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필기-교양/성인학습 및 상담

[성인학습및상담] 성인학습상담의 개념 및 특성 - 상담관계 형성 원리

2021. 11. 21.
320x100

 

 

 

상담의 가장 기초적인 원리는
상담자가 내담자와 상담관계를 잘 형성하는 것.

 

수많은 연구결과를 보면
모든 유형의 상담에서 상담성과와 정적인 상관을 보이는 요인은
바로 상담자와 내담자간의 협조적 관계 동맹관계라는 것을 알 수 O.

 

수용, 공감적 이해, 일치와 같은 상담자의 태도 조건은
모든 상담에 기초적 인 요소라고 할 수 O.

 

 

 

 

수용

 

수용(acceptance)은
인간의 가치와 존엄성에 대한 인식으로부터 나오는 것으로서
내담자가 어떤 문제를 지니고 있건 어떤 사회적인 죄를 범하였건
어떤 심리적 신체적 특성을 지니고 있건 상관없이 그를 한 인간으로 존중하는 것.

 

즉, 수용은 내 담자를 한 인간으로 존중하며
그의 감정 사고 행동을 평가하거나 판단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을 의미.

 

그런데 이러한 태도는 무조건적이고 긍정적이어야 함.

상담자가 이러한 태도를 보여줄 때
내담자는 자신의 감정을 자유롭게 표현하고 경험하게 됨.

 

 

 

 

 

공감적 이해

 

공감적 이해(empathic understanding)는
감정이입적 이해 또는 내적 준거제제에 의한 이해 등으로 부르기도 하는데
상담과정에서 드러나는 내담자의 경험과 감정을
상담자가 정확하게 읽어내어 이해하는 것을 말함.

 

이해라고 하는 말은 어떤 이치를 해득하는 것과 같이
주로 지적인 과정에 중심을 둔 개념.

 

물론 상담에서는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방법에 의해서
인간의 행동을 이해하는 것을 중시하기는 하나
그것만으로는 총분치 않다.
∵ 상담의 과정에서 중요한 것은
내담자의 마음 속에서 주관적으로 작용하고 있는 지각, 감정, 동기, 갈등, 목표 등과 같은 것이기 때문.

 

상담자가 내담자의 마음을 공감하고 있음을 전달할 때
내담자는 자신이 이해 받고 있음을 느끼게 되며
이런 과정을 통해 상담자를 신뢰하고 자신을 드러내 보임으로써
자기탐색과 자기이해의 길로 들어서게 됨.

 

 

 

 

일치

일치(congruence)는
흔히 진솔성, 순수성 등으로 불리기도 하는데
상담자가 자유롭고 아주 깊은 의미에서 자기 자신이 되는 것을 의미하며
자기 자신에 관한 자신의 인식을 정확하게 표현하는 실제적인 경험을 의미.

 

즉, 일치란 상담자가 자신의 내부에서 경험하는 것(예: 기쁨, 분노, 답답함, 속상함 등)에 대해
정확하게 인식하고 이를 일치되게 잘 표현하는 것을 의미.

 

이렇게 함으로써 상담자는 자신의 솔직한 생각과 감정을 내담자와 교환할 수 있게 됨.

 

 

 

 

 

320x10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