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필기-복지경영/사회복지자원 개발 및 전략

[사회복지자원개발및전략] 사회복지자원개발과 마케팅 - 홍보매체 및 방법

2021. 10. 6.
320x100

 

 

1. 홍보방법

 

 

  1. 홍보목적설정
  2. 홍보메시지, 자료수집
  3. 홍보매체, 대상자 선정
  4. 홍보자료작성
    • 홍보기사요건
      :구체성, 논리성, 간결성, 함축성+6하원칙
  5. 홍보실행
  6. 홍보사후관리
    • 오류수정. 정정/ 연계 관리

 

 

 

 

2. 홍보매체분류

 

 

  1. 전통적 매체 / 신생매체
    • 전통매체
      : 신문, 방송(텔리비젼, 라디오), 대중잡지, 사보, 출판물 등
    • 신생매체
      : 인터넷(홈페이지, 이메일 등), 소셜네트워크서비스(블로그, 카카오스토리, 페이스북, 트위터, 텀블러 등) 등
  2. 접근방법에 따른 매체
    • 시각적 매체
      : 신문, 잡지, 회보, 책자, 팸플릿, 보고서, 사진 등
    • 청각적 매체
      : 이야기, 좌담, 강연회, 라디오 등
    • 시청각적 매체
      : 영화, 텔레비전, 비디오, 인터넷, 연극, 대중집회 등
  3. 주요홍보매체
    : 회보/소식지, 텔레비전, 라디오, 신문, 잡지, Direct Mail,
    책자, 리플릿, 포스터(전단), 사진, 홈페이지, SNS 등

 

 

 

 

3. 홍보매체별 세부이해

 

 

  1. 회보/ 소식지
    • 기관이 알리고싶은 소식, 정보 공유의 기회
    • 기관의 대변지, 기관방향. 특성. 주요사업이 잘 드러나도록,
      주민참여, 후원자 등 자원개발 목적 스토리, 후원보고 등 포함되도록
    • 컨텐츠생산 및 편집. 사진촬영, 디자인 등에서 경쟁력 문제
    • 기획. 원고취합. 작성 등의 예산. 인력투입부
    • 전문봉사자. 참여형 소식지 제작 필요성
  2. 인터넷등 관련 매체
    1. 홈페이지
      • 최근 대표적. 기본적 전달매체
      • 기관의 주요사항, 소식, 이용방법, 안내 등이 정확하게 제시되도록
      • 시의적절한 의사소통이 이뤄지도록 활성화. “관리”가 필요
      • 개발. 유지보수 등 기관의 역량과 활용도에 따라서 활용필요
      • 자원개발을 위한 도구탑재가능(후원신청 연결 등)
    2. SNS
      • 보조적 매체, 새로운 매체로 활용 급증
      • 유행을 떠나 지속가능하게 활용하는 것이 중요
      • 채널 다양화에 따른 관리자/ 이용자의 피로감
      • 기술적 방법활용 필요
  3. 외부매체 활용
    1. 신문, 잡지 등 연계
      • 외부 고정독자층을 대상으로 한 기존 매체에
        스토리, 자원개발 등의 이슈들을 추가하여 편집
      • 본래 제작의도 점검필요, 신속성 부족, 단회적 접근/ 비용부담
      • 무가지 등 적절한 활용
    2. 방송(텔리비젼, 라디오 등)
      • 텔레비전
        : 파급력, 신속성. 참여유발 등에 장점, 메시지전달의 단기성.
        일반적인 사회복지영역에서의 접근상의 어려움
      • 라디오
        : 기동성, 즉시성, 지역성 등에 유리, 시각적 제약 등 (앱 연동으로 확장가능)
    3. 공공기관 소식지. 지역방송등
      • 지역내 대상 집중된 정보전달가능. 효과성
  4. 기관내부. 일상적 매체
    • 리플릿
    • 게시판, 관내안내문
    • 시청각자료(홍보영상등)
    • 사진, 슬라이드 등
  5. DM (Direct Marketing)
    • 여러 광고매체 중 가장 고전적, 중요한 핵심매체
    •  예상고객 선별하여 마케팅적 커뮤니케이션방법
    • 간단한 엽서부터 고급카다로그까지 범위. 예산 등 조정가능
    • 카탈로그, 서비스, 할인권, 안내자료, 참여초대권 등
    • 사전마케팅가능, 반복적 제공가능(생일, 기념일, 계절별 등)
    • 기관DB의 다양한 활용 (Response Lists, Complied Comsumer Lists, Business Lists, House Lists)
    • 자원개발에 있어서 잠재적 후원자 DB등 적극활용가능
    • S-P-D-A-E : Short, Punch, Dramatic, Attractive, Effective
    • 4E : Emotional, Enthusiastic, Entertaining, Easy-to-read

