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필기-교양/노인과 문화

[노인과문화] 신노년문화 - 신노년문화 뒤집어보기

2021. 12. 10.
320x100

 

 

 

 

신노년문화의 주요 개념


성공적 노화
질병과 장애를 피하고, 높은 수준의 인지적, 신체적 기능을 유지하며,
활기찬 인간관계와 생산적 활동을 통하여 
삶에 대한 적극적 참여를 유지하는 것
Row & Kahn(1987)

범주 주제 모음 주제
부부 복 부부가 건강하게 해로함 건강하게 곁에 있어준다.
상대방으로 인해 즐거워한다.
자식 복 자녀가 나보다 낫게 삶 자녀들이 사회적으로 출세하였다.
자녀들이 골고루 잘 산다.
자녀들이 결혼해서 걱정 없이 산다.
친구 복 내 속 알아주는 말벗이 있음 오래 알아 온 친구와 잘 지내고 있다.
허물없이 이야기할 사람이 있다.
비슷한 처지의 사람과 잘 지내고 있다.
여가 복 흥미 있는 소일거리로 시간을 보냄 하루하루 바쁘게 보내고 있다.
힘들지 않고 즐겁게 생활한다.
주거 복 살던 곳에 머물러 삼 자녀가 가까이에서 살고 있다.
정든 곳에 머물러 살고 있다.
편리한 곳에서 사는 것이 편하다.
재산 복 나 쓸 만큼의 여유를 가짐 자식에게 경제적으로 부담을 안 준다.
체면치레할 수 있는 충분한 돈을 갖고 있다.
건강 복 더 나빠지지 않는 건강 유지함 나름대로 건강을 지키려고 한다.
일상생활에 무리하지 않으려고 한다.
비용 복 마음을 편히 다스림 분수를 지켜 살고 있다.
과거에 보낸 시간을 소중하게 여기고 있다.
남은 삶에 대해 적극적으로 살고 있다.
죽음 복 호상을 맞이함 자녀보다 먼저 죽는 것이 바램이다.
초연하게 임종 맞이하는 것이 바램이다.
삶의 마지막을 준비하고 있다.

- 김미혜, 신경림, 강미선, 강인(2004)

 

  • 성공적 노화의 한계
    • ‘성공적 노화’ 개념은 생산성을 기준으로 노화의 성공을 평가함에 따라
      성찰적인 노년문화의 발전을 저해하는 한계 有
    • 모든 노인이 특정한 상태를 달성해야할 표준을 제시함으로써
      성공, 생산성, 독립성, 자율성, 개인 책임과 같은 미국 문화를 반영하고 있음
    • 성공적 노화 기준에 미치지 못하는 사람들의 자아형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주변화함.

 

활동적 노화(Active aging))

  • 1세대 노화이론이 활동이론에 기반
  • 늙어가면서 삶의 질을 강화시키기 위해 건강, 참여 그리고 안전의 기회를
    최적화하는 과정
    WHO(1990년대 말)
  • 다양한 활동
    : 노동시장에의 참여, 가사일, 돌봄노동, 자원봉사활동, 각종지역공동체활동, 여가활동 등을 포함
  • 고령자들의 잉여노동력을 활용할 수 있도록 노동시장에의 참여를 강조(OCED)

 

생산적 노화(Productive aging)

“우리가 늙어감에도 개인적이고 사회적인 생산성을 발현시키고 촉진할 수 있으며
또 그렇게 해야 한다.”
Burlter(1975)

  • 노인에 대한 편견과 고정관념을 ageism으로 명명하고,
    이에 대한 대항으로 노인의 잠재성과 능력·노동·가족·공동체에 대한 기여에 대해 강조함으로써 
    인식의 전환을 꾀함
  • 재화나 서비스 생산에 기여,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을 개발하는 활동
    = 경제적 효율성울 중심으로 하는 개념
  • 노인을 경제적으로 유용한 자원으로 활용함으로써
    고령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므로,
    주로 노인고용 관련 정책에 적극적으로 적용
  • 생산적 노화의 한계
    • 생산적 노화의 기준은 전체 생애과정에서 이룬 ‘기여’를 인정받지 못하게 함
    • 생산성에 근거하여 노인의 사회적 가치를 절하시키고,
      세대간 경쟁을 일으킴.
    • 독립이나 생산성만을 긍정적으로 보고,
      노년기의 의존을 부정적으로 보는 이분법적 평가

