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필기-경영/전략경영

[전략경영] 기업의 다각화 전략 - 다각화 전략의 추세 및 효과

2021. 10. 30.
320x100

 

 

다각화와 관련된 관점의 변화: 미국의 경우

  다각화로 인한 가치 창조   다각화에 대한 접근방법
1960년 일반적인 경영관리기술 콩글로머릿(복합기업)의 등장
      콩글로머릿의 취약한 경영성과
1970년대 포트폴리오관리기술
기획조정실의 대두
경영자원의 효율적 배분
1980년대     다각화된 이질적인 사업분야에 대한 관리능력 부족, 국제경쟁력 악화
1990년대
~2000년대
핵심역량적 접근 리스트럭처링
주력사업으로 회귀

 

 

 

 

30대 재벌의 관련다각화와 비관련다각화 엔트로피지수(1987~2009)

미국은 관련다각화가 많은 편이며 국내 및 일본은 비관련다각화가 높은 편이었음.

IMF시기 - 여러 계열사가 저가매물로 나오며 인수합병되며 일시적으로 비관련다각화 지수가 ↗.

1990년대 후반~2000년 이후 - 인수합병후 오히려 수익성, 비용면에서 성장에 도움이 되지 않아 매각/독립시키게됨.

경제위기 - 다각화 수준을 줄이며/수익성이 좋지 않은 부문을 외부에 매각하며 핵심역량에 집중하게 됨.

 



다각화의 성과

 

  • 서구의 기업들과 한국의 사례에서 보듯
    다각화전략은 많은 경우 실패
  • Conglomerate와 재벌과 같이
    비관련부문으로 다각화한 기업들의 상당수가 실패,
    비관련사업을 정리하는 구조조정을 경험
    • 이는 관련다각화가 경영자원을 공유하는 범위의 경제성 때문이라고 볼 수 있음
    • 하지만 다각화 기업의 성과는 해당 기업이 어떤 경영자원을 보유하고 있는가에 달려있음

 

 

 

 

다각화 전략의 성공을 위한 요건

마이클 포터는 다각화가 성공하기 위해서 내부적으로 검토해야 할 세 가지 요건을 제시

 

  • 산업의 매력도 테스트
    • 진입하려는 산업이 구조적으로 매력적인가?
  • 진입비용 테스트
    • 진입비용(기회비용 포함)이 진입 후 얻을 수 있는 이득보다 낮은가?
  • 개선도 테스트
    • 신규 사업이 다른 사업분야와 범위의 경제성을 창출함으로써
      경쟁우위를 창출할 수 있는가?
  • 이를 바탕으로 마이클 포터는 다각화전략을 통한 가치창출가능성을 유형화함

 

 

 

 

다각화 전략을 통한 가치창출 가능성

다각화 전략으로 인한 가치창출

포트폴리오 관리 리스트럭처링 기술과 핵심 역량을 이전 경영자원과 생산활동을 공유
자본시장에서
저평가 기업인수
비효율적인경영을 하는
기업을 인수하여 회생시킴
타사업분야에 진출하여
이미 갖고 있는 기술을 활용
경영자원의 공유로
비용절감과 차별화우위 창출
←  낮음                                            가치창출가능성                                             높음  →






320x10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