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과문화] 문화 속 노인과 죽음 - 좋은 죽음을 위한 죽음준비교육
죽음준비교육의 정의 지금까지 살아온 자신의 인생을 되돌아보고 앞으로의 삶을 어떻게 보낼 것인가 계획함으로써 죽음에 대한 공포를 극복하고 죽음을 받아들이도록 하는 교육과정 (정병은, 2010) 죽음준비교육의 필요성 죽음불안을 감소시키고, 노년기 생활만족도와 심리적 안녕감을 높임 (김성희, 송양민, 2013). 죽음교육에서 고려되어야 할 4가지(Kalish, 1989) 해결되지 않은 이전 경험으로 인한 개인의 관심을 고려해야 함. 최근 경험한 가까운 가족의 죽음과 같은 경험을 고려해야 함. 간호, 의료, 사회복지, 종교, 호스피스, 자원봉사와 같은 중요 분야와의 작업이 함께 이루어져야 함. 죽음의 의미나 자신의 죽음이나 타인의 죽음에 대처하는 효과적인 방법을 더 잘 이해하도록 해야 함. 죽음교육의 4가지 차..
2021. 12. 10.
[노인과문화] 문화 속 노인과 죽음 - 웰다잉(Well Dying)
한국인이 생각하는 좋은 죽음 한국 노인 두려움 없이 죽음을 맞이해야 한다. 자녀를 앞세우지 않는 죽음, 고통스럽지 않게 맞는 죽음, 깨끗하고 정갈한 모습으로 맞는 죽음, 걱정이나 미련 없이 죽음, 사랑하는 사람이 마지막까지 곁을 지켜주는 죽음 짐이 되기 전에 떠나야 한다. 신체나 정신이 건강한 상태를 유지하다 죽음, 연명치료를 하지 않음. 개똥밭에 굴러도 이승이 낫다. 죽음을 부인하고 가능한 한 오래 살기를 바람, 죽음 준비 등은 불필요함. * 출처 :정경희, 김경래, 서제희, 유재언. 이선희, 김현정, 2018. 죽음의 질 제고를 통한 노년기 존엄성 확보 방안. 한국 중년 담담히 죽음을 맞이해야 한다. 두려움, 걱정, 생에 대한 미련이 없이 맞는 죽음, 신체적으로 정신적으로 건강한 상태에서 맞는 죽음,..
2021. 12.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