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필기-경영/전략경영

[전략경영] 기업의 목표와 지배구조 - 기업의 지배구조

2021. 9. 7.
320x100

 

 

 

 

1. 기업의 지배구조

 

  • 최고경영자가 기업이 추구하여야 할 목표인
    이윤극대화 또는 기업가치극대화와 일치된 의사결정을 하도록 
    감시하고 통제할 수 있게 하는 제도적 장치
  • 대리인문제를 방지하고,
    전문경영인이 주주의 이해에 부합되는 의사결정을 하도록 강제하는 제도적 장치
    • 대리인 문제
      : 최고경영자가 기업을 우선시하지 않고 개인적인 사익을 추구하는 상황
    • 주로 소유주와 경영자가 분리되어있는 전문 경영인 체제에서 주로 발생.
      본인의 임기 내 성과, 재계약 보장을 위해 단기적인 성과에 집중하게 됨.

 

 

 


2. 한국 기업 지배구조의 문제점

 

  • 한국의 지배구조상의 문제점은
    오히려, 대주주가 소액주주의 이해에 반한 의사결정을 하는 대에서 발생
  • 전문 경영인 체제로 인한 문제보다
    경영인과 대주주가 동일한 사람임으로 인해서 발생하는 문제가 훨씬 많다
  • 수익보다는 매출액 및 기업규모의 극대화에 주력
  • 회계자료의 불투명성
  • 대주주에게 유리한 각종 법령

 

 

 


3. 기업 지배구조의 주요 수단

 

  1. 이사회
    • 주주의 대표인 이사들이
      경영진이 주주의 이해에 일치된 의사결정을 하는지 감독하며
      이를 위해서는 사외이사제의 도입하고 사외이사의 비중을 늘려야 함
    • 이사들의 책임감을 높이기 위해
      이사들에 대한 보상을 기업의 성과와 연계하는 것이 중요
    • 이사회 의장과 최고경영자의 역할을 분리해야 함
  2. 자본시장의 제재
    • 적대적 기업인수
      : 경영진의 무능이나 실책으로 성과가 나쁜 기업은 인수하여 회생
    • 주주총회를 통한 의결권 행사
      : 주주, 특히 기관투자가들은 주주총회에서 의결권을 행사하여 
        집행임원이나 이사회의 이사들에 대해 임명권을 행사

 

 

 


4. 한국 기업들의 지배구조의 변화

과거 한국기업의 지배구조 -> 향후의 지배구조
이사회 회장(오너 : 대주주)   주주
계열사 사장, 대표이사 이사회
전무이사
상무이사 최고경영자 (사장)
  이사, 이사부장 집행임원
320x10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