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필기-교양/노인과 문화

[노인과문화] 문화 속 노인과 주거 - 노년기 주거 문화 형성을 위한 고려사항

2021. 11. 22.
320x100

 

 

 

 

경제적 조건과 건강상태를 고려한 주거 유형

 

노후자금으로 유지가 가능한가?
▷ 청년·신혼부부는 있는데… 노인을 위한 집은 없다.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0042919124647293

 

 

건강상태의 변화에 따른 적절한 서비스를 지원받을 수 있는가?

  • 건강 악화나 일상생활에서의 자립능력이 저하되더라도
    시설이나 노인형 주택이 아닌 지역사회의 집에서 계속 거주하기 위해서는 
    물리적 환경, 일상생활지원, 의료 등 다양한 서비스를 필요함.
  • 가사, 간병, 목욕 등의 일상생활 지원, 정기적 안부 확인이나
    응급 시 구조 등의 안전 지원, 의료인이 집으로 찾아가는 의료・건강서비스, 
    병・의원 동행/외출지원 서비스, 각종 생활에 필요한 정보 제공 등의 상담서비스 등을 지원받을 수 있어야 함.

 

 

경제와 건강상태를 고려한 다양한 주거 대안 필요

구분 건강상태
건강 생활 일부 보조 요양
경제
상태
일반주택
노인복지주택
일반주택+재가복지서비스
노인복지주택(생활보조)
일반주택+요양서비스
요양시설
일반주택 일반주택+재가복지서비스
노인복지주택(생활보조)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
일반주택+요양서비스
요양시설
일반주택
공공임대주택
양로시설
공동생활가정
일반주택+재가복지서비스
노인요양시설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
요양시설

 

 

연속보호 은퇴 주거단지(CCRC: Continuing Care Retirement Community)
독립주거시설부터 생활보조주거시설, 요양시설까지 갖춘 복합적인 주거공동체로
최소 한 단계 이상의 건강악화에 대응할 수 있음
 CCRC의 개념적 모형 


<출처> 송준호(2010). 미국의 노인복지주택에 관한 고찰. p. 17

어떤 상황에서도 ‘Aging in place'가 가능하여 이동할 필요가 없이
사회적 관계를 지속할 수있고 
서비스 유형을 언제든지 변경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음
▷ 대표적인 CCRC는 미국 아니조나주의 선시티(Suncity)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4075947

 

 

 


유니버설 디자인

 

유니버설 디자인 정의

  • 특별한 개조나 특수설계를 하지 않고
    모든 사람들이 가능한 한 최대한까지 이용할 수 있도록
    배려된, 제품이나 환경디자인
    (Ronald Mace 교수)
  • 누구나 동등한 인간의 기본권이 평등을 보장해야 한다는 인식의 전환이며,
    모두를 위한 디자인을 해야 한다는 새로운 디자인 개념
    (김현정, 유보현, 2009).
  • ‘모두를 위한 디자인’, ‘포괄적인 디자인’, ‘생애주기 디자인’이라고도 불린다
    (우진희, 2001).

 

유니버설 디자인의 목표
- ‘연령이나 심신의 능력 혹은 사용 환경에 관계없이 가능한 모든 사람이 사용하기 쉬운 디자인

 

유니버설 디자인의 7원칙

  1. 공평한 사용(Equitable Use)
    : 특정한 조건의 사람이 사용하기에 불편함이 없는 디자인,
  2. 사용에 있어서의 유연성 확보(Flexibility in Use)
    : 다양한 개인적 기호 및 능력을 허용하는 디자인
  3. 간단하고 직관적인 사용(Simple, Intuitive Use)
    :사용자의 경험, 지식, 언어능력 등과 무관하게 쉽
    게 사용할 수 있는 디자인
  4. 쉽게 인지 가능한 정보(Perceptible Information)
    : 주변 환경이나 사용자의 감각적 능력과는 무관
    하게 필요한정보가 효과적으로 전달되는 디자인
  5. 오작동에 대한 포용력(Tolerance for Error)
    : 예기치 않은 동작에 의해 위험에 빠질 가능성을 최
    소화하는 디자인
  6. 신체적 부담의 경감(Low Physical Effort)
    : 신체적인 부담을 최소한도로 하고 효율적, 쾌적하게 사
    용 가능한 디자인
  7. 여유 있는 공간의 확보(Size and Space for Approach and Use)
    : 사용자의 신체적 크기, 자세,
    이동능력과 관계없이 쉽게 접근, 조작이 가능한 적절한 크기 및 넓이를 확보한 디자인

▷ 고령자 위한 주택 개조 '유니버설 디자인’
https://magazine.hankyung.com/money/article/202101205308c
▷ 유니버셜 디자인, 노인을 위한 착한 주택
https://cm.asiae.co.kr/article/2018022817110629196

 

 

 

 

세대 간 교류를 촉진하는 주거 유형

 

다양한 대안 모색 필요

  • 대학 연계형 은퇴자 마을
  • 공동체 주택


▷ 공동체주택 ‘여백’ 이웃사촌으로 오순도순
https://weekly.khan.co.kr/khnm.html?mode=view&artid=202001171824181&code=115
▷ "애들 웃음소리가 보약"… 3代가 어울리는 실버타운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3/02/2018030200073.html

 

 

 

 

 

320x10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