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필기-교양/노인과 문화

[노인과문화] 문화 속 노인과 미디어 - 대중매체의 이해

2021. 12. 6.
320x100

 

 

 

 

대중매체의 정의

불특정의 많은 사람들에게 대량의 정보를 전달하는 매체

 

 

 

 

대중매체의 유형

  • 영상매체
    : TV, 영화 등
  • 음성매체
    : 라디오, 음반 등
  • 활자매체
    : 신문, 잡지, 책 등
  • 뉴미디어
    : 인터넷, 스마트폰 등

 

 

 

대중매체의 형식

  • 뉴스, 다큐멘터리, 심층보도 등
  • 의견기사, 논평, 사설, 칼럼, 토론 등
  • 드라마, 코미디 등
  • 쇼, 퀴즈, 게임, 스포츠 등
  • 광고 등

 

 

 

 

대중매체의 기능

  • 정보 전달
  • 사회적 조정기능
  • 대중 교육/사회화
  • 오락과 휴식

 

 

 

대중매체가 노인에 대한 태도 형성에 미치는 영향력

대중매체를 통해 반복적으로 접한 메시지들은
특정 사항에 대한 개인의 태도와 신념에 영향을 끼침
(이병관, 김봉철, 유의동, 2003)

 

  • 대중매체에서 묘사되는 노인 모습은
    그 시대와 사회가 지닌 노인에 대한 인식을 반영함.
  • 대중매체를 통해 전달되는 노인에 대한 이미지는
    사회집단의식 속에 노인에 대한 생각을 정립하게 함
    (신세니, 조희숙, 2009)

 

젊은 세대 
: 자신의 노후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갖게 됨
노인 세대 
: 부정적인 평가를 그대로 받아들여 자아정체감 등을 부정적으로 갖게 됨

 

 

 

 

노인의 대중매체 이용

 

  • 65세 이상 노인의 여가문화활동
    • TV 시청이 82.4%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함(2014 노인생활실태조사)
  • 젊은 사람보다 노인이 TV를 훨씬 많이 이용함
    • 65세 이상 노인들은 하루 여가활동시간 7시간 16분 가운데
      절반 이상인 3시간 48분을 TV시청으로 소일함(2015 고령자 통계)
    • 연령이 높아질수록 1일 TV 시청시간이 길어짐
    • 2014년  65~69세  70~74세  75~79세  80세 이상 평균
      TV 시청 3:18  3:38  4:04  4:37  3:48

 

 

 

 

 

 

320x10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