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필기-복지경영/사회복지자원 개발 및 전략

[사회복지자원개발및전략] 사회복지자원개발과 모금 - 모금상품 개발

2021. 9. 21.
320x100

 

 

 

 

1. 모금상품 개발 어떻게 할 것인가?

 

  • 복지사업, 프로그램을 어떻게 상품화할 것인가?의 고민이 우선되어야한다.
    • 즉, 후원(자금확보)에 초점을 두어 상품을 어떻게 개발할 것인가에 고민이 집중되면
      본질이 왜곡될 우려가 있다.
  • 후원을 위한 상품의 개발에 대해 유의하여 개발하여야한다.
    • ex. 일회성 대규모행사의 경우 단기간의 후원금확보의 장점이 있을 수 있지만,
      준비기간 동안의 일상업무의 중단, 기관주요사업의 특성 등을 담기 어려운 단점이 존재할 수 있음
  • 핵심과제에 집중하며 후원을 개발해야 한다.
    • 복지기관이 가장 잘 할 수 있는 일이 후원상품으로 개발된다면 금상첨화임
    • 목적에 가장 맞는 일을 중심의 후원상품개발의 중요성
  • 가장 잘 할 수 있는 일에서부터 시작
  • (cf. 마케팅, 후원전문성강화노력)

 

 

 

 

2. 모금상품개발의 유의점

 

  1. 브랜드컨셉에 위배되지 말아야한다.
    • 일관성 있는 후원상품개발
      복지기관의 브랜드 컨셉에 맞는 프로그램 중에서 선정.개발
      브랜드연상 강화+후원상품선정
    • 브랜드 컨셉에 맞지않는 상품으로 인한 브랜드파워 약화에 유의
      • 과자만드는 회사에서 만드는 오디오
        VOLVO = 안전, VOLVO 현란한 디자인의 신제품
  2. 후원할 마음이 생겨야 한다.
    • 구체적 사례, 성과가 있는 프로그램을 통해 후원자의 마음 얻기
      : 내용, 대상, 성과의 구체화
    • ex. 저소득층 지원사업 => 단전. 단수 저소득 가구 지원사업
      결식아동캠페인 => 재민아 사랑해! 방학중 저소득아동급식지원 캠페인
    • 당위성에 도전
      : 이 정도는 기본적으로 꼭 보장되어야한다고 생각된 부분,
      가장 낮은 단계의 욕구. 기본권 충족부터 => 측은지심
      ex. 바다에 가본 적이 없다. 세끼를 못먹는다. 아파도 병원에 가지 못한다....
  3. 이름만으로 찌르듯 임펙트를 미치도록해야한다.
    • 이름만 들어도 후원해야할 이유를 느낄 수 있도록(이해<느낌)
    • 효과적인 네이밍 : 이름만 들어도 알 수 있는 상품이름, 설명 포함
    • 세부 내용을 다 이해하고 후원하기보다 ‘동감’을 통해 후원으로 연결가능
    • 사회복지사 입장에서의 후원상품의 기획. 소개 => 후원자 입장에서의 기획. 소개
    • 캠페인처럼 네이밍하기 (슬로건, 캠페인)
      ex. 단전 위기가정을 위한 빛한줄기 희망나눔
      미숙아치료비지원을 위한 다솜이 작은 숨결 살리기 (아름다운 재단)
    • 주변과의 끊임없는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네이밍 기획
  4. 다양한 상품을 제공하라
    • 후원자의 욕구, 관심에 맞는 세분화된 후원상품 개발을 통한 선택의 폭 확대
    • 대상, 문제, 지원방식 등의 다각화
  5. 사업담당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라
    • 상품 필요성, 이유, 세부사항을 가장 잘 설명할 수 있는 담당자가 적극적으로 참여
      • 기관상황에 따른 후원전담자vs 사업담당부서vs 담당자 간의 역할조정
        But 담당자의 적극적 참여는 기본요건
    • 선행요건
      : 후원상품프로그램별 우선배정원칙,
      담당자의 핵심사업이 후원상품이 되도록,
      개발시스템지원(홍보, 리플릿 등), 
      후원개발을 담당자 실적화하지 않아야함
320x10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