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랫폼 비즈니스 : 쏘카와 카카오택시, 타다. 카카오대리, 숙박 연결 어플, 요기요나 배달의 민족,
긱워크(gig work, 독립형 일자리) -> 긱이코노믹(gig economy)
재능 공유 플랫폼 업체 ‘크몽‘ : 마켓팅, 통번역, 프로그래밍, 디자인 등
독일의 인터스트리 4.0(Industry 4.0) -> 노동 4.0(Arbeit 4.0)도 함께 준비
스마트시대의 주거와 환경
스마트시티, 사람이 중심의 되는 도시와 에너지 이용 : 버추얼 싱가포르, 디지털 트윈. 싱가포르의 홍수문제 해결을 디지털 쌍둥이 도시에서 대비.
우리나라도 세종시와 부산에 스마트시티 시범도시 조성 중 : 인공지능과 블록체인, 모빌리티, 헬스케어, 에너지 환경 등 스마트시티의 기술적 구현, 거버넌스와 일자리 창출 등 모범사례 제시가 목표
스마트에너지 : 신재생에너지, 전기차 보급, 태양열과 풍력 이용 등
스마트그리드 : 에너지 절감. 수요자가 생산자인 환경조성
공유와 개방과 참여가 특징
스마트시대의 정부, 정치참여
직접 민주주의 확대와 맞춤형 복지시대 : 편리성과 경제성 vs. 보안성
2018년 6월 미국 웨스트버지니아주 :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온라인투표
구 소련에서 독립한 에스토니아 인구 130명의 나라 에스토니아 전자신분증 사용, 블록체인 기술을 도입한 국가 정보 교환 플랫폼 ‘x-road’구축. 최고정보책임자(CIO)라는 직책이 정부 차관급. 전자영주권 도입. 우리나라에도 1000명의 영주권자가 있음. 에스토니아에 창업 가능
스마트시대의 생활과 교육
AI스피커, 인공지능 비서 : 아마존의 알렉사, SKT 누구, KT 기가지니 등
딥러닝을 통한 데이터 축적과 활용.
스마트홈 : 3무 가정 (노동, 방해, 안전하고 관리걱정이 없는 가정)
홈오토메이션 시스템
지능형 스마트홈
사람형 로봇
하이퍼루프와 같은 최첨단 교통인프라 – 친환경(태양열), 시간단축, 진공튜브방식의 철도, 출발지와 목적지를 진공관으로 연결하여 캡슐을 엄청난 속도로 운전 – 구축 준비 중.
교육도 실감형 교육 진행. VR와 AR. 예. 포켓몬 고와 같은 모바일 게임 -> 위험도 동반한다는 문제점이 있음.
스마트시대의 의료
일본 이화학연구소의 간병로봇 ‘로베어’
스마트시대의 복지
빈곤층 위주의 복지 -> 복지 1.0
사회보험제도 -> 복지 2.0
복지국가의 축소, 합리적 정책구현 -> 복지 3.0
성장과 분배의 선순환 구조 구축, 극단적 양극화 해소, 일자리 창출, 규제와 노동의 혁신을 통한 사회안전망 구축 -> 복지 4.0
스마트복지 : 수요자중심체계, 수급자의 자활과 자립을 위한 투자, 제주시의 스마트복지관, 인천광역시와 경기도 파주 등. e아동복지지원시스템. 데이터를 통한 아동학대 방임사례 발굴 및 개입.
ICT 케어 매니저 1명이 100명을 돌봄 -ICT 사용법 교육 -설치 기기 관리 -어르신 재가 돌봄
1명 100명 케어매니저
ICT 기반 새로운 일자리
24시간 365일 안심케어 제공
인공지능 기반 야간모니터링
과학기술을 활용한 돌봄 효과
세부과제
스마트 로봇(기립지원, 배변보조 등) 기술의 돌봄현장 활용 지원
기대효과
보호자의 부양부담
서비스 종사자의 업무부담 감소
돌봄노동 편의성향상
당사자의 자존감 향상 및 낙상 등의 사고 예방
과학기술 활용
스마트로봇
초연결사회의 그림자
첫 번째 그림자 ; 디지털 정보 격차
연령별 디지털 정보화 수준(단위 :%)
월가구소득별 디지털 정보화 수준(단위 :%)
n 계층별 디지털 정보화 수준(단위 :%)
두 번째 그림자 ; 신기술의 안정성과 법적/윤리적 문제
기술적인 문제 : 사고가 발생할 경우, 누가 책임질 것인가?
