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의 정의
생존능력을 상실하고 죽어가는 과정이 끝나는 것
(김태현, 2007)
WHO: 소생할 수 없는 삶의 영원한 종말
(정옥분, 2008)
죽음의 유형
생물학적 죽음
생물의 생명이 없어지는 현상,
세포 내의 연속적인 생리적 변화가 불가역적으로 되어 정지하는 상태
(국립국어원, 2007; 서혜경, 2007)
심장기능 및 호흡기능과 뇌반사의 불가역적 정지 또는 소실
(대한의학협회, 1983)
정신/심리학적 죽음
살아있으되 회복할 가능성이 없이 혼수상태(뇌사상태)에 있거나
정신적으로 죽은 것과 다름이 없는 상태
(홍숙자, 2999; 김태현, 2007)
- 뇌사 상태를 생물학적 죽음으로 인정할 것인가 하는 문제가 남아 있음.
사회적 죽음
인간이 사회 환경에 더 이상 적응될 수 없는 상태로서
현실세계로부터 완전히 위축될 경우
(김태현, 2007)
분리이론을 근거로 한 사회적 죽음
: 사회적으로 무익하고 쓸모가 없다고 판정하여 버리는 것
(홍숙자, 1999)
법적 죽음
의사가 죽음을 판정한 이후
이를 기초로 죽음을 법적으로 인정한 경우
죽음에 대한 태도
정의
: 죽음에 대한 개인의 감정, 인지 및 신념
(김지현, 2005)
일반적인 죽음에 대한 태도
- 죽음에 대한 태도는 개인마다 다름. 그런데 그 태도는 삶의 과정에서 형성됨.
- 대부분의 사람들은 죽음의 보편성을 인정하지만, 자신의 죽음은 거부함.
노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
- 노인은 일반적으로 죽음에 대한 불안이나 공포를 갖고 있음과 동시에
죽임의 불가피성을 인지하고,
그것을 수용하려는 태도도 有.
(최성재, 장인협, 2008). - 노년기 죽음에 대한 태도는
성공적 노후의 필수조건임.
(Kalish, 1975).
죽음에 대한 태도 영향요인
성별
여성이 남성보다 죽음에 대해 더 불안을 느낌
(최영임, 장휘숙, 2001).
연령
죽음에 대한 공포와 불안은 중년층(45-55)에게서 가장 ↑,
노인집단(65세 이상)이 오히려 ↓
(홍숙자, 1999).
- 노인의 죽음불안이 낮은 이유
(Retsinas, 1988; 홍숙자, 1999; 정옥분, 2008)
- 이미 사회적 죽음의 과정을 경험하며 살아옴.
- 다른 연령층보다 질병에 더 익숙하고 죽음의 가능성을 더 많이 생각해옴.
- 죽음을 고통, 슬픔, 사회적 고립, 의존, 외로움의 끝이라고 보고 죽음을 기다림.
- 친구나 친지의 죽음을 경험하면서 점차 자신의 죽음을 받아들이도록 생각을 재조정함.
종교
- 신앙심이 깊은 사람이 죽음 불안이 가장 少.
신앙심이 전혀 없는 사람이 그 다음으로 죽음을 덜 두려워하며,
신앙심이 약간 있는 사람이 죽음에 대해 가장 크게 두려워 함
(정옥분, 2008).
- ∵ 종교에서 생명의 연속성을 강조하므로 끝이 아닌 다음 세상을 기약할 수 있기 때문.
- 종교에 따른 죽음관의 차이
- 뉴잉글랜드 청교도 : 선택받은 사람만이 천국에 들어간다고 믿어 죽음에 대한 공포가 큼
문화
: 대부분의 사회는 죽음을 금기시하여 회피하는 경향이 多.
- 죽음에 관한 언어
: 완곡어법의 사용
예) 죽었다라는 표현 대신 잠들었다, 세상을 떠났다, 긴 고통에서 벗어났다 등으로 표현 - 우리나라 문화에서의 죽음
: 죽음에 대한 터부시, 죽음에 대한 논의를 금기시
- 숫자 4의 기피: 4층 표시
- 묘자리, 수의 준비
- 속담: ‘개똥으로 굴러도 이승이 낫다’,
- 산소 : 산 자와 죽은 자가 머무는 영역 구분
- 외국 문화
- 유서를 미리 쓰는 문화, 묘지공원
- Amish, 인디언: 죽음은 두려운 대상이 아니라 자연스런 본성적인 전이이다(홍숙자, 1999).
- 멕시코: ‘죽은 자의 날’
해결하지 않은 문제
해결하지 못한 문제가 남아 있는 경우 죽
음을 수용하는데 더 어려움을 겪음.
개인의 삶에 대한 평가
- 자신의 인생이 의미 있었다고 느끼는 사람은
삶의 의미에 대해 방황하고 있는 이들에 비해
대체로 죽음을 더 쉽게 받아들임
(정옥분, 2008).
'필기-교양 > 노인과 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인과문화] 문화 속 노인과 죽음 - 죽음의 질 (0) | 2021.12.10 |
---|---|
[노인과문화] 문화 속 노인과 죽음 - 한국 노인 죽음의 실태 (0) | 2021.12.09 |
[노인과문화] 문화 속 노인과 미디어 - 대중매체 속의 노인 들여다보기 (0) | 2021.12.07 |
[노인과문화] 문화 속 노인과 미디어 - 대중매체의 이해 (0) | 2021.12.06 |
[노인과문화] 문화 속 노인과 미디어 - 노인차별주의에 대한 이해 (0) | 2021.12.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