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0x100
전환학습을 위한 교육 관점
- 사람들이 항상 맞을 것이라고 가정한 것과 경험한 것, 들은 것, 읽은 것 사이에서의
불일치에 노출시키는 것을 활성화 하는 사건 - 가정들을 명료하게 표현하는 것,
즉 지금까지 무비판적으로 동화되어 왔고 대부분 비의식적으로 깔려 있는 가정들을 인식하는 것 - 비판적 자아성찰
즉, 가정들에 대해 질문하고 조사하는 것
(어디로부터 왔고 이것들을 갖고있음으로 오는 결과들 그리고 왜 그것들이 중요한 것인지) - 대안적인 관점들에 열려있는 것
- 증거들이 검토되고
논쟁들이 평가되고
대안적인 관점들이 참고 되고
지식이 동의에 의해 만들어지는 대화에 참여하는 것. - 좀 더 열려 있고 더욱 효과적으로 정당화하기 위하여
가정들과 관점들을 수정하는 것. - 전환된 가정들이나 관점들과 일치하는 방식 하에서
수정된 것들에 대해 행동하고 이야기하고 생각하는 것
전환학습을 위한 교수전략
- 활성화시키는 사건 만들기
- '만일 이것을 다른 관점에서 보면 어떨까?',
- '이 같은 관점에 내재되어 있는 가정들은 무엇인가?'
- '우리가 보편적이고 일반적이라고 간주 해 온 것들의 이면에 깔려 있는 것들이 있지 않을까?‘
- 가정들을 표현하고 명료화시키는 것
- '지능이 나이가 들면서 감퇴한다고 믿는가?',
- '그럼 지능이란 무엇인가?',
- 너의 견해는 너의 경험으로부터인가 혹은 당신이 아는 누군가의 경험으로부터인가?
- 비판적 자아성찰
- '가장 최악의 교수경험이나 직장상사와의 가장 좋았던 상호작용' 등을 기억해 보라고 시킨다.
그들은 그 사건들에서 '무엇이 발생했고 누가 관여되어 있으며 무엇이 가장 좋고 나쁜 경험으로 만들었는지
그리고 어떻게 그것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었을 것인지 기술한다.
그 사건들의 분석은 주로 소그룹이나 전체 반으로 이루어지며
참가자들이 그들의 가정을 조사하게 도와주고 성찰을 위한 구조를 제공한다.
- '가장 최악의 교수경험이나 직장상사와의 가장 좋았던 상호작용' 등을 기억해 보라고 시킨다.
- 대안들에 개방적이 되게 하는 것
- 역할극은 학습자들에게 그들의 관점을 포기하지 않고
대안적 관점을 시도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때문에 특별히 유용하다.
- 역할극은 학습자들에게 그들의 관점을 포기하지 않고
- 비판적 논쟁
- 비판적 논쟁은 논쟁적인 주제가 선정되고 학습자들이 가지고 있는 것과
반대되는 것을 가지고 학습자들은 그들의 견해를 확인하고
그들의 것과 반대되는 입장을 취하면서 그 주제에 대하여 논쟁한다.
- 비판적 논쟁은 논쟁적인 주제가 선정되고 학습자들이 가지고 있는 것과
전환학습의 본질과 특징
모든 관점의 공통성
- 지식은 밖에서 발견되는 것이 아닌 학습자에 의해서 구성되는 것이다.
- 전환학습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대화가 필요하다.
- 변화와 성장이 일어나려면 내면을 비판적으로 성찰해야 한다.
- 전환학습의 결과는 사회 변화이다.
전환학습론의 한계
- 비판적 반성을 통한 해방적이고 의사소통적 성격의 학습을 장려
- 학습의 개인주의화
: ‘개인이 자신의 삶을 전환하는데 있어서
사회에 대한 비판적 분석 없이 어떻게 그것이 가능할 것인가?’라는 점에 대한 비판
320x100
'필기-교양 > 성인학습 및 상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인학습및상담] 성인학습의 실제: MBTI 활용 - MBTI 선호 경향 (0) | 2021.10.17 |
---|---|
[성인학습및상담] 성인학습의 실제: MBTI 활용 - MBTI 개요 (0) | 2021.10.17 |
[성인학습및상담] 성인학습의 방법: 전환학습 - 전환학습이론 (0) | 2021.10.17 |
[성인학습및상담] 성인학습의 방법: 전환학습 - 전환학습 (1) | 2021.10.17 |
[성인학습및상담] 성인학습의 방법: 자기주도학습 - 자기주도학습의 원리 (0) | 2021.10.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