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과문화] 문화 속 노인과 건강 - 노년기 건강에 대한 이해
1. 노년기 건강의 중요성 WHO(세계보건기구) 건강의 정의 단순히 질병이 없거나 허약하지 않은 상태만 말하는 것이 아니라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및 영적으로 완전히 안녕한 상태 건강의 종합적인 면을 강조하고, 이상적인 상태를 의미함 건강의 중요성(Shanas & Maddox, 1976를 최성재, 장인협, 2008에서 재인용) 생물학적 존재인 인간의 생명을 유지시켜 주는 핵심적인 요소. 개인의 일상생활을 영위하고 개인의 목표를 달성해 나가는데 필수적인 요건 결혼생활, 가정생활, 사회생활에서의 역할 수행을 위한 중요한 요인 자아상을 긍정적으로 유지하고, 인간관계에서 소외, 고립 되지 않고 사회에서의 삶의 주류 속에서 자신을 통합하도록 함 노년기 건강의 중요성 건강 유지가 노년기 삶의 만족을 좌우함 신체 ..
2021. 10. 24.
[노인과문화] 문화 속 노인과 일, 은퇴 - 노년기 퇴직
1. 은퇴의 배경과 개념 은퇴의 제도화 배경 퇴직이 본격적으로 제도화된 것은 산업화와 관련된 몇 가지 요인의 복합적으로 작용했기 때문 퇴직의 제도화의 관련요인 : 노동력 수요의 감소, 생산기술과 지식의 급속한 발전, 생산조직의 관료화, 노후소득보장제도의 발전 (장인협, 최성재, 2006) 은퇴와 퇴직의 개념 은퇴라는 용어는 일의 개념보다는 직업이라는 개념과 관련하여 정의를 내리는 경우가 많음 이유 : 사람은 사망 때까지 일을 멈추지는 않지만 직업적인 고용상태에서 물러남 (Atchley,2000). 퇴직이라는 것은 일반적으로 고용상태의 직위에 관련된 역할수행을 중단하게 된 현상을 의미함 퇴직은 관심영역에 따라 사건, 과정, 역할, 생활단계라는 의미로 사용됨(Atchley,1976) 사건으로서의 퇴직 : 퇴..
2021. 10. 22.
[노인과문화] 문화 속 노인과 건강 - 노년기 우울
연령대별 우울증 환자 비율 출처: 자료_서울아산병원(2020. 11. 30), 그림_http://www.datasom.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0513 연령이 높아질수록 우울증상 증가 : 65~69세(8.4%), 85세이상(24.0%) - 2020년 노인실태조사 성별 유병률 : 여자노인(15.5%) > 남자노인(10.9%) - 2020년 노인실태조사 노인 우울증의 증상 타 연령에 비해 표면적으로 드러나는 우울증상이 비전형적임. 우울감은 적게 호소함 신체적 불편감 호소 (소화불량, 복통, 두통, 관절의 통증 등) 인지기능 감퇴 혼란, 초조, 불안, 과민 등의 기분상태를 호소 무력감, 유쾌한 자극에 대한 반응 상실(무쾌감), 아침에 악화되는 우울감, 초조함, 죄책감. ..
2021. 10.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