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0x100
1. 사회복지환경의 변화
A. 사회문제의 다각화, 심각성 증가
- 다양한 사회문제(실업, 신빈곤층의 확대, 빈부격차로 인한 사회적 양극화, 저출산. 고령화, 노인부양
문제, 가족갈등 및 해체, 환경. 에너지 문제, 다문화, 아동, 장애, 비인간화, 인권침해, 편견과 혐오,
과도한 경쟁, 스트레스....)의 대두. - 사회문제로 인한 사회적 갈등, 문제 상황의 다각화, 심각성 증가하는 추세.
- -> 결국, 이러한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복지수요(서비스, 정책 등)의 증가가 요구됨 .
B. 구성원들의 욕구의 다변화, 사회전반적인 복지욕구의 증가
- 사회구성원의 다양성, 사회전반적인 발전으로 인한 시민 복지욕구의 다각화.
- 전반적인 복지에 대한 기대수준, 욕구의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인해 기존의 취약계층 중심의 협의의 복지, 잔여적 복지 개념을 넘어
보편적 복지의 확장이 요구됨. - 급격히 변하는 사회환경, 사회적 문제와 욕구에
시의적절하고 유연한 복지적 대응을 필요로 하고 있음. - ->사회 전반적인 복지수요는 그 범위, 영역, 수준에 있어서 확장. 심화되고 있음.
C. 복지영역에 있어서의 정부의 실패, 작은 정부지향성으로 인한 민영화, 민간공급확대
- 서구 선진국의 복지국가 위기 이후
정부에 의한 복지정책.서비스확장이 축소되고,
민간 부문 복지서비스 공급체계의 다원화되고 있음. - 변화.증가하는 복지수요에 대비하여 정부가 할 수 있는 복지영역에서의 역할의 한계, 재정공급역량
의 한계가 존재함.
이에 따라서 민간에 의한 복지공급의 필요성이 보다 강조되고 있음. - 즉, 복지서비스의 민간위탁, 바우처 제도 등을 통해
공공복지서비스의 민영화가 확대되고 있으며,
전통적인 보조금경쟁지원방식에서의 변화가 발생하여
성과제. 프로그램별 보조금지원방식 등 보다 제한적이고 경쟁적인 방식으로 정부복지자원 전달이
이뤄지는 추세임. - => 복지의 민영화, 민간의 복지공급 주체 다각화. 경쟁심화 추세임
- 결국, 변화하는 사회복지환경 속에서 민간영역의 사회복지서비스의 공급은 확대되나
이를 위한 안정적 자원확보, 지속가능성 확보에 있어서의 어려움이 예상됨.
이로 인한 사회복지자원개발의 중요성이 증대됨.
2. 사회복지조직 자원개발의 특성
- 외부 자원의존성이 높기 때문에
이에 대한 개발. 관리의 중요성이 큼 - 중요성 대비 자원에 대한 직접적 통제의 어려움
- 조직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비교적 다양한 자원 통로, 유형을 보유 - 자원개발 자체가 기관운영, 사업의 신뢰도, 성과와 높은 연관성을 지님
- 자원개발.확보에 따른 계약. 요청. 제안 및 자원에 대한 관리의 과업을 수행
3. 사회복지 자원개발의 필요성
1. 사회복지실천의 질적. 양적 확대를 위한 필요
- 제한적, 수동적 자원활용을 넘어서
보다 적극적. 다각적 자원확보를 통해
사회복지실천의 질적.양적 확대를 통해 시민 복지증진을 도모 - 새로운 대상, 서비스, 차별화된 실천을 위한 기반 확대
- 정부중심 사회복지공급의 관료화, 경직성 등의 한계를 극복하고
자율성, 독립성, 유연성에 기반한 전문적. 대안적 실천 가능
2. 시민참여의식, 사회적 연대의식 강화를 위한 필요
- 진정한 복지사회를 위해서는 사회구성원들의 복지의식, 참여의식 강화가 필요
- 시민의 자발적인 참여를 통해
정부 및 시장의 한계를 민간복지를 통해 극복,
즉 , 새로운 파트너십 형성을 위한 사회복지자원개발의 확대 필요 - 자원개발은 사회문제와 갈등을 해결하고 공동체를 형성하기 위한 시민의 협동, 연대의식강화를 위
한 기회
3. 민간복지기관 운영 재정자립, 지속가능성확보를 위한 필요
- 정부의 재원만으로 복지수요 충당할 자원 조성의 한계
- 정부보조금 축소, 민영화로 인한 경쟁 속에서
사회복지기관의 운영위기 극복을 위한 자원확보의 필요 - 자원출처 다원화를 통한
사회복지시설의 효율적. 효과적 운영을 위한 전략적 접근의 계기마련
320x100
'필기-복지경영 > 사회복지자원 개발 및 전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복지자원개발및전략] 사회복지자원개발과 모금 - 모금의 전략 (0) | 2021.09.08 |
---|---|
[사회복지자원개발및전략] 사회복지자원개발과 모금 - 모금을 위한 주요 요소 (0) | 2021.09.08 |
[사회복지자원개발및전략] 사회복지자원개발과 모금 - 모금 관련 개념 및 현황 (0) | 2021.09.08 |
[사회복지자원개발및전략] 사회복지 자원개발의 이해 - 사회복지 자원개발의 발전방안 (0) | 2021.09.01 |
[사회복지자원개발및전략] 사회복지 자원개발의 이해 - 사회복지 자원개발의 개념과 전략 (0) | 2021.09.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