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노인의 주거 만족도
주택만족도
구분 | 도시 | 농어촌 | 계 |
매우 만족 | 10.2% | 8.9% | 9.9% |
만족 | 66.5% | 63.2% | 65.7% |
그저 그렇다 | 20.0% | 23.0% | 20.7% |
만족하지 않음 | 3.1% | 4.7% | 3.5% |
전혀 만족하지 않음 | 0.2% | 0.2% | 0.2% |
출처: 2020 노인실태조사
- 9.9%는 매우 만족, 만족 65.7%로 75.6%가 현재 거주하는 주택에 대해 만족함
- 현재 거주하는 주택에 대해서 만족하지 않는 이유
- 주택 공간, 설비 부족 등의 불만족이 50.6%로 가장 높음.
- 공간 부족, 관리 어려움, 방음 및 채광 등의 문제로 나타남
주택의 편리성
구분 | 도시 | 농어촌 | 계 |
생활하기에 불편한 구조 | 7.3% | 13.8% | 8.9% |
생활하기 불편한 구조는 아니지만 노인배려 설비가 없음 |
72.6% | 67.3% | 71.3% |
노인을 배려한 설비를 갖추고 있음 | 20.0% | 18.9% | 19.8% |
출처: 2020 노인실태조사
- 8.9%는 생활하기에 불편한 구조,
노인을 배려한 설비를 갖춘 주택은 1/5정도. - 노인을 배려한 설비 구비는 도시지역, 연령이 낮을수록, 배우자가 있는 경우, 노인부부 또는 자녀동거 가구, 학력이 높고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기능상태에 제한이 없는 경우 높게 나타남.
- 기능이 저하되는 후기 노인은 안전설비 등의 중요성이 높음.
그러나 고연령, 기능제한자가 거주하는 주택의 안전 설비 설치율이 오히려 낮음.
지역사회 환경에 대한 만족도
노인의 지역사회 환경 전반에 대한 만족도는 매우 만족 6.9%, 만족 57.0%로 만족하고 있는 비
율이 2/3정도 됨.
구분 | 매우 만족 | 만족 | 그저 그렇다 |
만족하지 않음 |
전혀 만족하지 않음 |
생활에 필요한 편의시설, 사회복지시설 거리 |
7.6 | 62.4 | 21.8 | 6.3 | 1.8 |
대중교통 빈도/노선 | 14.3 | 53.6 | 24.7 | 6.1 | 1.4 |
녹지공간, 공간 충분성 또는 거리 |
19.8 | 45.5 | 29.1 | 4.8 | 0.7 |
치안, 교통안전 | 13.1 | 51.9 | 29.2 | 4.9 | 1.0 |
자녀 또는 친지의 거주지와의 거리 | 9.8 | 45.8 | 33.7 | 9.3 | 1.4 |
이웃과의 교류기회 | 12.0 | 55.8 | 28.3 | 3.6 | 0.3 |
지역사회 환경 전반 | 6.9 | 57.0 | 32.1 | 3.6 | 0.3 |
*출처: 2020 노인실태조사 결과
- 편의시설이나 교통에 대한 만족도, 사회관계 중 이웃과의 교류에 대한 만족도가 비교적 높음.
- 불만(불만족+전혀 만족하지 않음)은
자녀 또는 친지의 거주지와의 거리가 10.7%로 가장 높으며,
그 다음으로 생활편의시설 거리에 대한 불만이 8.1%로 높음.
한국 노인의 주거시설의 현황
노인주거복지시설과 의료복지시설 이용현황
분류 | 종류 | 정의 | 대상 |
노인주거복지시설 | 노인복지주택 | 노인에게 주거시설을 임대하여 주거의 편의ㆍ생활지도ㆍ상담 및 안전관리 등 일상생활에 필요한 편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는 시설 |
단독취사 등 독립된 주거 생활을 하는데 지장이 없 는 60세 이상 |
양로시설 | 양로시설 노인을 입소시켜 급식과 그 밖에 일상생활에 필요한 편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는 시설 |
무료, 실비(65세 이상) 노인공동 유료(60세 이상) |
|
노인공동생활가정 | 심신에 상당한 장애가 발생하여 도움을 필요로 하는 노인에게 가정과 같은 주거여건과 급식ㆍ요양, 그 밖에 일상생활에 필요한 편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는 시설 |
||
노인의료복지시설 | 노인요양시설 | 노인들에게 가정과 같은 주거여건과 급식, 그 밖에 일상생활에 필요한 편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는 시설 | 장기요양급여수여자 의료급여수여자로 65세 이상 노인요양 유료 60세 이상) |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 | 심신에 상당한 장애가 발생하여 도움을 필요로 하는 노인에게 가정과 같은 주거여건과 급식ㆍ요양, 그 밖에 일상생활에 필요한 편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는 시설 |
*출처: e-나라지표, 노인복지시설 현황
https://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2766
노인주거복지시설에 대한 노인의 인식
▷ 도시형 실버타운, 여유로운 노년의 상징으로 인식 변화
https://www.ajunews.com/view/20150309135231497
▷ 좋은 양로시설, 집보다 나을 수 있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2435049#home
노인요양시설에 대한 노인의 인식
김세영(2016)
: 가지 않겠다고 할 수 없는 현실을 받아들일 수밖에 없음을 아는 노인들은
가야만 하는 현실에 대하여 부정과 분노를 나타내면서도
어쩔 수 없이 가게 될 곳으로 재인식함.
