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0x100
대중매체에서의 노인의 비율
- 노인인구의 급속한 증가
년도 1970 1990 2000 2015 2020 2030 2040 65세이상
인구비율3.1% 5.1% 7.2% 13.2% 15.7% 32.3% 37.4% - TV 뉴스, 드라마, 영화, 오락, 광고 속에서 등장하는 노인의 비율은
실제 노인인구 비율에 비해 낮음
TV뉴스와 신문보도 속 노인 살펴보기
- TV뉴스와 신문보도 속 노인 관찰 Point
- 노인과 관련하여 다루어지는 뉴스 주제는 무엇인가?
- 뉴스와 함께 제공되는 사진이나 영상이 적합한 것인가?
- 뉴스에 등장한 노인을 묘사하기 위해 주로 어떠한 단어가 사용되는가?
- 노인과 관련된 사회문제의 해결자가 누구인가?
- 노인관련 보도에서 다루어지는 주요 주제
- 노인 건강
- 노화 방지, 노화기피증, 노인성형 등의 anti-aging
- 강유지와 증진 방법
- 고혈압, 당뇨, 골다공증 등의 노인성 질환에 대한 이해
예) 치매와의 전쟁
- 노인관련 사건 사고
- 노인에 의한 범죄
(범죄율 상승, 사기, 성범죄 등) - 노인대상의 범죄
(사기, 살인 등) - 노인 자살
- 노인 실종, 치매 노인의 가출 등
- 노인학대
(노인 유기 및 방임, 신체적 학대, 정서적 학대 등)
예) 요양원에서 치매노인 폭행 http://www.youtube.com/watch?v=Azr4sxsUUe0
노인 범죄 : http://news.donga.com/Society/3/03/20091210/24691329/2&top=1
- 노인에 의한 범죄
- 노인관련 사회적 이슈
- 치매, 조손가정의 문제
- 노인 취업 및 일자리 창출
- 노인의 성, 노인의 재혼
- 새로운 노인 상의 제시(자원봉사, 여가활동 등)
- 노인복지제도 시행(장기요양보험, 국민기초노령연금 등)
예) 노인 성매매 http://www.youtube.com/watch?v=5249wKD9dps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3/07/05/2013070500305.html
- 노인 건강
- 신문보도에서 드러난 노인(김지혜, 2003)
- 김문영(2005): 한국 사회의 담론 분석
질병, 성적 불능, 외관상 추함. 지적 능력의 감퇴, 노망 - 노인이 되는 것은 사회적인 골칫거리로,
해결해야 할 문제적 인간이 됨을 의미 - 노인 관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들이
노인이 아닌 전문가에 의해 일방적으로 제시됨. - 해결방안은 자기관리와 건강유지를 강조하며
노인의 삶의 통제함
- 김문영(2005): 한국 사회의 담론 분석
- 신문보도에 드러난 신 노년층의 등장(한경혜, 윤성은, 2007)
- 노인은 건강과 젊음을 유지하면서,
활동(자원봉사, 유급노동, 학습 등)을 끊임없이 함으로써
자립성을 유지하고, 사회에 기여함 - 비판: 건강하고 고학력의 노인집단을 부각시킴으로써
일부 선택적인 집단만 다룸.
- 노인은 건강과 젊음을 유지하면서,
TV 드라마와 영화 속 노인 살펴보기
- TV 드라마와 영화 속 노인 관찰 Point
- 노인이 몇 명, 얼마나 자주 등장하는가?
- 누가 노인 역할을 맡고 있는가?
- 노인이 주인공인가? 주변인물인가?
- 노인의 성격은 어떠한가?
- 노인의 외모는 어떠한가?
- 노인의 역할과 지위는 무엇인가?
- 등장하는 노인의 가족 구성은 어떠한가?
- 노인이 등장하는 배경이나 장소는 어느 곳인가?
- 노인의 언행이 실제 노인 모습과 일치하는가?
- 추정되는 노인의 연령과 외모나 언행이 일치하는가?
- TV 드라마와 영화 속 노인
- 노인 규정의 어려움
- 등장인물의 정확한 역연령을 알기 어려움
- 60-70대로 추정될지라도
외모나 행동이 일치하지 않은 경우가 많음
- 신체적인 능력과 심리적인 능력이 떨어지는 모습으로 묘사하는 경향이 있음.
- 신체적 특성
: 흰머리, 눈과 손의 주름살, 구부정한 허리, 지팡이나 휠체어 사용, 돋보기나 보청기
사용, 동작이 느림 - 심리적 특성
: 기억력 감퇴로 인한 건망증, 조심성이 많음, 잔소리가 많음, 고집이 세고 융통성이
없음, 판단력이 흐림, 치매 - 사회적 특성
: 퇴직함, 홀로 삼, 손자나 중년 자녀를 둠, 손자녀를 돌봄, 경로당에서 시간을 보냄.
- 신체적 특성
- 드라마 속의 여성 노인
- 아내와 어머니의 역할로 제한됨
- 젊은 여성보다 성적 매력이 없고, 정숙하고 무성적인 존재로 묘사됨
- 약자로 보호와 배려의 대상 vs 재력 또는 생활력이 강인함
- 노인 규정의 어려움
- TV 드라마와 영화에서의 노인의 변화
- 노인은 주인공을 둘러싼 주변인 역할(부모나 친인척, 이웃) → 다양한 모습의 주인공으로 등장
(노인이 문화의 중심으로 들어오고 있음을 의미)
참고자료: http://www.pd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55348 - 노인 연기자의 변화
- 젊은 배우가 분장을 하고 노인 연기를 함 → 30-40년 이상 연기를 해온 배우(김수미, 김용림, 김혜자, 최불암, 이순재 등)들이 나이가 듦에 따른 자연스러운 노인의 모습을 그대로 보임
- 노인은 주인공을 둘러싼 주변인 역할(부모나 친인척, 이웃) → 다양한 모습의 주인공으로 등장
- TV 드라마와 영화 속 노인의 중요성
- 드라마나 영화에서 제시되는 노인과 노화에 대한 이미지 → 노화와 노인에 대한 태도 형성
- TV 드라마와 영화 속 노인 등장과 관련된 이슈
- 우리 사회가 젊음을 숭배하는 추세임에 따라
드라마나 영화의 주제가 젊은이 취향이나 젊음에 관한 주제에 치중되고 있는 것은 아닌가? - 경력이 많은 고령의 연기자를 고용하는 것이 제작비에 부담을 주지 않는가??
