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0x100
왜 노인들은 자신의 ‘집’에서 살기를 원할까요?
건강이 유지된다는 조건에서의 희망 거주형태 |
건강악화로 거동이 불편해진 조건에서의 희망 거주형태 |
||
현재 집에서 계속 산다 | 83.8% | 재가서비스를 받으면서 현재 살고 있는 집에서 계속 산다 |
56.5% |
거주 환경이 더 좋은 집으로 이사한다. |
11.2% | 배우자, 자녀 또는 형제자매, 친인척과 이사를 하거나 이사 오도록 하여 함께 산다 |
7.2% |
식사, 생활 편의 서비스 등이 제공되는 주택으로 이사한다 |
4.9% | 함께 거주하지 않더라도 자녀 또는 형제, 자매, 친구의 근거리로 이사하여 산다. |
4.9% |
돌봄, 식사, 생활 편의 서비스 등이 제공되는 노인요양시설, 노인복지주택 등으로 이사한다 |
31.3% |
노인이 자신의 ‘집’에서 계속해서 살아가는 데에는 여러 장애물이 있을 수 있습니다.
노인의 건강상태 악화, 경제적 어려움,
오래되어 여기저기 손볼 곳이 많은 불량한 주택상태,
그리고 돌봄 서비스의 부재 등
다양한 차원에서의 장애물이 기존의 ‘주택’에서 생활을 어렵게 합니다.
Aging in Place(AIP)의 개념 정의
- 세계적인 노인주거정책의 경향
- 가능한 한 또는 인생을 마칠 때까지
익숙한 장소(공동체)에 남아서 생활하기
(Harris, D.(1988). Dictionary of Gerontology, Greenwood Press; Wesport, CT. Frank, J. (2001). How long can I
stay, Journal of Housing for the Elderly, 15(1-2), 5-30) - 나이, 수입, 건강, 일상생활능력 등과 무관하게
노인이 자신의 집과 지역사회에서 안전하고, 독립적이고, 편안하게 살 수 있는 능력
(The U.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IP의 등장 배경
- 1990년대를 전후하여 시작된
탈시설화(deinstitutionalization)와 지역사회보호 (community-based care)
- 많은 노인들이 건강상의 이유로
요양원 등 시설로 거주지를 옮겨야하는 상황이 발생함. - 시설 보호의 반인권적인 측면과 함께
높은 보호비용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탈 시설화가 시행됨. - 자신의 집에 머물면서 삶을 이어가고 마무리하고 싶다는 노인의 욕구와
가족이 더 이상 노인을 돌볼 수 없는 상황이 충돌됨
(Szinovacz & Davey, 2008).
- 많은 노인들이 건강상의 이유로
AIP의 중요성
- 심리적 측면
(Dye, Wiloughby, Battisto, 2011; Wiles, Leibing, Guberman, Reeve, Allen, 2012; Prieto-Flores, 2011;
Hammarström, 2012; Callahan, 1993; Keeling, 1999; Lawler, 2001.)
- 자립과 자율성을 유지하며 살고 있음을 의미함.
- 노인은 자신의 집과 땅에 특별한 애착을 지니고 있음.
- 사회적 측면
(윤성은, 한혜경, 2011:788; Bookman, 2008; Guo & Castillo, 2012.)
- 이웃, 지역사회와의 상호작용이 지속됨.
- 지역사회 참여를 통해 사회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음.
- 경제적 효용 측면
(윤성은, 한혜경, 2011:788; Bookman, 2008; Guo & Castillo, 2012.)
- 시설화에 따른 사회적 비용과 건강보호비용을 줄일 수 있음
AIP를 위한 조건
- Dye 외(2011:82-83): 개인 요인과 환경 요인이 밀접하게 상호작용함.
- 개인 요인
: 긍정적인 태도, 안전에 대한 관심, 건강 상태, 재정 상태, 운전 능력, 지역사회 자원에 대한 지식 등 - 환경 요인
: 적절한 건강보호를 위한 서비스와 지원 접근성, 사회적 지지, 교통편의, 공원 또는 운동시설 등의 주변환경 등
- 개인 요인
- MetLife Mature Market 연구소와 Stanford 대학교 장수연구센터
- 출입이 용이한 주택, 다양한 유형의 주택 선택권, 주거관련 비용 등을 고려한 주택
- 안전한 보행, 안전한 운전환경, 다양한 교통수단 제공을 통한 지역사회에의 접근
- 건강 보호, 지원 서비스, 일반적인 편의, 건강식품, 사회통합 등과 같은 폭넓은 지원과
지역사회 생활에의 참여 등과 같은 지역사회의 조건
- 임연옥
- 개인 특성
: 노인의 건강상태, 재정상태, 긍정적인 태도와 같은 정서 상태,
운전 능력, 지역사회 자원에 대한 정보 접근 능력 등 - 물리적 환경
: 노인의 노화 현상에 대응하여 적절하게 지원하는 고령친화 주택,
지역사회의 생활편의시설, 교통편의, 공원 등과 같은 지역사회 환경 - 사회 환경
: 노인의 사회관계와 사회 참여, 일상생활을 지원하기 위한
보건복지 및 의료 서비스 및제도 등
- 개인 특성
320x100
'필기-교양 > 노인과 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인과문화] 문화 속 노인과 주거 - 우리나라 노인의 주거 현황 (0) | 2021.11.22 |
---|---|
[노인과문화] 문화 속 노인과 주거 - 노년기 다양한 주거 유형 (0) | 2021.11.22 |
[노인과문화] 문화 속 노인과 주거 - 노년기 주거/주택의 의미 (0) | 2021.11.22 |
[노인과문화] 문화 속 노인과 경제, 소비 - 실버산업의 이해 (0) | 2021.11.14 |
[노인과문화] 문화 속 노인과 경제, 소비 - 노후 재무설계 (0) | 2021.11.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