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필기-교양/노인과 문화

[노인과문화] 문화 속 노인과 정보화 - 정보화 사회와 노인

2021. 11. 7.
320x100

 

 

 

1. 정보화 사회의 이해

 

  • 현대와 미래사회의 큰 메가트랜드 요인으로는 과학과 정보통신의 발달
  • 정보기술(IT)의 발전 덕택에 인터넷을 물론이고 태블릿, 스마트폰에 이르기까지
    물리적 제약을 극복하기 위해 새로운 플랫폼과 어플리케이션 개발됨
  • 우리나라는 IT강국으로
    “언제, 어디서나, 누구라도 손쉽고, 편리하고, 안전하게 컴퓨터와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
    사회’ 디지털 기술은 우리 일상의 핵심부분이 됨
  • 급격한 정보통신의 발달은 인간생활 전반에 걸친 편리성을 제공함을 물론
    기존의 인맥관계를 바꾸는 역할까지 함
  • 삶 자체가 정보화 사회에 성공적으로 적응하느냐 적응하지 못하느냐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음

 

 

 

 

2. 변화하는 사회

 

  • 인터넷 시대
    • 인터넷은 사회적 생존의 전제조건이 됨
    • 인터넷 시대에 필요한 지식 능력
      : 노웨어(정보가 어디에 있는지 아는 것)
    • 인터넷 시대의 창의력은 정보를 검색 취합하여
      새로운 산물을 만드는 재목적화하는 과정임

  • 문맹시대에서 컴맹시대로 변화
    • 인터넷을 통해 국경 없는 세상으로 변화
    • 문맹자보다 더 컴맹이 살기 힘들 세상으로 변화
    • 정보권력이 세상을 지배

  • 네트워크 사회로
    • 카스텔(Castells), 1996)은 현대사회를 네트워크 사회로 규정
    • 모든 사물에 통신이 가능한 컴퓨터 칩을 넣어 하나의 네트워크로 묶는 것을 말함
    • 네트워크 양상은 ‘정보화“로 구체화되며
      국민의 정보화 역량 강화는 중요한 아젠다
    • 네트워크 도구중 하나가 휴대전화

 

 

 

 

3. 정보화의 차별과 배제

이혜연(2021). 네트워크 사회에서 배제계급으로의 노인의 지위와 정책적 재생산: - 노인 정보화 정책에 대한 정치경
제학적 분석,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 우리나라 전자정부의 선진화
    UN 전자정부 발전지수 순위
  • 정보화 성과 수혜에서의 배제
    연령별 ‘정부 행정서비스’ 주 이용방법(2016-2020)

 

 

 

 

4. 정보화의 격차

 

  • 정보화가 사회구성원과 사회 전반에 가져온 혜택은 경제, 사회, 문화, 교육 등
    삶의 제반 영역에서 차별과 불평등 등을 경험하고 있는 사회적 약자에게 불균형과 격차를 초래하고 있음
  • 정보사회의 격차는 정보빈자로 전락한 정보취약계층이 사회적으로 고립되고 배제되면서
    더욱 심각해져 사회통합을 저해하는 사회적 요인이 될 수 있음
  • 노인은 정보사회의 급속한 변화에 따라 상대적으로 배제될 수 있는 취약계층임
  • 실제 노인의 정보화 역량은 지난 20년 간 일반 국민 대비 가장 낮은 수준임

 

 

 

 

5. 정보화 사회가 노인에게 미치는 영향

 

 

  • 정보화 사회의 긍정적 측면
    • 다양한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은
      노인복지서비스에 획기적인 변화 가능
    • 신체능력 퇴화를 경험하는 사람들의 어려움을 감소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의 개발이 가능함
    • 노인들은 정보통신기술을 통해 사회적 서비스에 더 신속하게 접근할 수 있으며,
      자신의 복지욕구에 적합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음
    • 노인의 정보화가 원활하면
      노인의 사회적 고립을 완화하고
      자기효능감을 증진하여
      노년기 삶의 질 향상으로 이어질 수 있음
    • ‘노인을 돕는 스마트 로봇’ 등장
      https://www.youtube.com/watch?v=srjuX4slHw0

  • 정보사회의 부정적 측면
    • 정보취약계층이 직면하는
      정보 불평등과 정보격차의 문제 대두
    • 노인에게 있어서 급변하는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은
      또 다른 스트레스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적응 및 소외문제 야기
    • 똑똑해지는 대중교통에 역차별 받는 고령층
      자료출처: 국민일보 2017. 02. 08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oid=005&aid=0000970355&sid1=001&lfrom=band
    • 서울 서초구 남부터미널. 시외버스 승차권 판매 창구 2곳에는 머리가 희끗한 노인 10여 명이 줄지어 서 있었다. 바로 옆 승차권 무인 발매기 10여 대가 모두 비어 있었지만 다들 줄을 선 것이다. 5분간 줄을 서서 청주행 버스표를 산 김교훈(75)씨는 “무인 기계나 휴대폰으로 샀으면 시간이 더 오래 걸렸을 것”이라며 “기계 사용법을 배워보고는 싶은데 버스를 놓칠까 봐 바로 창구로 왔다”고 했다. 터미널 관계자는 “젊은 사람들은 아예 스마트폰 앱으로 예매해서 버스 시간에 딱 맞춰 오지, 현장 발권은 거의 하지 않는다”고 했다.
      출처: 조선일보(2021. 06 16
      https://www.chosun.com/national/national_general/2021/06/16/YIFSJBGCK5CRTDM6E4PS2V4HL4/

 

 

 

 

320x10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