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필기-복지경영/사회복지자원 개발 및 전략

[사회복지자원개발및전략] 사회복지자원개발과 모금 - 모금의 방법

2021. 9. 21.
320x100

 

 

1. 대상별. 유형별 모금방법의 구분

구분  유형
개인 대면. 관계모금 (개인별 후원신청서 등)
DM, ARS (직접 현금후원 등)
홈페이지, 기부사이트, SNS 모금
회사. 기관. 단체연계모금
거리모금 (모금함)
이벤트(바자회, 스포츠행사, 콘서트 등 문화행사 등)
방문모금 (모금교육, 저금통배포, 방문모금함,대면 등 )
개인별 특별후원 상품 연계 (결혼식, 돌잔치, 유산기부 등)
기업. 단체 종사자 단체 모금(월급 자투리, 1%기부 등)
상품연계모금 (판매액의 1%, 1+1 등)
제휴모금 (마트 적립금, 포인트 제도 연계 등)
물품기탁 (생산품. 서비스 등 연계 등)
방송모금(후원상품. 대상 노출 및 후원유도 등)
기관단체 협력모금 (교육기관대상 순회방문. 교육. 저금통. 쿠폰북 등)

 

 

 


2. 모금경로별 구분

 

  • 직접 기탁 (개인. 단체가 기부대상기관에 직접 후원)
  • 단체연계 기탁 (모금전문단체, 재단 등에 연계하여 목적. 기부처 등 지정.비지정 후원전달)
  • 언론사 기탁 (방송, ARS 등 연계 후원, 언론사 연계 기부처 전달)
  • 재단 설립(직접 기부금출자=> 재단 설립. 후원. 지원활동 직접 수행)
  • 공익신탁(금융기관연계 기부활동 추진)

참고) 공익신탁제도

  • 기부를 하려는 사람이 기부재산을 일정한 개인이나 기관에 맡겨 관리하게 하면서
    그 원금과 수익을 기부자가 지정하는 공익적 용도로 사용하게 하는 제도
  • 금전 등의 재산을 은행 등 금융기관이나 공익단체에 신탁해
    장학, 사회복지, 체육, 학술, 문화, 환경 등 공익 목적에 사용하도록 하는 기부 방법
  • 위탁자(기부자)와 수탁자(은행 등) 간의 신탁계약만으로 손쉽게 다양한 기부 가능

 

 

 

3. 모금방법 선정의 유의점

 

  • 본질. 핵심전략과의 적합성
  • 조직의 실행능력
  • 투입대비 산출. 효율성. 경제성의 고려
  • 파트너(후원자)의 이익 고려
  • 재미. 감동
  • 언론 및 외부적 관심 유도가능성

 

 

320x10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