 이용, 운동 및 영양섭취 등과 같은
건강관리를 통해 노화나 질병의 진행을 늦춰
독립적인 생활이 가능한 기간을 연장할 수 있음 - 전 인생주기에 있어서 의존과 독립이 공존하는 것이므로
독립적인 삶이 무조건 긍정적인 가치를 지니는 것은 아님
노화에 대한 사회문화적 인식
- 노인은 건강을 잃고
의존성 삶을 사는 것에 두려움과 거부감을 가짐
- 따라서 스스로 건강한 삶을 유지하는 것에 대해
개인 뿐만 아니라 사회도 강조하고 있음
- 따라서 스스로 건강한 삶을 유지하는 것에 대해
- 노년의 삶은 건강한 삶을 유지해야 된다고 말하고,
또 그렇게 받아들임 - 건강 유지 및 증진을 위한 정보와 상품이 물밀 듯이 제공되고 있음
- 과거는 대충매체가 수단이었다면,
최근에는 SNS 및 개인방송 등의 영향력도 무시 못함
- 과거는 대충매체가 수단이었다면,
320x100
'필기-교양 > 노인과 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인과문화] 문화 속 노인과 건강 - 노년기의 암 (0) | 2021.10.24 |
---|---|
[노인과문화] 문화 속 노인과 건강 - 한국 노인의 건강실태 (0) | 2021.10.24 |
[노인과문화] 문화 속 노인과 일, 은퇴 - 노년기 경제활동의 실제 (0) | 2021.10.23 |
[노인과문화] 문화 속 노인과 일, 은퇴 - 노년기와 일 (0) | 2021.10.23 |
[노인과문화] 문화 속 노인과 일, 은퇴 - 노년기 은퇴생활 (0) | 2021.10.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