- 젊은 제작자나 연출가가 고령의 연기자와 함께 일할 때
젊은이와 일할 때보다 더 부담스럽지 않은가? - 드라마에 노인이 등장하는 장면을 시청자가 싫어하지는 않는가?
- 노인 이야기를 제대로 담아낼 수 있는 작가나 제작자가 부족하지 않는가?
- 우리 사회가 젊음을 숭배하는 추세임에 따라
광고 속 노인 살펴보기
광고의 위력
“광고는 일반 대중의 자의적인 선택 없이 반복적인 메시지를 각 개인의 무의식에 심어 주게 됨으로
써 개인에게 정서적으로나 심리적으로 강한 영향력을 미친다.”(김미혜, 원영희, 1999)
광고 속 노인 관찰 Point
- 광고에 노인이 얼마나 많이 등장하는가?
- 노인이 등장하는 광고는 어떠한 상품을 팔고자 하는가?
- 광고에 등장하는 노인은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가?
- 노인이 등장하는 맥락은 어떠한가?
- 광고에서 노인은 어떻게 묘사되는가?
광고 속 노인 묘사
- 노인의 나이를 추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주름살, 흰머리, 손자나 손녀의 존재, 장성한 자녀의 존재, 은퇴 후를 암시하는 배경, 질환 등으로
노인의 특징을 묘사함 - 노인 모델은 할아버지, 할머니, 어머니, 아버지, 우리 등의 1인칭 대명사로 호칭되고 있고,
개별적인 주체로 호명되지 않음
예) 부모로 산다는 것 http://www.youtube.com/watch?v=EAsXQVR6yes - 노인이 중심 역할을 맡은 광고는
통신, 정부 관련 기관, 보험, 의약 또는 건강 등의 연령과 직접 관련된 제품군임. - 노인은 가족관계를 배경으로 하거나
일상적인 활동을 하는 모습으로 국한되어 등장함 - 여성 노인은 독거, 빈곤, 의존적이라는 이미지를 제시함
- 여성 노인만 등장하는 광고
: 혼자 살고, 빈곤층, 서민층으로 재현되는 비율이 높음 - 남성 노인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여성 노인에 비해 더 높은 것으로 표현됨
예) 할머니의 뜨개질 https://www.youtube.com/watch?v=kkcrhQSaJQo
- 여성 노인만 등장하는 광고
광고 속 노인의 변화
- TV 광고에서의 노인 등장 빈도는 증가 추세임(양정혜, 2011)
연도 1999-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빈도 2 21 17 23 38 31 48 36 45 58 - 서구에 비해 우리나라 노인들이 더 긍정적으로 묘사되고 있음(이병관 외, 2003).
- 미국 광고보다 노인을 활기차고 관대하고 독립적이고
그들의 목적을 능동적으로 추구하고
사회생활에 적극 참여하는 것으로 묘사되고 있음.
- 미국 광고보다 노인을 활기차고 관대하고 독립적이고
- 노인의 정형화된 이미지를 강조함과 동시에
이를 탈피하려는 노력이 공존하고 있음.
- 기업 이미지 광고에 빈번하게 등장함
예) 노인의 차량 구매 이야기 https://www.youtube.com/watch?v=9isrytamPsc
Going Home https://www.youtube.com/watch?v=Xy5XPb37WgI
- 기업 이미지 광고에 빈번하게 등장함
대중매체의 변화
고령화에 발맞추어 노인이 주인공인 프로그램의 등장
- 드라마
: ‘디어 마이 프렌즈’ - 영화
: ‘죽어도 좋아’ ‘해로’ ‘그대를 사랑합니다’ ‘님아 그 강을 건너지 마오’ ‘워낭소리’ ‘춘희막이’ ‘약장수’ ‘장수상회’ ‘아이 캔 스피크’ - 예능 프로그램
: 꽃보다 할배, 시니어토크쇼 황금연못, 백년손님 자기야, 머슴 아들, 예림이네
만물트럭, 힙합의 민족
노인 등장 프로그램의 변화 경향
- 황혼의 삶에 주목함
- 젊고 건강하고 활발하고 적극적이며 자립적인 노인들의 모습을 다룸.
- 세대 간 소통을 시도함
- 노인의 초월적 사랑이나 낭만적 사랑으로 미화되기도 함
- 노인을 재미의 대상, 신기함의 대상으로 제시되기도 함
320x100
'필기-교양 > 노인과 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인과문화] 문화 속 노인과 죽음 - 한국 노인 죽음의 실태 (0) | 2021.12.09 |
---|---|
[노인과문화] 문화 속 노인과 죽음 - 죽음에 대한 이해 (0) | 2021.12.09 |
[노인과문화] 문화 속 노인과 미디어 - 대중매체의 이해 (0) | 2021.12.06 |
[노인과문화] 문화 속 노인과 미디어 - 노인차별주의에 대한 이해 (0) | 2021.12.06 |
[노인과문화] 문화 속 노인과 주거 - 노년기 주거 문화 형성을 위한 고려사항 (0) | 2021.11.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