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자원개발및전략] 사회복지자원개발과 모금 - 모금의 방법
1. 대상별. 유형별 모금방법의 구분 구분 유형 개인 대면. 관계모금 (개인별 후원신청서 등) DM, ARS (직접 현금후원 등) 홈페이지, 기부사이트, SNS 모금 회사. 기관. 단체연계모금 거리모금 (모금함) 이벤트(바자회, 스포츠행사, 콘서트 등 문화행사 등) 방문모금 (모금교육, 저금통배포, 방문모금함,대면 등 ) 개인별 특별후원 상품 연계 (결혼식, 돌잔치, 유산기부 등) 기업. 단체 종사자 단체 모금(월급 자투리, 1%기부 등) 상품연계모금 (판매액의 1%, 1+1 등) 제휴모금 (마트 적립금, 포인트 제도 연계 등) 물품기탁 (생산품. 서비스 등 연계 등) 방송모금(후원상품. 대상 노출 및 후원유도 등) 기관단체 협력모금 (교육기관대상 순회방문. 교육. 저금통. 쿠폰북 등) 2. 모금경로별 ..
2021. 9. 21.
[사회복지자원개발및전략] 사회복지자원개발과 모금 - 모금의 전략
1. 기부원의 다양화 보다 다양한 사람들이, 다양한 방법으로 참여하도록 하라 자금의 전폭지원처, 프로모금전문가를 통한 기부성과 극대화의 위험성 (미국) 3분의 1법칙: 하나의 자금출처에서 30%이상 조달할 경우 공공자선단체 지위 상실하게 함으로써 다양한. 불특정한 일부 대중으로부터 지지를 받을 것을 공공자선단체의자격으로 제한함 2. 기부동기의 분석. 이해 자신의 이해관계와 관련된 다양한 동기 (신앙, 전통, 세금, 혜택, 이타심, 과거 경험, 이미지관리, 죄책감, 부담감, 주변의 추천 등) 단체에 기부자가 필요한 것처럼, 기부자도 (자신의 동기를 실현해줄) 기부단체가 필요하다. 따라서 막연한 이타심, 세금공제 등은 상대적으로 단순하고, 기부동기를 잘 공략하지 못한 동기부여 전략일 수 있음에 유의가 필요하..
2021. 9. 8.
[사회복지자원개발및전략] 사회복지 자원개발의 이해 - 사회복지 자원개발의 발전방안
1. 사회복지 자원개발의 한계 및 대안 사회복지기관의 지나친 정부, 대기업 의존성 기존 정부보조금 위주의 한계. 위험성에 대한 직면이 필요 정부, 대기업 등 특정재원에 의존하는 경향에서 자원출처의 다각화, 자체자원확보 노력의 필요 사회복지기관의 자원개발, 마케팅 등에 대한 무지, 거부감 단순한 후원금품 확보를 넘어선 자원개발에 대한 개념 확장필요 자원개발, 마케팅은 사회복지의 가치중심 실천을 왜곡하는 것으로 오해하는 경향 시장. 경제적 측면에 대한 지식. 대응역량, 실천지식의 부족 자원개발을 시혜적 행위로 인식=> 수동성, 비윤리성, 상품화 자원개발에 대한 도움을 요청하는 것, 시혜를 부탁(구걸)하는 것으로 인식하는 제한적 사고 극복 자원개발을 위해 클라이언트의 인권침해 및 지나친 상품화 등의 문제 자원..
2021. 9. 1.
[사회복지자원개발및전략] 사회복지 자원개발의 이해 - 사회복지 자원개발의 배경과 필요성
1. 사회복지환경의 변화 A. 사회문제의 다각화, 심각성 증가 다양한 사회문제(실업, 신빈곤층의 확대, 빈부격차로 인한 사회적 양극화, 저출산. 고령화, 노인부양 문제, 가족갈등 및 해체, 환경. 에너지 문제, 다문화, 아동, 장애, 비인간화, 인권침해, 편견과 혐오, 과도한 경쟁, 스트레스....)의 대두. 사회문제로 인한 사회적 갈등, 문제 상황의 다각화, 심각성 증가하는 추세. -> 결국, 이러한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복지수요(서비스, 정책 등)의 증가가 요구됨 . B. 구성원들의 욕구의 다변화, 사회전반적인 복지욕구의 증가 사회구성원의 다양성, 사회전반적인 발전으로 인한 시민 복지욕구의 다각화. 전반적인 복지에 대한 기대수준, 욕구의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인해 기존의 취약계층 중심의 협의의 복지,..
2021. 9.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