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필기-교양/노인과 문화

[노인과문화] 문화 속 노인과 건강 - 노년기의 치매

2021. 10. 24.
320x100

 

 

○ 치매의 정의

 

  • 어원
    : dementatus (정신이 나간 상태)
  • WHO의 정의
    : 뇌의 기능저하로 발생하는 인지장애로 대개 만성적이고 진행성으로 나타나며,
    기억력, 사고력, 지남력, 이해력, 계산능력, 언어 및 판단능력 등을 포함하는 
    고도의 피질기능의 다발성 장애

 

 

 


○ 치매의 주요 증상

 

  • 기억장애
  • 시공간 능력 저하
  • 이해판단력의 저하
  • 실행능력의 장애

 

 

 


○ 치매 조기발견의 중요성

 

  • 증상의 원인을 추정함
    : 치료방침과 지원방법을 정하고, 현실적으로 대응이 가능함.
  • 병을 이해할 수 있는 시점에서 검진
    : 조금씩 이해를 더해가면서 생활상의 장애를 줄일 수 있고
    이후에 생길 수 있는 문제를 줄일 수 있음
  • 치료가능한 병이거나 일시적인 증상인 경우
    : 장기간 방치하면 회복이 불가능할 수 있음

 

 

 

 

○ 치매에 대한 부정적 인식

 

  • 질병에 대한 두려움
    : 치매는 근본적인 치료제가 없는 불치병이라는 불안감과
    가족을 해체시킬 만큼 버거운 치매인의 돌봄에 대한 부담감
  • 사회적 낙인과 수치심
    : 치매에서 보이는 증상에 대한 사회적 낙인과
    ‘어리석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 ‘치매(癡呆)’라는 다분히 모욕적인 명칭에서 비롯될 수 있음

 

 

 

 

○ 치매에 대한 부정적 인식의 주요요인

치매에 대한 이해 부족 및 바른 교육 부족: 적극적인 치매교육으로 인식개선 필요
<서울시민 치매인식조사, 2018>

 

 

• 치매에 대해 ‘관심이 많은 편(매우 관심이 많다+관심이 많다)’이라는 응답 비율은 51.9%임
• 치매에 대해 ‘잘 알고 있는 편(매우 잘 알고 있다+잘 알고 있다)’이라는 응답 비율은 22.8%임

출처: 서울시민 치매인식조사 보고서(2018)

 

 

• 치매에 관한 정보를 접한 경험이 ‘있다’라는 응답 비율은 63.8%임.
• 이 중, 정보를 접한 경로로 ‘방송’을 꼽은 응답자의 비율이 51.9%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인터넷(35.4%)’, 가족이나 친지(28.8%)’, ‘신문(21.0%)’등의 순임

출처: 서울시민 치매인식조사 보고서(2018)

 

 

• 치매 인식도 점수는 12점 만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치매에 대한 인지 수준이 높음을 의미하며,
  2018년 서울 시민의 치매 인식도 평균 점수는 8.70점임.
• 치매 인식도를 구성하는 12개 항목의 평균 정답률은 72.5%
• ‘규칙적으로 운동하면 치매 위험이 낮아진다’는 항목에 대한 정답률이 92.7%로 가장 높고, 
  ‘완치가능한 치매가 있다’는 항목의 정답률이 24.8%로 가장 낮음.

출처: 서울시민 치매인식조사 보고서(2018)

 

 

 

 

치매노인에 대한 사회적 인식

 

영화 그대를 사랑합니다. 스틸컷
출처: https://movie.naver.com/movie/bi/mi/basic.naver?code=73476

 

"치매노인 탓에 재산가치 하락·삶의 질 저하“
출처: https://www.hankyung.com/society/article/2021081036897

 

 

치매인이 문제인가? 치매를 바라보는 우리사회의 악성 사회심리가 문제인가?

  • 개인의 가치를 재정적, 물리적, 지적 능력에 비추어 규정하는 관습으로
    세상에서 배제되어 사회적 사망이라 여기며 회피하는 현실
  • 도서명 “여전히 같은 사람입니다”
    : 치매는 우리 모두의 기능 부전, 즉 대중의 병든 사고와 관련이 있다.

 

 

 

 

치매에 대한 사회적 오해

 

 

  • 치매의 중심증상과 주변증상을 동일하게 인식하고 있는 경우가 많음
    • 예> 날짜, 장소, 가족 등을 판단·식별할 수 없게 된다(중심증상)
      밤에 자가 깨서 소란을 부리고 이상한 소리를 지른다(주변증상)
  • 주변증상은 당사자가 환경에 적응하지 못하거나 불안, 두려움 때문에 발생함

 

 

<사례 1> 어떻게 반응하겠습니까?
〚화장실에서 소변을 보라고 하니, “동명씨(누군지 모르겠지만)가 시켰어?라고 말해 
”그런 거 아니니안심하고 소변 보시라“ 했더니 
”당연히 시킨 것 아니야? 시키지도 않았는데 내 마음대로 소변봐도 되나? 동명씨한테 전화해줘!“ 〛
출처> 도서 “치매노인은 무엇을 보고 있는가” p.49 사례를 각색함

 

 

치매인의 돌봄 교육_부적절한 배설행동
* https://www.youtube.com/watch?v=Yqpolcvg0kA 출처> 중앙치매센터

 

 

 

 

Dementia Friendly Community 만들기

 

  • 치매안심마을
    : 치매인이 지역사회 안에서 가능한 한 독립적인 생활을 유지하고,
    사회활동을 지속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지역사회 구성원의 이해와 지원이 이루어지는 마을
  • 치매안심마을: 서울시 가양2동
    * https://www.youtube.com/watch?v=ADhXnIG8eMQ

 

 

320x10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