사례 : 자율주행모드에서 발생한 사고, 의료 인공지능의 오작동에 따른 사 고, 기술적인 문제를 둘러싼 논점
윤리적인 문제
알고리즘 설계 시 가치 판단 기능을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
사례 : 트롤리딜레마 (1967년 영국 철학자 필리파 풋이 제시. 전차사고와 5:1명의 인부, 선로변환기. 1vs. 5 . 행인모드와 자기보호모드 중 어떤 것을 선택할 것인가 등)
알고리즘에 의한 혐오 콘텐츠 관리의 한계 : SNS, 테러 확산 창구되나? 메일 경제(2019. 3.18) 뉴질랜드 크라이스처치 이슬람 모스크, 백인테러범 총기난사 50명 사망, 50여명 부상, 페이스북 라이브 실시간 중계 등.
로봇 저널리즘 : 인공지능이 스포츠와 경제, 날씨 등 속보성 뉴스를 작성하고 주요 기사에 대한 요약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 확증편향(자신의 신념과 일치하는 정보는 받아들이고 신념과 일치하지 않는 정보는 무시하는 경향)적인 정보만 접하는 문제. 인공지능이 지배하는 포털 뉴스의 위험성, 미디어오늘, 2019. 7. 14.
인공지능 윤리문제,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
정보통신정책연구원, “4차 산업혁명 시대 산업별 인공지능 윤리의 이슈분석 및 정책적 대응방안 연구“ 2018. 10.
세계 최대 기술자 모임 IEEE “윤리적 인공지능 알고리즘 설계를 위한 지침서"발표
영국정부 “자율주행차량 사이버 보안 가이드라인“ 마련(2017년 8월)
일본정부 “인공지능 개발 윤리 가이드라인“ (2016년 12월)
세 번째 그림자 ; 부의 불평등, 양극화, 그리고 일자리문제
기계에 의해 대체될 미래 일자리 : 데이터 권력과 AI권력이 초양극화사회 초래
네 번째 그림자 ; 개인정보 유출과 사이버위협, 네트워크 장애
초연결사회의 개인정보유출
2015~2018년 전 세계 주요 개인정보 유출 사고 연표, 출처 : 한국인터넷진흥원
자율주행차 해킹
헬스 케어 정보의 유출
스마트 홈을 통한 사생활 침해
사이버테러와 물리적 사고로 인한 네트워크 장애
개인정보의 안전한 보호와 활용을 위한 노력
다섯 번째 그림자 ; 정부와 시장간 갈등
신규서비스와 정부규제
참고자료 출처
<단행본> - 고삼석(2019), 5G 초연결사회, 완전히 새로운 미래가 온다, 메디치.
<기관발행 및 세미나 발표자료>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정보화진흥원(2019), 2018년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 보고서 - 오문준, 박종수, 윤선예 (2019), 4차 산업혁명 시대 서울시 복지서비스 발전방향 연구. 서울:서울시복지재단 - 채영훈(2019), ICT를 활용한 고령 사회문제 해결, SK텔레콤 행복커뮤니티 인공지능 돌봄, 서을 디지털 에이징 포럼 자료집
<신문기사, 인터넷 자료> - 아시아경제(2020.6.22.). 로봇을 렌탈하는 시대…헬스케어 매니저 부모님 돌봄 반려로봇 월 2~3만원대 ‘눈길’.. https://n.news.naver.com/article/277/0004701749 - 의학신문(2018.4.6) 의료질과 환자 만족도 높이는 ‘스마트 의료'시대 개막 http://am2ran.com/173/?q=YToy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zOjQ6I nBhZ2UiO2k6NTt9&bmode=view&idx=641895&t=board - 조선비즈(2019.5.30.). LG유플러스-보건복지부, ICT로 노인·장애인 자립생활 돕는다. https://n.news.naver.com/article/366/000043533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