 

 

 

 

신노년문화에 대한 담론과 비판적 고찰


신노년문화 담론 고찰의 필요성

  • 신노년문화 담론의 확산
    • 무력하고 빈곤한 노인 이미지와는 다른 새로운 노인의 모습이
      대중매체와 출판 등을 통해 빈번히 등장
    • 신체적으로 건강하고 경제적으로 여유가 있으며
      사회활동 참여에도 적극적인,
      이른바 ‘나이는 숫자에 불과한’ 뉴실버 세대에 대한 소개와 담론이 대대적으로 확산
    • 고령화가 사회의 발전을 저해하지 않도록
      고령화로 인한 사회적 생산성 감소를 방지해야 한다는 인식하에 
      노인의 적극적인 사회적 기여를 제고
  • 현 노인관련 문제
    • 최근 20년간 노인 자살율이 급격히 늘어나
      OECD 국가 중 최고 수준
    • OECD 회원국 중 노인의 상대적 빈곤율(전체가구 중위소득의 50%미만) 45%로
      단연 1위 (OECD 평균 13%)
    • 거의 대다수의 노인이
      적어도 한 가지 이상의 만성질환을 앓고 있음
    • 절반 이상이 독립적 생활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
    • 노인 단독 가구의 수 증가
  • 신노년문화 담론에 대한 고찰 필요
    • ‘신노년’ 담론이 면밀한 개념정의 및 논의와 검토 과정을 거치지 않은 채
      일방적인 관심과 추종됨
    • 지배적 가치가 된 성공, 특히 경제적 성공에 대한 추구를
      노년기까지 연장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 하는 우려가 큼
    • 누구의 관점에서 형성되고 유포되고 있는지,
      노인의 실제 인식과 경험이 반영된 것인지,
      만약 노인들의 삶이 반영되었다면 어떤 노인의 삶이 반영된 것인지 살펴보는 것은 매우 중요함

 

신노년문화에 대한 담론
출처; 최희경(2010). 신노년 정책 담론에 대한 비판적 재검토: 활동적 노화, 성공적 노화, 생산적
노화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정책 17(3): 41-65

  • 기존의 의존적이고 부정적인 노년상에 대항하여
    노인의 잠재력 개발과 문제 예방을 강조함으로써 
    노년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기 위해 재구성된 담론
    • 활동적 노화이론에서 출발하여
      성공적 노화, 생산적 노화 개념으로 변화, 발전
  • 복지국가의 재편과정에서 국제적 노인정책의 방향 제시에 적극적으로 반영됨
    • 우리나라에서는 2000년대 이후
      신노년 정책 담론을 반영하는 정책과 법이 집중적으로 양산됨

 

신노년문화 담론에 대한 비판
출처; 최희경(2010). 신노년 정책 담론에 대한 비판적 재검토: 활동적 노화, 성공적 노화, 생산적
노화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정책 17(3): 41-65

  • 노인에 대한 시각
    • 노동시장에서 강제적으로 배제된 노인의 의존을
      불가피한 현상으로 인정함
    • 물질적 급여라는 측면뿐만 아니라
      사회적 연대와 소속감의 표현이라는 점에서
      의존자 보호에 대해 사회적 합의를 함축한 것임
  • 문제해결 방안으로서의 신노년문화
    • 노인인구의 급증과
      장기적 경기침체에 따른 사회적, 경제적 부담 가중이라는 문제해결 방안으로 등장
  • 노인의 욕구와 이해를 반영하지 않는 사회공학으로서의 기능에 집중.
    • 경제적 생산성에 집중되어있음
    • 다양한 노인을 배제하는 편협성으로 인해
      여전히 노인은 신노년 정책의 수동적 대상집단으로 존재함

 

 

 

 

320x10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