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필기-경영/고객관계관리

[고객관계관리] e비즈니스와 CRM - e비즈니스 모델의 분류

2021. 9. 24.
320x100

 

 

 

1. 목적에 의한 분류

직접적으로 돈을 벌어들이는 것이 목적이 될 수 있으며,
기존의 오프라인 사업을 강화하기 위한 정보 제공이나 
고객 로얄티 확보, 브랜드 이미지 제고 등

전체 e비즈니스 지원 모델
(=개선모델이라고도 함)
(improvement based model)
커뮤니케이션 모델 수익모델에는 없고
지원모델에만 있는 모델
정보제공 모델 고객에 대한 
제공가치에 의한 분류임
서비스 모델
커뮤니티 모델
수익모델 수익의 원천에 의한 분류
고객에 대한 제공가치에 의한 분류
거래 주체에 의한 분류

 

  • 지원모델
    기존 오프라인 대기업들의 경우 
    처음에는 인터넷을 오프라인 사업을 지원하기 위해 
    고객과 효과적으로 접촉할 수 있는 수단으로 생각해 왔고 
    지금도 여전히 그런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다.

    1. 커뮤니케이션 모델
      사 자체 또는 상품이나 서비스를 소개하거나
      고객 불만을 접수하는 등 
      고객과의 직접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e 비즈니스, 
      주된 축은 홍보와 문의/상담이다.

    2. 정보 제공 모델
      정보 제공 모델은 자사 제품용 소프트웨어를 다운받거나 
      사용법 등 제품 관련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3. 서비스 모델
      서비스 모델은 자사의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무료 e-메일이나 웹OS, ASP(application service provider)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비즈니스

    4. 커뮤니티 모델
      • 자사의 고객들을 조직화하기 위한 비즈니스 모델
      • 커뮤니티 모델은 기업에 대해 우호적인 고객들을 조직화함으로써
        커뮤니티 소속 고객들의 로열티를 높인다.

 

 

 

 

2. 수익의 원천에 의한 분류

 

  •  수익모델
    e비즈니스를 통해 직접적으로 돈을 버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수익 모델 직접 수익 창출 상거래 모델
    이용료 모델
    회비 모델
    거래 조성에 따른
    간접 수익 창출
    제휴 수수료 모델
    광고 모델
  • 직접 수익 창출
    1. 상거래 모델
      인터넷을 이용하여 상품 또는 서비스를 유통시키고 
      이를 바탕으로 수익을 얻는 모델

    2. 이용료 모델
      인터넷 사이트에서 정보나 서비스를 이용하는 고객들의 이용료로 비용을 충당하고
      이익을 내는 모델

    3. 회비 모델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을 할 수 있는 권한을 제공하는 대가로 회비를 받는 모델


  • 간접 수익 창출
    1. 제휴 수수료 모델
      이 모델은 많은 인터넷 이용자의 방문을 유도한 다음, 
      이들을 제3의 e 비즈니스 상거래 업체로 연결시켜서 
      그 수수료를 얻는 모델이다.

    2. 광고 모델
      광고 모델은 사이트 운영의 비용과 이익을 광고료에서 충당하는 모델

 

 

 

 

3. 고객에 대한 제공 가치에 의한 모델 분류

고객에게 무엇을 주는가에 따라서 비즈니스 모델을 분류할 수 있다.

 

수익모델 상거래 모델 -> 상세하게 다시 분류할 필요 있음
서비스 모델 -
정보제공 모델 직접 정보 제공 모델
정보 제공 환경 조성 모델
커뮤니티 모델 -
복합 모델 -> 동일한 내용의 사업이 고객에 따라 상이한 형태로 받아들여지는 경우

 

  1. 상거래 모델
    • 인터넷을 통해 제품 혹은 서비스를 판매하는 형태의 사업
    • 인터넷은 상품을 판매/구매하는데 있어서 하나의 유통채널이 되어짐

  2. 서비스 모델
    • 인터넷을 통해 실제 가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델
    • 상거래 모델에서는 인터넷이 상품을 유통시키는 채널 기능만 하는 것에 비해,
      서비스 모델에서는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 자체가 고객이 원하는 궁극적 상품. 
      예) 인터넷을 통한 전화 서비스, 통합메시징 활용 등

  3. 정보 제공 모델
    정보 제공 모델은 인터넷을 통해 정보를 공급해 주는 사업
    • 직접 정보 제공 모델
      사업 주체가 비용과 시간을 들여 정보를 수집한 다음, 
      이를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것. 
      예) 신문사 사이트
    • 정보 제공 환경 조성 모델
      사업 주체가 직접 정보를 준비하여 고객에게 제공해 주지는 않지만, 제3의 참여
      자가 정보를 공급하고 이를 고객들이 공유하도록 유도

  4. 커뮤니티 모델
    • 공통적인 관심사를 가진 사람들이 모여 정보를 교환하고 의견을 나누는
      사이버 공간을 제공하는 사업
    • 가장 쉽게 생각할 수 있는 커뮤니티 모델의 수익은 광고
    • 장기적으로는 단순한 광고보다는
      커뮤니티 회원들의 정보를 바탕으로 하는
      새로운 사업에서 수익 창출 
      -> 정보중개모델

  5. 복합 모델
    동일한 사이트가 고객에 따라서 
    상이한 가치를 제공하는 경우에 해당되는 모델

 

 

 

 

4. 거래 주체에 의한 e 비즈니스 모델

  1. 참여자에 의한 분류
  2. B2B, B2C, B2G, C2C, P2P, G2C

 

 

 

 

320x10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