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0x100
노인 또는 노인과 문화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는?
- 노인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까요?
- 우리에게 노인이란 지하철에서 조(는 척하)는 젊은이를 노려보거나
임산부에게 "비키라"며 욕 하는 존재,
가스통을 들고 나타나 시위하는 존재,
선거 때면 아픈 몸을 이끌고라도 새벽부터 열심히 투표하는 존재 이상도 이하도 아니었다.
기껏해야 <꽃보다 할배>의 비현실적인 로맨스 노년(노인 빈곤율은 세계 1위다)이
젊은이의 뇌리에 남은 노인의 이미지다.
현실에 발 디딘 노인은 손주를 대신 봐주는 사람 혹은 파고다 공원에 모인 이들이었을 뿐이다.
철저히 대상화된 주변의 존재로 우리 머릿속에 그려졌을 따름이다.
유독 노인은 집단의 존재로서만 우리 머리에 인식된다.
<프레시안, 2015.10.27>
- 우리에게 노인이란 지하철에서 조(는 척하)는 젊은이를 노려보거나
- 자신의 노년을 생각해보셨나요?
- 내가 노년으로 살 기간은?
- 2007년. 미국 스탠퍼드대학의 연구진은
대부분의 선진국에서 살고 있는 사람들의 평균 수명이
앞으로 25년 내로 100세에 이를 수도 있을 것이라고 예측 - 실제 백세 시대를 언급하고 있음
- 그럼 평균수명을 90세로 보고 현재 나이에서 계산
- 현 50세 기준으로 40년 남았음
- 살아왔던 40년과 노후 40년을 비교해봄
- 약 14,600시간이 우리에게 주어짐
- 2007년. 미국 스탠퍼드대학의 연구진은
- 우리의 노년을 위해 지금의 노년, 그리고 그들을 둘러싼 노년의 문화를 이해할 필요 있음
320x100
'필기-교양 > 노인과 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인과문화] 문화 속 노인과 가족 - 노년기 가족관계의 이해 (0) | 2021.09.14 |
---|---|
[노인과문화] 노인과 문화 이해 - 노인문화의 연구 (0) | 2021.09.04 |
[노인과문화] 노인과 문화 이해 - 노인문화의 역사적 고찰 (0) | 2021.09.04 |
[노인과문화] 노인과 문화 이해 - 노인문화의 의미 (0) | 2021.09.04 |
[노인과문화] 노인과 문화 이해 - 문화의 이해 (0) | 2021.09.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