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필기-복지경영/사회복지경영론

[사회복지경영론] 인적자원관리 - 동기부여 이론: 내용 이론

2021. 11. 10.
320x100

 

 

 

동기부여란 

조직구성원들이 조직의 목표를 내재적으로 받아들여 
그것을 달성하기 위해 열심히 노력하게끔 유도하는 과정을 말함.
즉 행동 목적과 방향을 제시하는 심리적 과정으로서 
인간의 목표 지향적 행동을 불러일으키고 유지하는 영향력

 

경영자는 동기부여 과정에 기초하여 
조직구성원들이 조직목적을 기꺼이 추구하도록 
조직구성원을 관리 必.

 

 

 

 


동기부여 이론 (motivation theories)

동기부여의 요인을 설명하는 내용이론(contents theories)과
동기부여의 인지과정을 설명하는 과정이론(process theories)로 나뉨.

 

 

 


내용이론

: 사람들은 무엇 때문에 동기부여가 되는가?

 

Maslow, 욕구위계이론(hierarchy of needs theory)
Alderfe, ERG이론(Existence-Relatedness-Growth Theory)
Herzberg의 동기위생이론(motivator-hygiene thoery),
MacClelland의 3가지 획득 이론 (three acquired needs theory)

 

 

 

 

1. Maslow, 욕구위계이론(hierarchy of needs theory)

인간의 욕구는 5단계로 이루어져 있고,
인간은 하위단계로부터 시작해서
기본적인 욕구가 채워지면 순차적으로 상위단계의 욕구를 채우려 함.

자아실현욕구 잠재력을 최대활용, 톡립성, 창의성, 자기만족
존경욕구 책임감, 자신감, 자신의 중요성 인식, 성취감
소속욕구 동료의식, 진화, 관심과 배려, 소속감
안전욕구 생활안정, 위험회피, 고통회피, 불확실성 회피
생리욕구 음식, 의복, 집, 육체적 평안함


출처:현대경영학, p.227

 

 

 


2. Alderfe, ERG이론(Existence-Relatedness-Growth Theory)

매슬로우의 5단계 이론을 3차원으로 축약,

 

매슬로우 이론과 달리 한 차원 이상의 욕구가 동시에 동기부여의 요인이 될 수 있고,
욕구좌절을 복귀시키는 욕구 순환적인 과정을 고려했다는 것.

매슬로우 알더퍼
자아실현 성장
존경
소속 관계
안전 생존
생리

 

 



3. Herzberg의 동기위생이론(motivator-hygiene thoery)

일반적으로 만족과 불만족을 연속적으로 사고하는 것에 대해 그렇지 않다고 봄.
즉, 만족을 증가시키는 동기요인과
불만족을 제거시키는 위생요인은 서로 다른 2개의 층(layer)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

 

그러므로 동기요인의 강화를 통해 만족을 증가시키고, 
위생요인의 강화를 통해 불만족을 감소시키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


동기요인(motivator)
: 그 요인들이 충분히 작용할 때 만족하게 하는 요인. 성취, 인정,
책임감, 발전 성장 등을 동기요인으로 봄.
위생요인(hygiene)
: 충분히 작용하면 불만족스럽지 않으나 충분하게 작용하지 않으면 불만족이 증가시키는 요인. 
감독, 조직규정, 상사와의 관계, 근로조건, 임금, 동료와의 관계, 개인적 생활, 부하직원과의 관계, 지위, 안전 등.

 

한계 및 의의
: 일관된 연구결과를 보이지는 않으나 동기와 관련하여 다차원적으로 사고할 수 있게 함.

 

동기요인 위생요인
성취감
인정
책임감
작업자체
승진가능성
성장가능성
급여
작업조건
회사정책
대인관계
감독
지위
만족 비만족 비불만족 불만족

출처:현대경영학, p.228

 

 

 

 

4. MacClelland의 3가지 획득 이론 (three acquired needs theory)

개인의 동기가 개인이 사회문화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과정에서 조성되고
학습을 통하여 개인의 동기가 개발되어질 수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성취동기이론 또는 학습에 의한 욕구이론이라고 함.

