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67

[사회복지경영론] 인적자원관리 - 동기부여 이론: 과정 이론 과정이론 : 어떻게 사람들이 동기부여에 영향을 받는가? Adams, 형평성이론(equity theory) Vrooms, 기대이론(expectancy theory) Locke, 목표설정이론(goal setting theory) 1. Adams, 형평이론(equity theory) 사람들의 인지과정에서 만들어지는 형평성이 사람들의 동기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 즉, 사람들은 항상 자신이 투입한 것과 비교하여 보상결과가 어느 정도인가를 보고 이것을 남과 비교하는데 그것이 동기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 개인은 자신이 기울인 노력의 대가에 대한 절대적인 보상뿐 아니라 타인의 보상과 비교해 보았을 때 자신의 노력대비 보상이 어느 정도인지에 대해서도 관심 有 특히, 비교를 통해 불평등이 있다고 인지하는 경우 동기화에 부.. 2021. 11. 10.
[사회복지경영론] 인적자원관리 - 동기부여 이론: 내용 이론 동기부여란 조직구성원들이 조직의 목표를 내재적으로 받아들여 그것을 달성하기 위해 열심히 노력하게끔 유도하는 과정을 말함. 즉 행동 목적과 방향을 제시하는 심리적 과정으로서 인간의 목표 지향적 행동을 불러일으키고 유지하는 영향력 경영자는 동기부여 과정에 기초하여 조직구성원들이 조직목적을 기꺼이 추구하도록 조직구성원을 관리 必. 동기부여 이론 (motivation theories) 동기부여의 요인을 설명하는 내용이론(contents theories)과 동기부여의 인지과정을 설명하는 과정이론(process theories)로 나뉨. 내용이론 : 사람들은 무엇 때문에 동기부여가 되는가? Maslow, 욕구위계이론(hierarchy of needs theory) Alderfe, ERG이론(Existence-Rel.. 2021. 11. 10.
[사회복지자원개발및전략] 사회복지자원개발의 발전방안 - 자원개발의 한계 및 발전방안 1. 사회복지자원개발의 한계적 상황 지속적인 경기불안정으로 인한 경제적 어려움 기부문화의 인식 미성숙 비영리.사회복지분야 해당 전문성. 전문가 부족 비영리.사회복지기관의 의존성 사회복지계 모금의 딜레마들 관심이 없어요! 🡺 모금에 대한 무관심 사람이 없어요! 🡺 담당자, 전문가 부족 시간이 없어요! 🡺 과도한 업무량, 인력부족 돈이 없어요! 🡺 모금업무에 대한 투자 부족 몰라요! 🡺 정보의 부족, 지식의 부족 의지와 끈기가 없어요! 🡺 우선순위, 추진력 부족 효율이 없어요! 🡺 효율적, 마케팅적 업무 도입 必 2. 위기상황 속에서의 발전적 모금전략 일반적인 모금전략을 기본으로 하되, 위기상황의 특수성에 따라서 방법. 전략을 다르게 접근 必 단, 이 전략 또한 단체의 상황과 목적에 맞게 재해석. 적용 必 .. 2021. 11. 9.
[사회복지자원개발및전략] 사회복지자원개발의 발전방안 - 자원개발 실패의 이유 1. 만족의 삼각형 이론 (The Satisfaction Triangle: Chris Moore) Decision = Procedural×Emotional×Substantive 세 요소의 유기적 상호작용 => 균형있는 적절한 자원개발 요청의 필요성 절차적 필요(Procedural Needs) 적절한 절차에 따라 진행된 일인가? 🡺 최선의 방법이었는지? 다른 방법을 고려할 수 있는 것인지, 왜 자신이 요청받는 적임자인지, 요청을 증명할 데이터는 있는지? 감정적 필요 (Emotional Needs) 적절한 감정적 동의를 받고 있는 일인가? 요청자의 개인적. 관계적 감정과 요청주체에 대한 감정, 요청 중간의 느낌 실질적 필요 (Substantive Needs) 나의 이해득실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가? 요청하는 .. 2021. 11. 9.
[사회복지자원개발및전략] 사회복지자원개발의 발전방안 - 자원개발의 어려움(모금실패) 1. 자원개발에 있어서 거절을 다루는 법 모금요청에 대한 거절 모금가가 경험할 필수적 과정 요청에 대한 답은 완벽한 긍정과 완벽한 거절은 존재하지 X 거절의 종류. 의미에 대한 이해 必 경청기술 + 거절 및 의견 불일치에 대한 극복 및 해결. 타협의 기술 必 오해(misunderstanding) 요청과정에서 오해로 인한 경우 잠재기부자의 말에 경청, 전하고자 하는 뜻을 반복해서 이해시키고 확인 必 무관심(Indifference) 요청 과정에서 자신의 관심과 부합되는 것을 찾지 못할 경우 상대의 관심과 사명에 관한 생각이해, 관심.흥미 유발노력 必 의심(Skeptism) 단체, 모금가에 대한 신뢰가 형성되지 않았을 경우 과정에 대한 기록, 증거유지 등을 통해 법적 신뢰 제공 잠재기부자의 거절에 대한 대처방.. 2021. 11. 9.