 

 

 

 

4. 홍보의 실제 및 유의사항

 


< 홍보 보도자료 작성 10계명 (김선환)>

  1. 유사기사를 참고하고 A4용지 1장 정도로 요약한다.
  2. 보기 좋고 읽기 쉬운 글은 한 문단에 3~4줄 정도이다.
  3. 전문용어를 피하고 중학생 수준에 맞춰쓴다.
  4. 기사 입장에서 독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알린다.
  5. 이슈, 트렌드, 타이밍에 맞춰 뉴스 가치를 높인다.
  6. 사실 위주로 쓰고 불필요한 미사어구는 배제한다.
  7. 사진, 도표, 그래픽 등 시각적 자료를 첨부한다.
  8. 보도 희망일, 연락처, 홈페이지 주소를 적는다.
  9. 잘못이 없는지 다른 사람에게 검토를 부탁한다.
  10. 도달률 높은 방법을 선택하고 반드시 확인한다.

 

<효과적 홍보를 위한 매체활용유의점 >

  1. 시의적절성. 내외부 타이밍 고려하기
  2. 소통. 관계형성 위한 도구 vs 전달을 위한 일방적 도구
    - 일상적 소통. 관계형성 vs 참여, 후원유도
  3. 매력적인 컨텐츠, 디자인의 중요성
    - 재미. 볼만한 거리, 세련된 접근의 필요
  4. 전문기술. 적절한 활용기술 보유 필요
  5. 비용대비 효과. 활용수준. 정도에 따른 매체관련 비용 산정필요
    (비용과 효과성은 정비례하지않음/ 무료.공유매체 활용방법)
  6. 왜곡방지를 위한 노력 : 기관의 주요가치, 메시지 유지 관리
  7. 저작권, 초상권, 개인정보, 인권침해 등 방지 노력 필요
  8. 너무 다양한 도구 => 이용자. 관리자의 피로감. 집중력있는 홍보 장애요소
  9. 조직내부에서부터의 활용. 참여
  10. 일상적. 지속적 관리 필요

 

 

 

 

5. 참고

 

  • 자원개발을 위한 홍보 사례들
  • 사회복지홍보의 발전을 위한 과제
    1. 홍보의 중요성에 대한 기관차원의 인식. 업무배치, 전략수립. 예산확보
      • 홍보사업계획, 홍보담당자 배치 등
      • 투입이 있어야 산출이 있다 vs 파격적 투자
    2. 홍보실무자의 전문성강화를 위한 교육, 연계 활동지원의 확대
      • 서울사회복지사협회
        : 홍. 당. 모 , 프리즘(PRISM) 등
      • 비영리미디어컨퍼런스
        : 체인지온(다음세대재단)
    3. 홍보관련 전문자원 적극 유치. 공유 등의 활성화
      ex. 대학생 전문홍보(마케팅) 봉사단, 전문가 재능기부 등
      • 망원시장 (걱정마요 김대리)
    4. 기관에 적합한 홍보매체 개발. 활용
      • 많이들 사용하는 매체가 우리에게 적합한 매체는 아닐 수 있다.
      • 기관특성, 현실가능성, 지속적인 관리가능성, 투입대비 효과성 등 고려
    5. 대중의 수준에 맞는 홍보전략. 기술의 업그레이드 노력

 

320x10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