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필기-교양/노인과 문화

[노인과문화] 문화 속 노인과 정보화 - 노인의 정보

2021. 11. 7.
320x100

 

 

1. 정보격차의 개념

 

  • 정보격차
    • 개념적으로 정보기술의 접근 및 활용이
      여러 사회집단 간 동등한 수준으로 진행되지 않는 현상을 지칭하는 포괄적 용어임
    • 정보격차해소에관한법률의 정의
      : 경제적, 지역적, 신체적 또는 사회적 여건으로 인해
      정보통신망을 통한 정보통신서비스에 접근하거나 이용할 수 있는 기회에 있어서의 차이

  • 정보격차의 유형
    (김석주, 2000)
    • 정보격차의 주체
      : 성별간, 계층간, 세대간, 지역간, 민간과 공공간, 장애인과 비장애인간, 국가간
      정보격차 존재
    • 정보격차의 대상물
      : 아날로그정보격차와 디지털정보격차, 일상생활정보격차, 업무관련정보격차 등
    • 정보격차의 심화정도
      : 정보취약(정보접근 및 이용이 불편함),
      정보단절(정보접근이 원천적으로 불가능), 
      정보계층화(집단간의 현격한 격차로 발생)
    • 정보격차의 매커니즘
      : 정보접근격차, 정보활용격차, 정보생산격차 등

 

 

 

 

2. 디지털 정보격차

2020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 우리나라 디지털 정보화 측정 기준
    1. 접근(0.2)
      • 유무선 정보기기 보유여부(0.5)
      • 인터넷 상시 접속가능 여부(0.5)
    2. 역량(0.4)
      • PC 이용능력(0.5)
      • 모바일기기 이용능력(0.5)
    3. 활용(0.4)
      • 유선 및 모바일 인터넷 이용 여부(0.4)
      • 인터넷 서비스 이용 다양성(0.4)
      • 인터넷 심화 활용정도(0.2)

 

  1. 종합결과
    • 디지털 정보화 수준
    • 계층별 디지털정보화 수준
    • 연령별 디지털정보화 수준
  2. 부문별 결과
  3. 인터넷 이용률 및 스마트폰 보유율
    • 이용 가능한 PC 보유 여부
    •  모바일 스마트기기 보유율
  4. 모바일기기 이용률 및 만족도
    • 모바일 기기 이용 능력
    • 검색 및 이메일, 콘텐츠 서비스 이용률
    • 사회적 관계 서비스 이용률
    • 생활 서비스 이용률
    • 일상생활 만족도

 

 

 

 

3. 정보격차의 발생원인

 

 

  1. 정보접근성 측면
    • 노년층은 신체적, 정신적 기능상 제약으로 인해
      정보통신기술 및 서비스의 대부분이 일반인을 중심으로 개발되어 있어 
      접근이 원천적으로 차단되어 있음
    • 노년층이 정보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서비스 및 기기에 대한 보편적 설계가 고려되지 못해 
      노년층의 접근성이 떨어지게 됨

  2. 정보활용성 측면
    • 정보통신 기술습득에 대한 교육 미흡과 노년층 관련 콘텐츠의 부재로 기인
    • 정보화교육은 학교와 직장, 공공 및 사회교육기관,
      정보통신업체의 교육장, 사설 컴퓨터 학원 등에서 실시하고 있으나 
      노년층의 확대되는 교육수요에 비해 교육기회 부족함
    • 보건의료나 사회복지분야에 대한 새로운 서비스 요구와
      사회복지 전반에 대한 어떠한 내용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정보화하는 과정에서 배제

  3. 노인의 정보격차의 결과
    • 정보화사회의 빠른 기술적 환경변화 속에서
      노인들은 과거보다 더욱 심각한 사회적응의 문제를 겪게 되는 것이 불가피하며 
      세대 간 분리의 가속화가 우려되고 있음
      • 노인의 정보화를 지원함으로써 정보격차 문제를 해소하고
        노인문제에 대해 해결책을 모색하는 방안이 제기
      • 노인들로 하여금 자신감을 가지고 새로운 사회변화에 적응하도록 돕고
        외로움을 극복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노인정보화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음

 

 

 

320x10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