[사회복지자원개발및전략] 자원개발의 실제 - 사회적 경제 방식의 자원 확보 1. 사회적경제의 개념 주요 가치 : 상호성, 연대, 노동통합, 사회적 수요 해결, 혁신 경제적 지속가능성 + 사회적 문제해결 영리조직과 비영리조직의 혼성적 연속선에 있으며, 사회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를 동시에 추구하는 조직 구성원이나 공공을 위한 목표, 경영의 자율성, 민주적인 의사결정과정,수익배분에 있어서 자본보다 사람과 노동의 중시의 원칙을 따르는 경제활동 [서울시사회적경제지원센터] 연대에 기반을 둔 시민경제, 노동시장에서 배제된 사람들을 위한 노동통합적 목적을 지닌 협회나 협동조합을 포함한 활동, 기업적 특징(재화. 서비스공급, 지속적 생산, 높은 수준의 자율성, 상당 정도의 경제적 위험, 최소한의 유급노동)과 사회적 특징(지역사회를 이롭게 하는 목표, 시민의 자발적 노력, 자본소유와 무관한 의사.. 2021. 11. 8.
[사회복지자원개발및전략] 자원개발의 실제 - 민간, 정부의 자원개발 1. 민간(배분사업)을 통한 자원개발의 특징 해당 단체의 목적사업과 연계성 단체별 지원(배분) 사업의 특성. 차별성 강화 (ex. 아산사회복지재단: 현물지원 아름다운 재단: 풀뿌리단체(소규모 단체) 지원, 클라이언트 직접 지원....) 지원내용. 시기. 방법 등의 차이 有 배분에 대한 기준. 자체 성과지표 등의 강화 기관의 신뢰성, 사업운영능력, 회계처리 등에 대한 요구 새로운 영역(ex. 사회적 경제 등)으로의 확대. 사회적 임팩트 강화에 대한 실험 확대 2. 주요 민간영역 지원사업 사례 재단/단체명 주요사업 비고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중앙/ 지역별지회 기획사업, 신청사업, 기업지정 기탁사업, 해외사업 등 -논리모델기반 투입.산출목표 -주제.대상 다양성 바보의 나눔 일반공모 소규모시설지원 -카톨릭기반기관 .. 2021. 11. 8.
[사회복지자원개발및전략] 자원개발의 실제 - 기업 자원확보: 기업사회공헌 1. 기업사회공헌 추세 소액다수 지원 🡺 거액소수지원 선택과 집중. 확실한 성과달성을 위한 지원 단순지원, 자원지원, 1회 성지원 🡺 직접적 참여, 파트너십 형성, 지속적 지원 : 사회복지. 비영리단체와의 전략적 파트너십 타기업과 차별화된 후원상품. 기업의 고유한 특성, 가치에 맞는 후원상품 기대 후원과 자원봉사를 병행하는 경향 단순 지원, 결연지원 🡺 신규사업기획, 사회적 경제방식의 투자형 후원 등 2. 기업의 사회공헌활동 방법 재단을 통한 자원나눔 독립재단 기업과 연계된 개인, 집단의 조성기금을 통해 설립. 운영 모기업과 운영상 분리 (기업대표가 설립하더라도 사적으로 기부하거나 기타 모금된 기부금로 설립하는 경우도 존재하나, 실제 해당 기업과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경우) 단, 출연자(기부자)의 특성, .. 2021. 11. 8.
[사회복지자원개발및전략] 자원개발의 실제 - 자원개발 관련 실전 전략 및 방법 1. 자원개발을 위한 실전전략 미션과 비전에 입각한 자원개발의 필요성을 확인하라. 왜 우리가 이 자원이 필요한가? 어떻게 자원을 개발할 것인가? 두 질문의 근거는 반드시 미션, 비전에서 기인해야 함 필요자원에 대한 자원획득방법에 대한 계획을 수립하라. 우리와 유사한 기존 사례에 대해 검토하라. 기존 방식의 성과. 시행착오에 대해 분석하라. 우리가 잘 할 수 있는 방법을 숙지하라. 이에 기반한 계획을 수립하라. 해당 자원개발과 관련한 지원정보를 충분히 탐색하라. 기존정보, 정기적 정보 업데이트, 새로운 정보 탐색 유용한 고급정보공급처 list up 관련 인적 네트워크 활용 정보탐색 마케팅 요소를 활용하여 우리 조직이 잘할 수 있는 방법. 대상. 시기 등을 설정하라. 사회복지스럽게, 비영리스럽게 🡺 효과적... 2021. 11.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