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0x100
1. 경영마인드란?
경영마인드(business mind)란,
경영자가 기업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효과성과 효율성을 가진 여러가지 아이디어나 지혜를 적용하는 것을 의미함.
⇢ 효과성과 효율성을 추구하는 마인드
⇢ 현실에 도전하며,
개혁을 통해 창조를 추구하고,
장기적으로 계산하며,
⇢ ‘언제, 어떻게’ 보다는
‘무엇을, 왜’ 하는지에 초점을 둔다.
2. 경영마인드의 핵심요소
- 고객중심 마인드
- 경영자가 기업을 경영하는데 있어 가장 먼저 생각하는 것이 고객임.
고객에게 제공되는 일체의 물질적 심리적 행동이
최상의 고객만족을 가져다 주는 활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임. - 고객을 누구로 볼 것인가? 소비자, 구성원, 투자자, 후원자 등
- 경영자가 기업을 경영하는데 있어 가장 먼저 생각하는 것이 고객임.
- 경쟁우위 마인드
- 경쟁회사와 비교해 볼때 어떻게 상대적으로 더 큰 만족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인가를 찾는 마인드
- 경쟁회사와 비교해 볼때 어떻게 상대적으로 더 큰 만족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인가를 찾는 마인드
- 가치 극대화 마인드
- 효과적이고 효율적이면서 동시에 수익성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
- 효과적이고 효율적이면서 동시에 수익성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
경영마인드가 없는 기업은 계획, 조직화, 지휘, 통제 각각이 일관성 없이 이루어며,
고객의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경쟁우위 확보나 가치극대화에 노력을 기울이지 않는 외형중심의 기업이 될 수 있음.
3. 기업의 경영마인드와 사회복지관련 조직의 경영마인드는 차이를 가지는가?
- 비영리조직의 가치와 윤리, 사명의 영향
- 조직의 사명선언문(mission statement)
- 조직이 왜 존재해야 하는가? (조직의 존재 이유)
- 다른 조직들과 어떤 차이점을 가지고 있는가? (다른 조직과 구별되는 차이점)
- 조직이 추구하는 가치와 이상을 명시하고 있는가? (추구하는 가치와 이상 기술)
- 사명선언문은 조직전체의 경영자, 개인, 집단의 활동을 안내함.
조직 | 사명선언문 |
국제사면위원회 (Amnesty Int) |
모든 사람이 세계인권선언 및 기타 국제인권기중에 명시된 모든 인권을 누리는 세상을 지향한다. |
그린피스 (Green Peace) |
우리는 환경범죄를 폭로하고, 정부와 기업이 환경과 미래를 보호해야하는 의무를 이행하지 않을 때 이들의 책임을 촉구하기 위해 존재한다. |
녹색소비자연대 | 소비자의 권리를 보호하며, 환경을 고려하는 소비생활을 함께 실천함으로써 생태환경을 보전하고 안전하고 인간다운 사회를 건설하는 데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
4. 사회적경제조직의 가치와 지향
- 사회적경제조직
“회사의 미래보다 지구의 미래를 위해 존재하는 기업”
“나의 성공을 꿈꾸기보다 모두의 행복을 꿈꾸는 기업가”를 추구 - 사회적기업
사회적 목적을 우선적으로 추구하면서 영업활동을 수행하는 기업조직
재화나 서비스를 생산, 판매해 돈을 버는 기업이지만
그 활동의 동기가 사주나 주주의 이익실현이 아니라 사회적 목적을 실현하는데 있는 기업을 말함.
영리기업이 이윤추구를 목적으로 모든 기업의 영업활동을 수행하는데 비해,
사회적기업은 사회서비스제공, 각종 사회문제의 해결, 지역통합, 일자치 창출 등의 목적을 위해 영업활동을 수행함.
즉 사회적기업은 “빵을 팔기 위해(수단) 고용하는 것이 아니라,
고용을 하기 위해(목적)빵을 파는 기업”임.
출처: 사회적경제지원센터. ‘사회적기업개요집’(2013) - 1: 99
- 경쟁이 아닌 ‘협력’
- 도움받은 만큼 상대에게 도움을 더해 주는 ‘호혜’
- 서로 다른 사람들이 같은 목적을 위해 힘을 합치는 ‘연대’
320x100
'필기-복지경영 > 사회복지경영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복지경영론] 복지경영의 이론: 조직환경과 조직이론 - 조직환경의 의미 (0) | 2021.09.29 |
---|---|
[사회복지경영론] 복지경영의 가치와 경영마인드 - 경영자의 역할과 능력 (0) | 2021.09.22 |
[사회복지경영론] 복지경영의 가치와 경영마인드 - 복지경영의 가치, 윤리와 윤리경영 (0) | 2021.09.22 |
[사회복지경영론] 복지경영의 이해 - 복지경영의 핵심적 역량 (0) | 2021.09.22 |
[사회복지경영론] 복지경영의 이해 - 사회복지조직의 경영 특성 (0) | 2021.09.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