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필기-교양/노인과 문화

[노인과문화] 문화 속 노인과 경제, 소비 - 노후 재무설계

2021. 11. 14.
320x100

 

 

 

1. 생애주기별 재무설계 수립

생애주기에 따른 소득과 지출, 저축 등의 큰 흐름에 대한 이해 속에 재무설계 목표 수립

 

  1. 미혼기
    • 학자금대출계약 이행
    • 소득창출 활동의 준비와 실천
    • 금전관리계획
    • 결혼자금 마련
  2. 신혼기
    • 배우자와의 경제생활 적응 위한 목표설정
    • 자신 또는 배우자 관련 위험관리
    • 주택자금 마련을 위한 저축 및 투자 계획
  3. 자녀출산 및 양육기
    • 출산 필요자금 선택과 합리적 구매의사결정
    • 자녀에 대한 위험관리 계획
    • 양육과 관련된 금전관리계획
    • 주택관련 대출상품 선택과 계약 이행
    • 주택자금 마련 위한 장단기 투자계획
  4. 자녀학령기
    • 자녀 교육에 대한 합리적인 구매의사결정
    • 부부 은퇴자금 고려한 금전관리 계획
    • 주택 구입 또는 확장 위한 재무계획 수립
    • 주택 관련 금융상품 선택
  5. 자녀성년기
    • 은퇴자금 마련 계획 수립
    • 은퇴를 위한 부채관리
    • 실적으로 인한 금전관리 계획
    • 창업, 재취업 소득창출 계획
    • 자녀 결혼자금 마련
  6. 자녀독립 및 은퇴기
    • 은퇴후 금전관리 계획
    • 배우자 사망 및 질병에 대한 위험관리
    • 건강관리 관련 합리적 구매의사결정
    • 국가적, 사회적 지원 정보 파악
    • 자산이전 계획

 

생애주기별로 제한된 소득을 현재와 장래에 어떻게 배분할지 구체적 재무설계 수립

  • 생애주기별로 발생할 일과 주요 과업을 적어본다
  • 수입과 지출을 고려한 재무 목표를 설정한다
  • 생애 주기별로 소요되는 비용을 계산해 본다
  • 어떻게 재원을 마련할 수 있을지 계획을 작성해 본다
  • 각 연령대별로 필요한 자금 마련을 위한 저축 및 투자 계획을 세워본다.

 

생애주기별 재무설계의 예

나이 주요 과업 재무 목표 필요한 비용 자금 마련 계획 저축 및 투자계획
30세 결혼 결혼 자금은
내 손으로 직접 마련
결혼식 비용
: n천만원
전세 자금
: n억 n천만원
취업 후 저축액
: n천만 원
이자 및 투자 소득
: n천만원
은행 대출
: n천만원
26세부터 결혼 전까지
매달 nn만원 은행 정기 적금(3년),
매달 nn만원 적립식 펀드(5년) 가입
3년 후 만기 금액은 정기 예금에 예치, 이후 2년 만기 적금에 새로 가입
50세 자녀 대학
교육비 마련
대출 받지 않고
자녀 대학 교육 시키기
연 1,000만원씩
4천만원
적금 가입(10년)
: 2,000만원
펀드 가입
: 2,000만원
초등학교 3학년 때부터
월 10만원씩 재형 저축 비과세 상품
10년 가입(7년 후 3년 연장)
자녀 이름으로 월 10만원 씩
적립식 펀드 가입(10년)

 

 

 

 

2. 노후 재무진단

 

 

  • 고령사회 대응을 위한 노후준비지표 개발(보건복지부)
    : 노후준비 진단 지표를 대인관계, 건강, 재무, 여가 등 4대 영역으로 구성(홍백의 외, 2012)
  • 대인관계 영역 9개 지표, 건강영역 11개 지표, 재무영역 12개 지표, 여가영역 5개 지표를 포함하여
    모두 37개 지표로 구성됨
  • 본인의 노후 재무진단 알아보기 - NPS 내연금 (https://csa.nps.or.kr/main.do)

 

  1. 대인관계
    • 배우자와의 관계
    • 자녀와의 관계
    • 형제자매와의 관계
    • 친구이웃과의 관계
    • 단체활동
  2. 재무
    • 노후준비를 위한 여건
    • 노후준비 행태 및 인식
    • 자산현황
  3. 여가
    • 노후 여가활동 관여도
    • 현재 여가생활 적극성
  4. 건강
    • 건강상태
    • 건강실천행위

 

 

 

 

3. 노후 재무준비 유형

 

  • 재무 영역 노후준비 유형 분포
    : 노후준비가 부족한 공적자산형(39.1%) > 노후준비가 부족한 사적자산형(38.4%) > 노후준비가 충분한 사적자산형(12.0%) > 노후준비가 충분한 공적자산형(10.5%)
  • 유형별 재무 노후준비 점수
    : 노후준비가 충분한 공적자산형이 61.4점 > 노후준비가 충분한 사적자산형(60.7점) > 노후준비가 부족한 사적자산형(44.4점) > 노후준비가 부족한 공적자산형(41.7점)
  • 우리나라 국민들은 대체로 공적자산 중심이든 사적자산 중심이든
    재무 영역의 노후준비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남.
  • 공적자산 중심형은 사적자산에 대한 관심의 확장을,
    사적자산 중심형은 공적 자산에 대한 관심 확장을 통해 균형잡힌 다층적 노후 재무설계 필요

출처> 고령사회 대응을 위한 노후준비지표 개발(보건복지부, 2012)

 

 

 

 

320x10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