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0x100
노인 사망자 수와 원인(2019년)
총 사망자 295,110명 중
60세 이상 사망자 비율 83.5%
80세 이상 사망자가 전체 사망자 중 47.0%
노인 사망원인 순위
질병 → 자살 → 안전사고 → 추락사고
- 과거에는 없었던 교통사고나 사고로 인한 사망이 늘어남.
질병에 의한 사망
65세 이상 사망원인 및 사망률 (단위: 인구 10만명당)
구분 | 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2000년 | 암 (927.7) |
뇌혈관질환 (785.3) |
심장질환 (358.9) |
당뇨병 (218.4) |
만성하기도질환 (209.1) |
2010년 | 암 (882.4) |
뇌혈관질환 (409.40) |
심장질환 (344.0) |
당뇨병 (153.1) |
폐렴 (127.6) |
2019년 | 암 (750.5) |
심장질환 (335.7) |
폐렴 (283.1) |
뇌혈관질환 (232.0) |
당뇨병 (87.1) |
출처: 통계청, 사망원인통계
질병 중에서의 순위
암, 심장질환, 폐렴, 뇌혈관질환, 당뇨병의 순
(통계청, 2019)
의료예방체계 및 의술의 발달 및 영양상태의 호전으로 인해
사망원인이 되는 질병이 달라짐.
- 65세 이상 노인의 사망원인 1위는 암
- 암으로 인한 사망률은 조기발견과 치료기술의 발전으로 꾸준히 감소 추세.
- 치매로 인한 사망자 증가
- 특히 주목할 사항
: 65세 이상에서 알츠하이머병이 6위 - 치매에 의한 사망자 수(2019)
: 총 10,357명(치매 사망률: 인구 10만명 당 86.1명)
- 특히 주목할 사항
질병으로 인한 사망시 고려사항
- 노년기 질병 치료, 간병 및 돌봄, 임종까지 연결시켜서 생각해야 함
- 치료에 집중하다 죽음 준비를 하지 못하거나,
원하지 않는 병원 중환자실이나 노인요양병원에서 맞음
→ 원하지 않는 죽음을 맞을 수 있음
외부요인에 의한 사망
연령 (세) |
2019년 | 외부요인에 의한 사망 | ||||||
운수사고 | 추락사고 | 익사사고 | 화재사고 | 중독사고 | 자살 | 타살 | ||
전체 | 53.1 | 8.2 | 5.2 | 0.9 | 0.5 | 0.4 | 26.9 | 0.8 |
0 | 16.6 | 1.0 | 1.0 | 0.7 | - | - | - | 4.9 |
1-9 | 3.6 | 1.1 | 0.4 | 0.4 | 0.1 | 0.0 | 0.1 | 0.9 |
10-19 | 9.4 | 1.8 | 0.3 | 0.4 | 0.1 | 0.1 | 5.9 | 0.3 |
20-29 | 25.7 | 3.7 | 0.4 | 0.3 | 0.1 | 0.2 | 19.2 | 0.3 |
30-39 | 34.6 | 3.8 | 0.9 | 0.4 | 0.0 | 0.3 | 26.9 | 0.5 |
40-49 | 43.2 | 4.5 | 2.4 | 0.6 | 0.3 | 0.6 | 31.0 | 0.7 |
50-59 | 57.7 | 8.5 | 5.6 | 1.2 | 0.6 | 0.6 | 33.3 | 1.1 |
60-69 | 72.5 | 14.1 | 8.5 | 1.3 | 0.8 | 0.7 | 33.7 | 0.9 |
70-79 | 125.5 | 26.8 | 16.8 | 3.1 | 1.4 | 0.6 | 46.2 | 1.2 |
80 이상 | 288.3 | 38.1 | 43.0 | 2.7 | 2.7 | 1.0 | 67.4 | 1.6 |
- 60~70대: 자살, 운수사고, 추락사고의 순
- 80세 이상: 자살(67.4명), 추락사고(43.0명), 운수사고(38.1명) 순.
노인 자살
65세 이상 자살에 의한 사망률 (단위: 인구 10만명당)
1990 | 1995 | 2000 | 2005 | 2010 | 2015 | 2019 | |
65세 이상 | 14.3 | 23.6 | 35.5 | 80.3 | 82.9 | 58.6 | 46.6 |
-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자살률(인구 10만명당)은
2015년 기준 58.6명으로 OECD 회원국 18.8명보다 훨씬 높음
(2019 자살예방백서) - 2015년 65세 이상 남자의 자살 사망률은 인구 10만 명당 95.2명으로,
여자의 자살 사망률 32.1명 보다 거의 3배 정도 높음 - 2018년 60대 32.9명, 70대 48.9명, 80대 이상 69.8명으로 연령이 높아질수록 많음
320x100
'필기-교양 > 노인과 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인과문화] 문화 속 노인과 죽음 - 웰다잉(Well Dying) (0) | 2021.12.10 |
---|---|
[노인과문화] 문화 속 노인과 죽음 - 죽음의 질 (0) | 2021.12.10 |
[노인과문화] 문화 속 노인과 죽음 - 죽음에 대한 이해 (0) | 2021.12.09 |
[노인과문화] 문화 속 노인과 미디어 - 대중매체 속의 노인 들여다보기 (0) | 2021.12.07 |
[노인과문화] 문화 속 노인과 미디어 - 대중매체의 이해 (0) | 2021.12.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