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0x100
1. 농경사회
- 노동의 역할
- 노인이 소유하고 있는 재산, 지식, 경험에 기반을 둔 것이었으며,
노인들은 계속해서 일할 기회가 주어졌고
노인들이 생존해 있는 한
지속적인 노동 활동을 통해 유용성을 계속해서 발휘함
- 노인이 소유하고 있는 재산, 지식, 경험에 기반을 둔 것이었으며,
- 지식과 주술, 종교
- 노인들은 지식과 지혜, 전통기술의 소유자이자 정보에 관한 통제권을 가짐
- 종교적 지도자로서의 힘도 부여받음
- 주술은 노인이 특권적 위치를 차지하도록 해줌.
의식, 제사를 집행하는데 지도자로서 기여
- 정치적 활동
- 주로 연령을 기반으로 하는 노인주도형 정치를 실시.
- 연령에 기반한 지혜를 활용하여 통치하는 노인주도형 정치를 실시
- 재산권
- 노인은 재산을 소유함으로써 권력을 통한 통제 수단을 활용하고 있었다.
- 노인은 재산을 소유함으로써 권력을 통한 통제 수단을 활용하고 있었다.
- 가족
- 노인들은 가족관계를 통해서 권력을 얻음
- 가족관계에서도 노인은 권력을 통해 영향력을 행사
※ 농경 사회에서 노인들은 전반적으로 존경과 주도적 문화를 형성하였다.
2. 산업사회
- 건강기술의 발전
- 의학의 발전은 기대수명을 연장하였고
노인인구가 증가하면서 직장 내 세대 간의 경쟁 초래 - 노인들은 은퇴 -> 수입의 감소 -> 결국 노인의 지위하락의 원인을 제공
- 의학의 발전은 기대수명을 연장하였고
- 경제기술의 발전
- 경제발전으로 새롭고 전문화된 직업이 창출되고
기술훈련을 받은 젊은이 새로운 직업현장 유입 - 노인들의 기술습득 등의 시대필요 기술 취득 부족 -> 조기 은퇴
-> 노인의 수입과 지위상실 -> 노인 지위하락
- 경제발전으로 새롭고 전문화된 직업이 창출되고
- 대중교육의 확산
- 젊은이가 더 높은 교육을 받으면서
직업선택이 노인보다 다양해지고
상대적으로 노인 지위 하락
- 젊은이가 더 높은 교육을 받으면서
- 도시화
- 젊은이들은 새로운 직업과 기회가 있는 도시로 이동하고
노인과 분리 -> 노인의 정서적 소외감
- 젊은이들은 새로운 직업과 기회가 있는 도시로 이동하고
- ※ 비판
- 산업화 이전 사회에서는 모든 노인의 지위가 높았는가?
- 과거를 지나치게 낭만화 하는 것
- 사회계층, 성, 인종집단에 따라
각 사회 내의 노인의 지위가 모두 다를 수 있다는 다양성 간과 -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반적으로 산업화 시대를 기점으로 노인의 지위가 과거에 비해 약화
3. 정보화사회
- 정보화시대의 노인의 위치
- 과학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평균수명이 더욱 증가하면서
노인의 절대적, 상대적 수가 증가 - 생애주기에서 노년기가 길어져
많은 사람들에게 노화가 보다 보편적인 경험이 됨 - 산업화시대의 교육과 경제적 자원을 지닌 노인들의
주체적 삶의 욕구 높아짐 - 노인 건강 관련 의료 시장의 가장 큰 소비자 등
노인관련 산업 활성화 - 노인의 절대적 수의 증가는
노인의 정치적인 힘과 결속력을 강화 - 건강한 노인들이 많아지면서
생산성 활동의 욕구 충족 필요
- 과학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평균수명이 더욱 증가하면서
- 정보화시대의 노인문화의 과제
- 과거 노인문화에 대한 관심을 거의 보이지 않았던 것과는 달리
이제는 노인문화를 통하여 노인의 일상사를 이해하고 더 많은 의미를 부여하고자 함 - 기존에 정립되어져왔던 노인문화에 관한 정의와
정보화 사회에서 새롭게 정의되어지고 있는 노인문화에 대한 정의 간에 충돌 - 정보화시대에 보다 새롭고 올바른 노인문화를 재정립할 필요
- 빈곤하고 약자인 노인에서 활기찬 노인으로
- 은퇴가 이제 더 이상 쇠퇴가 아닌 선택으로
- 노인에 관한 정치경제적 접근에서 노인 개인의 정체감을 강조하는 문화적 접근
- 과거 노인문화에 대한 관심을 거의 보이지 않았던 것과는 달리
320x100
'필기-교양 > 노인과 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인과문화] 문화 속 노인과 가족 - 노년기 가족관계의 이해 (0) | 2021.09.14 |
---|---|
[노인과문화] 노인과 문화 이해 - 노인문화의 연구 (0) | 2021.09.04 |
[노인과문화] 노인과 문화 이해 - 노인문화의 의미 (0) | 2021.09.04 |
[노인과문화] 노인과 문화 이해 - 문화의 이해 (0) | 2021.09.04 |
[노인과문화] 노인과 문화 이해 - 노인과 문화의 의미 (0) | 2021.09.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