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0x100
1. 노인문화의 연구방향
- 노인은 스스로가 노인문화를 창출해왔는가?:
젊은세대 혹은 사회에서 정의했던 노인에 관한 고정관념과 편견에서 탈피하지 못한 채
노인문화를 수동적으로 받아들여 옴 - 노인의 절대적, 상대적 수가 증가, 노년기 연장, 높은 교육과 경제적 능력을 지니게 되면서
주체적으로 노인문화를 창출하고자 하는 의지가 증가 추세 - 미래는 점차 노인문화가 우리나라의 중심적인 주요한 문화 코드로 자리매김
- 노인들은 자신의 노년기를 새롭게 재표현할 것임
- 노인문화로의 시각 전환은 사회적으로 노년을 이해하는 중심이며
환경을 조절하는데 주요한 영향을 미칠 것임 - 노인문화에 대한 올바른 정립이 필요한 시점으로
노인문화에 관한 다학제적인 접근을 통해
보다 성공적인 노화를 달성하기 위한 총제적인 노인문화에 관한 이해 요구 - 따라서 보다 바람직한 의미와 해석을 전달해 줄 수 있는 건전한 노인문화 창조 요구됨
- 노인들 스스로에 의해 창조되는 의미들과 그들의 삶에 목적을 부여하는 노인 문화 고려가 중요
- 특히 미래 노년이 될 다른 세대들의 노인문화의 올바른 인식과 태도가 필요함
2. 노인문화의 창출의 원칙
- 다양성(Diversity)의 원칙
- 노인 집단은 동질성과 이질성을 동시에 갖고 있음:
같은 연령 조건을 가진 집단이지만 상이한 인생, 자원, 가치관 등을 가진 사람들 - 노인문화 창출은 다양성의 원칙을 가져야 함
- 주체의 다양성: 특정 노인집단이 아닌 다양한 배경과 경험을 가진 주체 포함
- 생성의 다양성: 창출된 노년문화의 다양성
- 노인 집단은 동질성과 이질성을 동시에 갖고 있음:
- 자율성(Autonomy)의 원칙
- 노인 스스로 창조하는 것이 중요함
- 현 노년기는 능동적 사고 기회 및 자율적 역량 부족
- 내실 있는 노년기 교육 필요:
노년기를 생애주기에서 부차적으로 치부하지 않고
적극적으로 노년기를 사고하고 생애주기 전반에 걸쳐 준비하는 분위기 형성 필요
- 연령통합성(Age integration)의 원칙
- 바람직한 노년문화는 노화가 어떠한 이데올로기라도 배재된 그 자체로서 수용되어야 함
- 가장 대표적 이데올로기는 연령차별주의
예> 젊은 노인이 되자 - 사회에서 노인문화를 비주류 또는 일반 문화로부터 배제해선 안 됨
320x100
'필기-교양 > 노인과 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인과문화] 문화 속 노인과 가족 - 노년기 부부관계 (0) | 2021.09.14 |
---|---|
[노인과문화] 문화 속 노인과 가족 - 노년기 가족관계의 이해 (0) | 2021.09.14 |
[노인과문화] 노인과 문화 이해 - 노인문화의 역사적 고찰 (0) | 2021.09.04 |
[노인과문화] 노인과 문화 이해 - 노인문화의 의미 (0) | 2021.09.04 |
[노인과문화] 노인과 문화 이해 - 문화의 이해 (0) | 2021.09.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