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0x100
다각화와 관련된 관점의 변화: 미국의 경우
다각화로 인한 가치 창조 | 다각화에 대한 접근방법 | ||
1960년 | 일반적인 경영관리기술 | ➔ | 콩글로머릿(복합기업)의 등장 |
콩글로머릿의 취약한 경영성과 | |||
1970년대 | 포트폴리오관리기술 기획조정실의 대두 |
➔ | 경영자원의 효율적 배분 |
1980년대 | 다각화된 이질적인 사업분야에 대한 관리능력 부족, 국제경쟁력 악화 | ||
1990년대 ~2000년대 |
핵심역량적 접근 | ➔ | 리스트럭처링 주력사업으로 회귀 |
30대 재벌의 관련다각화와 비관련다각화 엔트로피지수(1987~2009)
미국은 관련다각화가 많은 편이며 국내 및 일본은 비관련다각화가 높은 편이었음.
IMF시기 - 여러 계열사가 저가매물로 나오며 인수합병되며 일시적으로 비관련다각화 지수가 ↗.
1990년대 후반~2000년 이후 - 인수합병후 오히려 수익성, 비용면에서 성장에 도움이 되지 않아 매각/독립시키게됨.
경제위기 - 다각화 수준을 줄이며/수익성이 좋지 않은 부문을 외부에 매각하며 핵심역량에 집중하게 됨.
다각화의 성과
- 서구의 기업들과 한국의 사례에서 보듯
다각화전략은 많은 경우 실패 - Conglomerate와 재벌과 같이
비관련부문으로 다각화한 기업들의 상당수가 실패,
비관련사업을 정리하는 구조조정을 경험
- 이는 관련다각화가 경영자원을 공유하는 범위의 경제성 때문이라고 볼 수 있음
- 하지만 다각화 기업의 성과는 해당 기업이 어떤 경영자원을 보유하고 있는가에 달려있음
다각화 전략의 성공을 위한 요건
마이클 포터는 다각화가 성공하기 위해서 내부적으로 검토해야 할 세 가지 요건을 제시
- 산업의 매력도 테스트
- 진입하려는 산업이 구조적으로 매력적인가?
- 진입비용 테스트
- 진입비용(기회비용 포함)이 진입 후 얻을 수 있는 이득보다 낮은가?
- 개선도 테스트
- 신규 사업이 다른 사업분야와 범위의 경제성을 창출함으로써
경쟁우위를 창출할 수 있는가?
- 신규 사업이 다른 사업분야와 범위의 경제성을 창출함으로써
- 이를 바탕으로 마이클 포터는 다각화전략을 통한 가치창출가능성을 유형화함
다각화 전략을 통한 가치창출 가능성
다각화 전략으로 인한 가치창출
포트폴리오 관리 | 리스트럭처링 | 기술과 핵심 역량을 이전 | 경영자원과 생산활동을 공유 |
자본시장에서 저평가 기업인수 |
비효율적인경영을 하는 기업을 인수하여 회생시킴 |
타사업분야에 진출하여 이미 갖고 있는 기술을 활용 |
경영자원의 공유로 비용절감과 차별화우위 창출 |
← 낮음 가치창출가능성 높음 → |
320x100
'필기-경영 > 전략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략경영] 기업의 다각화 전략 - 다각화 실패 사례: United 항공사 (0) | 2021.10.30 |
---|---|
[전략경영] 기업의 다각화 전략 - 주요 포트폴리오 관리기법에 대한 이해 (0) | 2021.10.30 |
[전략경영] 기업의 다각화 전략 - 다각화의 유형 및 다각화 동기 (0) | 2021.10.30 |
[전략경영] 차별화우위와 차별화전략 - Apple Computer의 사례 (0) | 2021.10.17 |
[전략경영] 차별화우위와 차별화전략 - 차별화 기반 경쟁우위 창출과 유지 (0) | 2021.10.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