범주 | 하위 범주 | 주제 |
가고 싶지 않은 곳 |
버려지는 곳 | 자녀들 곁에 있을 수 없게 됨 내 집을 떠나게 됨 |
자유가 없는 곳 | 갇혀 살아야 함 제한과 규칙이 많은 단체생활을 해야 함 |
|
살아서는 못나오는 곳 | 건강이 더 나빠질 것임 목수만 부지함 죽으러 들어가는 곳임 |
|
가야만 하는 곳 |
자녀를 위해 가야 하는 곳 | 자녀의 짐이 되기는 싫음 며느리 눈치 보며 살기 싫음 |
의지와 상관없이 가야 만 하는 곳 | 병수발해줄 사람이 없음 정신줄을 높으면 보내기게 됨 가지 않겠다고 말할 자신이 없음 |
|
시대에 밀려서 가야 하는 곳 | 달라진 가족문화를 체감함 노인을 싫어하는 세상을 느낌 비껴갈 수 없는 현실을 수용해야 함 |
|
갈 곳이 있어 그나마 다행인 곳 |
피난처가 되어 주는 곳 | 늙고 병들면 갈 데가 있으니 안심이 됨 노인요양시설이 차라리 마음 편함 |
돌봄과 보호를 받을 수 있는 곳 | 의식주의 어려움이 해결됨 죽음 앞에 혼자 방치되지 않아도 됨 |
|
사람들 속에 살 수 있는 곳 | 외로움을 덜어낼 수 있음 같은 처지가 위로가 됨 |
* 출처 : 김세영(2016). 노인요양시설에 대한 한국노인의 인식.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7(3): 242-253
최영미, 이병숙 (2019).
‘의지할 곳’, ‘갇힌 곳’, ‘버려진 곳’으로 요양원이 수용되는 공간이 아니라
안전하고 편안한 보금자리였으면 좋겠다는 바람을 가지고 있음.
(최영미, 이병숙 (2019), 요양원 거주 노인의 요양원에 대한 인식, 인문사회21. 10(2): 1239-1254)
노인요양시설에 대한 사회 인식
▷ 노인 요양 시설이 왜 혐오 시설인가요? (노이해) “우리 동네엔 안 돼” #그럼_어느_동네에…
https://www.facebook.com/watch/?v=1455088997836799
▷ 노인요양시설 가는 곳마다 찬밥 신세…일상에서 퇴출당하고 혐오시설로까지 전락
12일 대구 수성구의 한 아파트 밀집지역에 요양원 신축을 반대하는 현수
막들이 걸려 있는 모습.
https://www.idaegu.com/newsView/idg202105120064
▷ 치매노인 탓에 집값 하락? "노인요양시설이 혐오 시설인가요"
https://www.hankyung.com/society/article/2021081036897
▷ 요양원에 모시면 불효자?…바뀌는 사회 인식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3442904
'필기-교양 > 노인과 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인과문화] 문화 속 노인과 미디어 - 노인차별주의에 대한 이해 (0) | 2021.12.06 |
---|---|
[노인과문화] 문화 속 노인과 주거 - 노년기 주거 문화 형성을 위한 고려사항 (0) | 2021.11.22 |
[노인과문화] 문화 속 노인과 주거 - 노년기 다양한 주거 유형 (0) | 2021.11.22 |
[노인과문화] 문화 속 노인과 주거 - Aging in Place에 대한 이해 (0) | 2021.11.22 |
[노인과문화] 문화 속 노인과 주거 - 노년기 주거/주택의 의미 (0) | 2021.11.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