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필기-복지경영/사회복지경영론

[사회복지경영론] 복지경영의 이해 - 사회복지조직의 경영 특성

2021. 9. 22.
320x100

 

 

 

1. 사회복지의 가치

 

  • 휴머니즘
  • 존재지향적 인간관
    : 인간의 가치를 ‘사물’로서가 아니라 ‘존재’ 그 자체에 두는 것.
    즉 존재로서의 인간을 다룬다는 점에서 다른 조직들의 행정, 경영과 차이를 가짐.

 

 

 


2. 사회복지조직의 특성

사회복지조직의 본질(hasenfeld, 1992)

"사회복지서비스는 사람과 함께 사람에 대해, 직접적으로(directly with and on people)"

 

  1. 사회복지조직의 원료는 인간이다.
  2. 사회복지조직은 클라이언트의 가치에 대해 도덕적 판단을 한다.
  3. 사회복지조직은 제도화된 조직으로 다양한 환경적, 이념적 요구를 수용해야 한다.
  4. 사회복지조직의 조직기술은 사회적 이념과 실천이념을 반영한다.
  5. 클라이언트의 반응성과 서비스의 과정상 왜곡가능성이 있다.
  6. 클라이언트의 동조가 필요하다.
  7. 클라이언트와 직원과의 관계가 주요하다.

-> 그래서 사회복지조직의 경영자들은 단순히 몰가치적인 기술이 아닌
    인간과 사회에 대한 깊이있는 가치와 철학이 필요

 

  1. 사회복지조직은 전통적으로 선한 일을 하는 사람들에 의해 운영되는 곳으로
    합리적이고 능률적인 운영보다 봉사와 희생에 기초한 착한 마음에 의지에 의해 운영되어 옴.

  2. 사회복지조직이 산출하는 서비스는 독특한 성격을 가짐.
    사회복지서비스는 무형의 즉시성과 소멸성을 가지며 
    그래서 비축이 불가능하여 일반적인 관리의 원칙이 적용되기 어려움. 
    사회복지조직에서 사용되는 기술은 표준화되기 어렵고 
    기술도 완전한 상태에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서비스에 대한 효과성 평가는 물론 업무에 대한 관리통제에 한계 있음.

  3. 사회복지조직은 외부환경에 의존적이기 때문에
    지역사회의 정치, 경제, 사회적 변화에 관한 다양한 지식과 관리기술이 필요함.

  4. 사회복지사는 전문성과 자율성을 가지고 업무를 진행하며,
    클라이언트의 대면과 서비스 전달과정에서 상당한 재량권을 가지기 때문에 
    사회복지사의 직무수행에 크게 의존함.

  5. 사회복지조직 내부 구성원들의 관점과 욕구도 다양하여 이에 대한 조정이 필요함.

 

 

 

 

3. 사회복지조직의 경영특성

 

  1. 지향과 목표
    • 비영리조직과 영리조직은 모두 고객만족의 극대화와 불만족의 최소화를 원함.
    • 비영리조직은 단위 서비스당 최소 비용 달성을 목표로 한다면,
      후자는 최대 이익이 위협받지않은 상태를 목표로 함.
  2. 효율성
    • 기업경영에서는 효율을 중시/
      반면에 사회복지조직에서는 효율성을 추구하는 경쟁을 선호하지 않음.
    • 훌륭한 경영은 단위가격과 만족도간 함수관계에서 전자를 최소화하고
      후자의 최대화 사이에 적절한 조합을 찾는 것
    • 사회서비스 조직 관리자 역시 효율을 추구하면서도
      효과, 서비스 만족도를 높힐 수 있는 조합을 찾아내는 것임.
    • 사회서비스 조직은 효율성을 넘어 공정성을 우선시.
    • 효율성을 판단하는데 있어서 정치 경제적 상황을 고려해야 함.
  3. 효과와 유효
    • 효과는 도구가치와 연결된 목적에서 비롯된 기준에 관하여
      측정, 실천의 성과 판단을 위한 기초 제공
    • 유효성은 목적가치와 연결된 목표달성을 판단하기 위한 기초가 되며,
      프로그램의 성공을 판단하는데 도움.
    • 관리상 효과 측정에 전적으로 의존하면 결정의 폭이 좁아질 위험
      유효성 측정에 전적으로 의존하면
      실제로 무엇이 도움이 되었는지 도움이 되지 않았는지에 대해 판단하기 어려움.
    • 그래서 두가지 성과 측정 유형의 적절한 혼합이 필요함.
  4. 책무
    • 책무에서 가장 중요한 것 ‘누구에 대한 책무인가?’
    • 사회복지서비스 조직에서 책무성은 대상자의 욕구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그 성과를 보장하여야 하는 국민에 대한 서비스 공급체계의 책임을 의미함.
  5. 신뢰증진
    • 비영리기관의 고객만족은 서비스 질과 서비스 제공 프로세스 및 절차의 질에 따라
      부분적으로 달라지고, 조직에 대한 신뢰가 필요함.
    • 신뢰증진을 위해 서비스를 위한 의사소통의 통로를 만들고 상호신뢰 형성 필요.
  6. 프라이버시와 익명성
    • 사회서비스 조직은 익명의 개인정보를 확인하는 동안 클라이언트의 개인정보를 존중해야 함.
320x10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