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필기-복지경영/사회복지자원 개발 및 전략

[사회복지자원개발및전략] 사회복지자원개발과 모금 - 모금 관련 개념 및 현황

2021. 9. 8.
320x100

 

1. 모금관련 개념

 

  • 모금(자원개발)이란 무엇인가?
    • 기부란, 자아와 공적인 영역을 이어주는 다리.
      사적인 영역(신념, 관심, 가치나 열정 등)에서 출발하여 
      돈.시간.재능 등 자신의 자원을 지역내 다른 사람을 위해 제공하는 것 .
      모금활동을 통해 기부자는 지역사회 제공자 이상으로 지역내 정보를 제공받고
      자신을 표현하게 됨(피터 케로프)
    • 모금이란, 다양한 유형의 재정지원자를 발굴하고 이들을 조직화하여,
      이들이 정기적, 안정적으로 기부하며
      새로운 기부자를 끌어오도록 하는 제반 기획. 관리 활동


  • 참고개념이해
    중세 chritas(구제 : 욕심없는 희생의 의미) 
    + 근대 philanthropy(인간의 삶에서 근본적인 문제의 해결점을 찾으려는 개인의 노력) 
    + 오래된 charity(구제 : 인간의 아픔을 해소한다는 의미, 기독교의 전통적 구제개념)의 융합으로 
    현재의 모금과 기부의 개념이 시작
    • 모금 (자원개발, 마케팅...자원개발 담당기관입장에서의 용어)
    • 나눔 (자선,기부, 후원, Philanthropy, giving charity donation, 사회공헌... 자원제공자. 참여자 입장에서의 용어)
    • cf. philanthropist의 유래 : 그리스신화 속 프로메테우스가 올림푸스산에 있는 불을 훔쳐서 동굴에서 동물처럼 살고 있던 인간에게 주어, 인간을 인간답게 살 수 있도록 만들어준 최초의 필란트로피스트라고 묘사.
      예측할 수 없는 미래에 대한 희망과 낙관주의를 주어 인간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동기부여한 것에서 기원

 

 


2. 모금의 목적

 

  • “모금의 목적은 돈을 모으는 것이 아니라
    기부자들과 관계를 형성하고 기부자들을 모으는 것이다”
    • : 그들이 단체에 관심을 갖고 
      단체가 하는 일이 마음에 들어 
      자꾸 함께 하고 싶도록! 
      본인 뿐 아니라 주변에 새로운 기부자까지 끌어오도록!
    • : 모금을 통해 기부하는 사람을 개발하고 
      관계를 구축하는 것이 모금의 진정한 목적
  • “비영리 조직의 진정한 성공은
    그 조직과 단체가 표방하는 일을 어떻게 추진해 나가는지에 관하여 
    더 많은 사람들이 호의적인 관심을 가지는데 달려있다(정무성. 황정은). ”
    • 기부자가 프로그램을 자기 일처럼 여길 수 있는 일,
      사업(프로그램)의 (긍정적의미의) 소유자가 될 수 있도록 하는 일

 

 

 

 

3. 모금활동 주요주체

 

  • 비영리단체(풀뿌리, 시민단체 등)의 모금
  • NGO. 재단 등의 모금
  • 종교단체 헌금
  • 학교/ 병원의 발전기금, 장학금 모금
  • 사회복지기관. 단체의 모금
  • 기타) 사회적경제조직 등

=> 모금활동의 주요주체의 범위는 전통적 비영리영역.복지영역을 넘어서서 확장되고 있다.

 

 

참고) 국내 주요 모금사례

  • 모금전문조직을 통한 전국민적 모금활동
    : 사랑의 열매 사회복지공동모금회
  • 대표적인 방송을 통한 모금활동
    : 사랑의 리퀘스트(현재 폐지, 방송+ 전화ARS후원)
  • 국민대상 홍보. 회비모금 등을 통한 모금활동
    : 대한적십자사
  • 대학병원 모금 활성화사레
    : 세브란스병원
  • 교육기관. 대학의 모금사례
    : 이화여자대학교 소액모금

 

 

 

 

4. 모금환경

 

  • 기부문화확산 운동의 적극적 전개
  • 조직별 모금개발관련 노력증가
  • 등록된 모금활동단체(비영리단체, 복지기관) 증가로 경쟁심화
  • 복권, 사회투자채권, 사회적기업 등 대체적 상품 출현으로
    전통적 모금에서 초점 분산
  • 비영리단체 넘어
    정부까지 기부금조성(디딤돌, 희망온돌 등)
  • 기부에 관한 진실(Kim Klein)
    • 덴마크 90%, 미국, 캐나다 70%, 필리핀 80%, 한국 64% 기부 참여
    • 기부금의 50%~80%는 중산층과 저소득층, 수적으로도 대다수, 매년 증가
      (재단과 기업의 역할이 과대평가)
    • 대부분 5개소~최대 15개소에 기부
    • 미국 비영리단체, 민간기부금의 최대규모는 종교단체 (점차 축소됨 30%))
    • 공적부조 대상의 20% 기부활동, 백만장자의 97%도 기부
    • 자원봉사활동참여자가 더 많은 기부활동
    • 투표하는 사람보다 더 많은 기부자수
    • 기부자 대다수는 스스로 종교적, 영적인 사람으로 생각
    • 기부해달라는 권유를 받으면 기부에 참여

