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자원개발및전략] 자원개발의 실제 - 사회적 경제 방식의 자원 확보
1. 사회적경제의 개념 주요 가치 : 상호성, 연대, 노동통합, 사회적 수요 해결, 혁신 경제적 지속가능성 + 사회적 문제해결 영리조직과 비영리조직의 혼성적 연속선에 있으며, 사회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를 동시에 추구하는 조직 구성원이나 공공을 위한 목표, 경영의 자율성, 민주적인 의사결정과정,수익배분에 있어서 자본보다 사람과 노동의 중시의 원칙을 따르는 경제활동 [서울시사회적경제지원센터] 연대에 기반을 둔 시민경제, 노동시장에서 배제된 사람들을 위한 노동통합적 목적을 지닌 협회나 협동조합을 포함한 활동, 기업적 특징(재화. 서비스공급, 지속적 생산, 높은 수준의 자율성, 상당 정도의 경제적 위험, 최소한의 유급노동)과 사회적 특징(지역사회를 이롭게 하는 목표, 시민의 자발적 노력, 자본소유와 무관한 의사..
2021. 11. 8.
[사회복지자원개발및전략] 자원개발의 실제 - 기업 자원확보: 기업사회공헌
1. 기업사회공헌 추세 소액다수 지원 🡺 거액소수지원 선택과 집중. 확실한 성과달성을 위한 지원 단순지원, 자원지원, 1회 성지원 🡺 직접적 참여, 파트너십 형성, 지속적 지원 : 사회복지. 비영리단체와의 전략적 파트너십 타기업과 차별화된 후원상품. 기업의 고유한 특성, 가치에 맞는 후원상품 기대 후원과 자원봉사를 병행하는 경향 단순 지원, 결연지원 🡺 신규사업기획, 사회적 경제방식의 투자형 후원 등 2. 기업의 사회공헌활동 방법 재단을 통한 자원나눔 독립재단 기업과 연계된 개인, 집단의 조성기금을 통해 설립. 운영 모기업과 운영상 분리 (기업대표가 설립하더라도 사적으로 기부하거나 기타 모금된 기부금로 설립하는 경우도 존재하나, 실제 해당 기업과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경우) 단, 출연자(기부자)의 특성, ..
2021. 11. 8.
[사회복지자원개발및전략] 사회복지자원개발과 지역사회 - 지역사회 자원개발의 개념
1. 자원개발에 있어서 지역사회는 무엇인가? 지역사회는 사회문제의 장인 동시에, 복지서비스의 장이며, 또한 자원의 창고로 다양한 자원이 산재해 있다. 따라서 자원개발을 위해서는 우선 지역사회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필요로 한다(엄미선, 2011) 지역은 보물로 가득차 있다(원기준) : 마을마다의 역사와 문화, 마을의 생활상, 나의 이웃들이 바로 내가 살고 있는 지역의 경쟁력임을 강조 2. 지역사회 사회복지자원개발의 정의 사회복지실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시설, 설비, 자금, 인력, 프로그램 등을 지역사회 내에서 발굴하여 유용하게 만드는 것(엄미선) 지역공동체를 위한 사회복지자원은 사회적 욕구를 충족시키고 사회적 위험에 대비하여,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유․무형의 서비스와 물질적 요소..
2021. 10.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