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필기-교양/노인과 문화

[노인과문화] 문화 속 노인과 주거 - 노년기 다양한 주거 유형

2021. 11. 22.
320x100

 

 

 

2020년 노인실태조사에 따르면,

2017년 노인실태 조사결과와 비교하면, 아파트 거주 비율이 13.3%
나 높아졌으며, 단독주택의 비중은 13.5%가 낮아졌습니다. 이는 우리나라 주택형태의 변화가
반영된 결과인 것으로 생각됩니다.

 

도시지역의 경우 아파트, 연립・다세대 주택의 비중이 높으며, 후기 노인일수록, 교육수준
과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단독주택의 비중이 더 높게 나타났습니다.

주택 종류 도시 농어촌
단독주택 25.5% 65.9% 35.3%
아파트 54.8% 28.5% 48.4%
연립·다세대주택 18.2% 5.6% 15.1%
기타 1.6% 0.1% 1.2%

*출처: 2020 노인실태조사

 


Aging in Place를 가능하게 하는 다양한 주거 사례들이 서구에서 이미 선행되고 있고,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시도되고 있습니다. 

 

 

 


노인의 자립적인 생활능력에 따라

 

  1. 자립 주거
    • 독립적인 삶이 가능한 주택/공동체
    • 노인주택, 노인아파트, 은퇴주거단지(Retirement Community), 노인복지주택
  2. 생활보조 주거(Assisted Living Facility)
    • 노인주택과 요양시설의 중간단계 유형
    • 일상 활동(예: 목욕, 옷 입기 또는 처방받은 대로 약물 복용)에 어느 정도 도움이 필요한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서비스 지원 주택 또는 공동체
  3. 완전보조 주거
    • 24시간 지속적인 간병 및 일상생활 지원을 필요로 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주거형태
    • 노인요양시설,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 등

 

 

 

 

주거계획에 따라

 

  1. 반주거계획
    • 일반적인 주거유형에 개축, 증축, 보수 등을 통해
      노인이 편리하게 거주하는 주택
      유니버설 디자인 또는 배리어프리 디자인을 적용하여 개보수한 주택
    • 비혈연관계의 노인들이
      주택을 공동사용하는 형태의 주택
      Shared house
  2. 사례: 한국 금천구 보린주택2호점
    https://www.youtube.com/watch?v=4VCAdxL-olQ
    • 빈둥지가 된 집의 여분공간을 수입원으로 활용하는 주택
      : 현관 등은 공동으로 사용하지만, 
      침실과 거실은 독립적으로 이용가능
  3. 주거계획
    • 노인을 대상으로 특별하게 계획하여 만들어진 주택이나 시설
    • Retirement community(은퇴촌락)
      : 의식주, 문화시설, 의료시설을 구비한 노인주거시설이 집단으로 모여서 형성된 지역, 종합노인주거시설
    • Congregate housing(노인집합주택)
      : 노인전용아파트
    • Co-housingShare house
      : 시니어 입주자들의 사생활을 개인주택으로 보장하면서
      공동생활 공간을 두어 서로 협력하는 주거형태
    • 요양시설
      : 요양시설, 요양공동생활가정

 

 

 

 

입지 조건에 따라

도시형 vs 도시근교형 vs 전원휴양형

 

 

주거형태애 따라

단독주거 vs 공동주거

 

 

건물 배치에 따라

분산형 vs 단일형

 

 

 

 

 

320x10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