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0x100
1. 모금명분과 아이템
- 모금의 명분과 핵심은 “사람”이다.
- 사람이 사람을 돕는 행위가 모금임.
- 사업중심. 단체중심사고에서
사람중심, 관계중심 사고로 전환이 필요 - 모금이 기관을 돕는 것이 아니라,
기관에서 하는 일을 통해
사람을 돕는 일이라는 인식전환이 필요함
- 명확한 사명과 대상, 포지셔닝의 점검이 필요하다.
- “ 우리 조직은 올바른 일을 하고 있는가?”
- “ 우리의 활동은 사회적 필요가 절박하고 중요한가?”
- “ 우리는 이 일을 잘 할 수 있는가?”
- “ 꼭 해야하는가?”
- “ 우리가 하는 일이 다른 곳에서 하는 일과 어떻게 차별적인가?”
2. 모금을 위한 기본요소
: 모금아이템을 전달하고 기부를 요청하는 모금조직, 모금가
- 모금조직의 유형 (정무성, 황정은)
- 사업과 모금조직의 병행조직형태
- 규모가 작은 조직, 일반적 비영리 조직
- 내부인적자원 최대한 활용, 비용절감
- 모금전문조직과 직원을 갖춘 전문적 모금조직형태
- 모금경험, 조직과 사업이 일정규모 규모 이상인 경우
- 일정 한도사업의 규모와 자금운영능력을 전제로
모금전문화를 위한 초기투자와 준비가 필요할 경우 시도가능
- 기능적 조직
- 모금상품이나 프로그램의 성격으로 조직구분
- 상품, 시장, 고객특성에 따른 전문적 접근
- 지역적 조직
- 모금대상 지역구분에 따른 모금책임성 강조
- 전국적 모금 조직의 경우,
모금접근방법의 전문성 약화 가능성
- 사업과 모금조직의 병행조직형태
- 모금전문가의 역할
단체의 모금전략을 수립하고 이를 서명, 조정, 관리하는 역할 vs 직접 발굴
- 단체 모금전략계획수립, 갱신
- 단체의 재정수요, 모금계획 수립. 평가
- 정확한 모금관련 DB, 기록 관리
- 모금행사. 프로그램에 대한 기획. 실행
- 주요이해관계자(이사회, 직원, 자원활동가, 기존후원자 등) 대상 모금교육
- 모금전문가의 자질과 자격
- 호감, 좋은 대인관계 형성 능력
- 커뮤니케이션 기술
: 논리적 의사소통. 설득력 있는 의사소통 능력
: 신뢰감. 본질중심의 의사소통능력 vs 화려한 언변 - 인적자원 동원, 활용 능력
- 기관사업. 조직운영에 대한 본질적. 전문적 이해 vs 과대포장
- 적극적이고 자신감 있는 태도
- 기부자의 이익에 대한 우선고려
3. 단체의 사명에 동의하고 기부할 수 있는 여력이 있는 잠재기부자
- 잠재적 모금 대상
- 이사회, 경영자그룹, 직원 (전현직)
- 클라이언트, 자원봉사자, 지역사회관계자, 조직의 상품과 서비스 관련자들, 행정관계자 등
- 일반적 가능성있는 대상이 잠재 기부자로 전환될 확률 1/6
4. 단체, 또는 모금가가 잠재기부자에게 접근하고 요청하는데 필요한 전략 및 준비사항
- Plan : 중장기적인 기획, 계획
- Public Relations : 대상대상 관련 홍보를 통한 이해.참여 확보
- Time& Timing : 자원동원활동 계획.수행을 위한 시간투자, 적절한 실행시기
- Staff : 전문지식, 기술갖춘 직원
- Budget : 자원동원에 필요한 예산투자
320x100
'필기-복지경영 > 사회복지자원 개발 및 전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복지자원개발및전략] 사회복지자원개발과 모금 - 모금의 원칙 (0) | 2021.09.08 |
---|---|
[사회복지자원개발및전략] 사회복지자원개발과 모금 - 모금의 전략 (0) | 2021.09.08 |
[사회복지자원개발및전략] 사회복지자원개발과 모금 - 모금 관련 개념 및 현황 (0) | 2021.09.08 |
[사회복지자원개발및전략] 사회복지 자원개발의 이해 - 사회복지 자원개발의 발전방안 (0) | 2021.09.01 |
[사회복지자원개발및전략] 사회복지 자원개발의 이해 - 사회복지 자원개발의 개념과 전략 (0) | 2021.09.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