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0x100
모금개발에 초점을 둔 마케팅 기획과정
(참고: 정무성, 사회복지기관의 민간자원동원전략)
- 후원자개발 가능성의 분석 :SWOT 분석
- 후원자 개발에 앞서 마케팅활동을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인검토
- 환경적 요인
- 사회제도적 환경
: 모금과 관련된 각종 법규와 정부정책, 경제상황 등 - 조직내부환경
: 조직내부 경쟁력과 조직 내 자원의 분석
- 사회제도적 환경
- 후원자개발가능성분석을 위한 조직내 환경, 자원 파악
- SWOT(strength, weakness, opportunity,threat) 분석
- ex.
강점: 좋은 이미지
약점: 내부의 지원 부족
기회: 결식아동의 증가와 같은 사회적 욕구 증가
위협 : 경제난
=> 전략적 측면에서 SWOT분석결과를 마케팅계획에 반영할 것인가?
- ex.
- 시장조사
- 시장조사시 파악할 측면
-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욕구가 있는가?
- 욕구를 지닌 사람들이
상품이나 서비스를 사는데 관심이나 잠재적 욕구가 있는가? - 그들이 상품을 사기 위한 돈이 있는가?
- 충분한 돈을 소유한 자들이
그들이 원하는 상품이나 서비스를 위해 기꺼이 쓰고자 하는 의지가 있는가? (Kinnear &Bernhardt).
- 후원시장분석 (6하원칙)
- “누가 후원하기를 원하는가? (who)
- 어떠한 분야에 후원을 원하는가 (what)
- 언제 후원하기를 원하는가? (when), 어디에서 후원하기를 원하는가(where)
- 어떤 방식으로 후원금 내기를 원하는가? (how)
- 왜 사람들은 경쟁 기관에 후원하지 않고 우리 기관에 후원하고자 하는가? (why)”
- 시장조사시 파악할 측면
- 마케팅 목표설정
- 후원자 개발을 위한 마케팅 목표설정는 소명헌장에 근거해야함
: “우리가 하고 있는 일은 무엇인지?”
"우리가 어디로 가야 하는지?" - 정확한 문제의 진술, 표적집단성격과 규모, 기관정책, 자원동원 등에 의해
목표의 범위와 방향 설정
- 모금목표는 마케팅 기획의 초기단계에서 명확하게 규명되어야 함
- 목표의 특징: SMART
구체적(specific)이고,
측정가능(measurable)하며,
달성가능(attainable)하고,
결과 지향적(result-oriented),
시간적 한계(time-bounded)가 명확히 제시되며,
과정과 결과(달성여부)확인을 위한 (indicator)가 반드시 포함되어야 함
- 예) 결연후원자 모집 목표
“결연 후원자의 수를 2016년 현재 1,000명에서 2017년 말까지 20%증가한 1,200명수준으로
올린다. 평균 입금율은 현재 65% 수준에서 5% 증가한 70% 수준으로 높이며, 후원 중단
율은 2016년 월 20명 수준에서 2017년에는 월 15명 수준으로 낮춘다.”
- 예) 결연후원자 모집 목표
- 목표금액 설정방법
- 증액법(incremental approach)
: 작년의 수입을 참작하여
인플레이션을 상쇄할 정도를 증액,
예상되는 경제환경에 따라 가감하여 모금액 수정 - 욕구법(need approach)
: 조직의 재정적 욕구를 예측하고
그 욕구에 따라 모금목표 설정 - 기회법(opportunity approach)
: 조직은 모금 비용이 상이한 수준에서의
각각의 기부자 집단별로 모금할 수 있는 금액이 얼마인지를 측정하여
목표를 정하는 방법, 각 기부자의 잠재력 고려하여 모금전략을 세우는 것
- 증액법(incremental approach)
- 후원자 개발을 위한 마케팅 목표설정는 소명헌장에 근거해야함
- 시장세분화
소비자들의 욕구가 동일하지 않음에 기반하여 각자 다양한 욕구와 기호에 맞는 후원상품,
전략 개발이 필요
- 주요변수별 세분화 구분
- 지리적 변수
: 지역단위, 지역의 크기, 인구 밀도, 인구통계학적 변수
(고객의 나이, 성, 가족상황, 소득, 직업, 교육, 종교, 사회계층 등)
- 후원자의 소득, 직업, 나이, 종교, 성 등에 따라 후원행위의 차이가 존재
- ex. 강철희(1998) :
직업상 공무원과 회사원 등 안정적 직업종사자 비중,
고등교육을 받은 사람,
연령적으로는 30대와 40대의 기혼 중년층,
기독교인의 높은 비중
- 심리적 변수
: 정확히 규정하기가 어려운 특성, 개인의 개성, 생활 스타일, 소속감, 관계의 지속성 등
- ex. 기부자들이 기관에 시간과 기금을 제공하는 행위는 기관과의 유대감과 친밀감을 형성
=> 기관에서는 잠재적 후원자들에게 기관에 대한 소속감과 참여 행위의 자부심을 갖게 함으로써
기부행위를 촉진가능
- ex. 기부자들이 기관에 시간과 기금을 제공하는 행위는 기관과의 유대감과 친밀감을 형성
- 행동적 변수
: 구매자들이 상품에 대하여 갖고 있는 지식, 태도, 사용반응 등
(상품내용에 따라 중요성 차이)
- 비고) 다양한 변수고려하여 전략수립 vs 너무 많은 변수분석.
활용시 과다한 목표와 복잡한 프로그램으로 비효과적인 전략이 될 수 있음
- 비고) 다양한 변수고려하여 전략수립 vs 너무 많은 변수분석.
- 지리적 변수
- 주요변수별 세분화 구분
- 후원자개발 및 관리 프로그램 수립
후원자 구분 전략수립(결연후원자, 정기 후원자, 비정기 후원자, 프로그램 후원자 등)
- 결연후원
: 주요기관들은 2/3 결연 후원금에 의존, 개인이슈의존, 후원자 참여만족도 증대에 용이,
후원대상자 스티그마등 부정적 측면 고려 - 정기 후원
: 대부분의 소규모 사회복지시설, 후원 지속율이 결연후원에 비해 떨어지는 단점 - 비정기 후원
: 장기간후원에 부담갖는 잠재후원자 대상 용이 - 프로그램 후원
: 특정 사업이나 프로그램을 홍보 (주요사회적 이슈, 문제 초점)
- 결연후원
320x100
'필기-복지경영 > 사회복지자원 개발 및 전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복지자원개발및전략] 사회복지자원개발과 모금 - 모금상품 개발 (0) | 2021.09.21 |
---|---|
[사회복지자원개발및전략] 사회복지자원개발과 모금 - 모금의 방법 (0) | 2021.09.21 |
[사회복지자원개발및전략] 사회복지자원개발과 모금 - 모금의 원칙 (0) | 2021.09.08 |
[사회복지자원개발및전략] 사회복지자원개발과 모금 - 모금의 전략 (0) | 2021.09.08 |
[사회복지자원개발및전략] 사회복지자원개발과 모금 - 모금을 위한 주요 요소 (0) | 2021.09.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