 

 

 

 

5. 우리나라 모금 특성

 

  • 정기적, 장기적 모금보다는 일시적. 감동적 모금이 부각되는 추세
  • 개인 기부 확대가 바람직한 추세이나,
    복지계등에서 대기업, 대형재단 등 의존경향이 강조되고 있음
  • 사회복지기관들의 전체 예산대비 모금을 통한 자원개발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음.
    정부지원 등에 의존하는 경향이 아직까지 높음.
  • 방송, ARS, 온라인 등 기부방법과 마케팅기법이 다각화되는 추세
  • 자원개발 자체에 지나치게 치중하는 경향이 강하며,
    기부자와의 관계형성 및 관리의 중요성. 전략부분에서 부족함이 존재함
  • 모금전문가의 양성. 활동기반이 약하며,
    조직적이고 체계적인 모금분야 업무추진에서의 발전방안 모색이 필요

 

  • 국내 나눔자원추계
    * 출처: 공동모금회 나눔연구소, 연구센터(2014) 국내 기부추세
    •    
      구분  국세청 아름다운재단
      Giving Index 2010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민간나눔자원 총량추계연구
      조사 시기 2013 2009 2013
      대상 이원
      (환산 방법)

      632만 명 1,035명
      (19세 이상 인구
      3,870만 명 환산)
      37,648명
      (13세 이상 광역시/비광역시거주
      4.195만 명 환산)
      자산적 기부 규모 약 7조 8,314억 원 약 1조 1,798억 원  약 3조 6,897억 원
      종교적 기부 규모 약 11조 3,142억 원 -
      기업 기부 규모  약 4조 6,545억 원  - 약 3조 0,263억 원
      자원봉사 금전가치 - 약 2조 1,880억 원  약 3조 0,263억 원
      총 자원 규모  약 12조 4,859억 원  약 19조 6,820억 원  약 7조 9,916억 원
      GDP대비 비율 0.8% 1.3%  0.56%

 

  • 2015 한국의 사회지표_나눔
    * 출처 : 2015한국의 사회지표 보도자료(최종)
    • 기부
      • 2015년 우리나라 국민 중 기부를 해 본 경험이 있는 사람은 29.9%로 감소추

      • 기부경험 : 36.4%('11) > 34.6%('13) > 29.9%('15)
      • 2013년 보다 현금 기부율은 감소 (32.5%->27.4%)한 반면,
        기부 횟수 (6.3회->7.7회)와 평균 기부금액 (119천원->310천원)은 증가
      • 기부를 하지 않은 이유로
        '경제적 여유가 없어서(63.5%)'가 가장 많았고,
        이어서 '기부에 대한 관심이 없어서(15.2%)', 
        '기부 단체를 신뢰할 수 없어서(10.6%)'의 순으로 나타남

  • <세계기부지수>
    Charities Aid Foundation (2015) : 공동모금회 나눔연구소(2014) 재인용
    • 영국 자선지원재단(CAF)에서 2010년부터 갤럽조사에 의뢰하여 전세계 160개국을 대상으로
      나눔활동 조사 및 결과발표
    • 설문문항 : 기부, 자원봉사, 이웃 돕기 3개 문항으로 구성
    • 2015년 보고서는 2014년 145개국 조사결과 발표
    • 1위 미얀마(66%), 2위 미국, 3위 뉴질랜드, 4위 캐나다
    • 우리나라는 세계 기부 지수가 2012년 45위에서 2014년 60위로 하락함
    •  
      국가 세계 기부 지수 이웃 돕기  기부 자원봉사
      순위 점수(%) 순위 점수(%) 순위 점수(%) 순위 점수(%)
      한국 60 35 74 50 55 34 63 21
      (기부) 지난 한달 동안 금전적 기부를 한 적이 있습니까?
      (자원봉사) 지난 한달 동안 단체를 통해 자원봉사활동을 한 적이 있습니까?
      (이웃돕기) 지난 한달 동안 도움이 필요한 모르는 사람을 도와준 적이 있습니까?
      (세계기부지수) 기부, 자원봉사, 이웃돕기 각 영역 참여율의 단순 평균
320x10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