 

맥클라란드는 개인의 욕구 중에서 사회문화적으로 습득된 욕구를 성취욕구, 친교욕구, 권
력욕구로 나눔

성취욕구 표준을 달성하고 표준을 능가하려는 욕구
권력욕구 타인에게 영향력과 통제력을 행사하려는 욕구
진교욕구 다른 사람들과의 친근하고 밀접한 관계를 맺으려는 욕구

 

  • 높은 성취욕구를 갖고 있는 사람은
    개인적 책임, 피드백, 그리고 중간정도의 위험을 갖는 직무여건 선호
  • 성취욕구가 높은 사람이 반드시 유능한 경영자가 되는 것은 아님.
  • 권력욕구와 친교욕구는 경영자가 성공과 밀접한 관련 있음.
    권력욕구가 높고 친교 욕구가 낮은 경영자가 최선의 경영자가 될 수 있음.
  • 종업원의 성취욕구는 훈련을 통해 향상될 수 있음.

 


* 변화하는 환경에서 직원들은 무엇으로 동기부여될까?

출처: 양원석(2019), 사회복지사: 사람/비전/조직문화,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10.

 

 

 

 

촛불실험

프리스턴 대학 샘 글럭스버그 교수의 춧불실험
(출처:EBS 5부작 퍼팩트 베이비. 4부- 동기, 배움의 씨앗)

https://www.youtube.com/watch?v=rrkrvAUbU9Y

보상팀과 자율팀으로 나누어 대결 누가 먼저 문제를 해결했을까?
🡺보상팀보다 자율팀이 더 빨리 해결함.


보상이 주어진다고 가정하면 보상에 집중하여 주변을 잘 살피지 못하고, 

시야가 좁아져면서 창의력을 발휘하기 어려움.
자발적으로 일할 때, 우리의 시야는 넓어지고 창의력 발휘할 수 O.

 

 

동기부여

(출처: https://blog.naver.com/awds0750/221405151883/ The puzzle of motivation - Dan Pink|작성자 우기, 당근과 채찍 당나귀의 추억)

 

내적동기
: 일자체에 흥미를 느낄 때 생기는 자발적인 동기
외적동기
: 외부자극(칭찬, 보상, 처벌)에 의해 생기는 동기

 

외부자극에 의해 생기는 동기보다 
과업자체에 흥미를 느끼는 자발적 동기에 근간한 행동이 더 큰 만족과 행복을 줌.
🡺 여러분들은 어떻게 했을 때 동기부여될 것 같은가?

 

 

창의성과 내적 동기
이 실험의 핵심은 고정관점에서 벗어나 사물을 바라보는 ‘창의성’
동기유발에는 보상을 통한 의지력을 증가시키는 외적 동기와
자신 안에 내재되어 있는 능력을 깨우는 내적 동기가 있고, 내적 동기가 주요함

 

내적동기는 삶의 방향을 결정하고 싶은 주도성, 
조금 더 잘하고 싶다는 욕망의 전문성, 
무엇인가 의미 있고 중요한 일을 하고 싶다는 목적성으로 구성됨.

 

 

기능적 고착의 문제
: 사물 용도에 대한 기존 생각으로 새로운 용도, 방법을 생각하지 못함.(양원석, 2019)

by 정재승

"굉장히 쉬운 문제, 누구나 집중하면 풀 수 있는 문제는 당근과 채찍에 훨씬 긴장하고 열심히, 성실히 풀어서 답을 낸다"

"하지만 쉽게 떠오르는 것이 아닌, 시간과 고민이 필요한 창의적 문제는 당근과 채찍을 걸면 걸수록 오히려 독이 됨"

 

이 같은 현상을 '터널 비전'이라고 하는데,

시야가 좁아지고 그것(압정)만 보이게 되고, 조급해하다가 문제를 못 풀게 되는 점

 

혁신적이고 창의적인 아이디어는 자발적 동기가 가장 중요함

"대부분의 조직에서는 모두가 창의적일 필요는 없으며,

80~90%의 성실하고 정직한 사람에 의해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소수의 사람으로부터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나오면 된다"

"하지만 창의와 혁신은 많은 사람의 뜻(마인드 파워)을 모아야만 이루어질 수 있는 것"

 

"우리 시대의 리더는 맨 파워를 만드는 리더가 아니라,

내가 생각해내지 못하는 아이디어를 직원이 내주고,

내가 결정하지 못하거나 잘 못 판단한 것을 직원들이 고쳐줄 수 있는 마인드 파워가 충만한,

마인드 파워를 이끄는 리더가 우리 시대에는 필요하다"

출처: 전북일보 인터넷신문(http://www.jjan.kr/)

320x10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