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필기-교양/부모교육

[부모교육] 부모교육의 역사 - 우리나라의 부모교육사

2021. 9. 14.
320x100

 

우리나라 자녀양육의 엿에서 조선시대 이전까지의 기록은 많지 않음.
삼국시대와 고려시대 양육에 대한 전문적인 기록은 없으며,
<삼국유사> <삼국사기> <고려사> <명심보감> 등과 같은 책을 통해 당시 양육에 대해 짐작할 수 있음.


서양은 부모가 자녀를 어떻게 양육해야 하는가에 관심을 두었다면
우리나라는 자녀가 어떻게 부모를 봉양해야 하는가에 더 관심을 둠.(자녀됨의 도리 강조)

 

 

 


1. 고대사회(삼국시대)의 부모교육

 

  • ⌜삼국사기(三國史記)⌟
    : ‘궁실보수에 15세 이상 징발’ 기록에서 15세가 아동과 성인의 경계였음을 알 수 있음.

  •  ⌜삼국유사(三國遺事)⌟
    : 자녀에 대한 부모의 양육관보다도
    부모에 대한 자녀의 효(孝)가 강조됨.
    ⇨ 가부장적 전통 속에서 자녀는 부모에게 예속된 존재였음.

 

 

 


2. 중세 고려사회의 부모교육

 

  • 온전한 존재로서의 영아 : 불교의 영향
    • 동국이상국집
      “사람이 처음 태어났을 때에는 태고의 순박함과 총명함이 단단히 머물러 있고,
      이것은 눈, 귀, 입의 삼감이 굳기 때문에 영아의 기가 올곧다. 
      아직 보고, 듣고, 말하지 않고 혼탁해지지 않은 상태...
      마치 꽃이 아직 피지 않은 듯, 꾸밈도 치레도 없다” 

  • 생득적 아동관
    • 고려사
      “사람과 화복과 귀천은 모두 출생 때에 타고 나니 마땅히 순종하여 받을 것이니”
    • 파한집⌟-
      “대체로 사람은 하늘이 부여해 준 바를 태어나면서부터 가지고 있어...
      이는 모두 자연으로 인한 것이요 
      가죽 끈과 활을 차고 다니면서 훈계를 삼아 고칠 수 없는것이다.” 

  • 태교 강조
    • 태중훈문⌟ 
      : 정몽주의 어머니 이씨, 태교를 목적으로 하는 부모교육 책
    • 태교신기⌟ 
      : 사주당 이씨, 태교하여 자녀를 성공적으로 양육한 경험담.

  • 부모의 역할은 가정에서 자녀를 가사노동과 절기에 따른 예(禮)에 참여하도록 하여 
    자연스럽게 성인생활에 필요한 것들을 가르치는 것이었음.

 

 

 


3. 근세 조선사회의 부모교육

 

  • 영유아는 성인보다 낮은 존재교육을 준비하거나 시작하는 첫 단계로 봄.


  • 아버지의 역할
    : 엄함과 사랑의 병행, 익애와 미움 경계, 공명정대, 은혜와 인정.
    어머니의 역할
    : 의로움, 엄격함, 일관성과 더불어 인애, 후덕, 관용, 지혜, 온양 등
    정서적 지지자의 역할 담당.


  • 연령에 따라 상이한 교육방법 사용(내훈).
    • 태아기부터 자녀양육 시작
      : 태교.
    • 7〜8세 까지
      : 출입, 행보, 언행, 기거, 의복, 음식에 관한 일, 예절, 화목, 덕 배양 등 
      모든 것을 어머니가 가르침.
    • 만 5세부터 엄격한 훈육이 이루어졌으나 그 이전의 양육은 매우 허용적.

  • 어린 시기의 학습의 중요성 강조.
    “일찍부터 가르치는 작업을 게을리 하면서 기르다가 아이가 자라게 되면 비록 뉘우
    친다 하여도 이미 때는 늦은 것이다 ” ⌜내훈⌟

 

 

 


4. 개화기와 식민지 시대의 부모교육

: 급변하는 사회적 변화 속에서 유교에서 탈피하여 여성과 영유아를 보기 시작.

 

 

  • 어린이를 교육의 대상, 계몽의 대상으로 인식
    :방정환, 김기전의 어린이 운동
    ⇒ 어린아이를 부속물이 아니라 훌륭한 한 사람으로 태어나는 존재로 봄.(방정환)

  • 놈, 녀석, 아해, 애로 불리던 영유아에게 어린이라는 명칭 부여
    : 어린이날 등은 우리나라 어린이 권리신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침.
    • 소파 방정환과 잡지 ‘어린이’
    • 양육 관련 서적의 출판, 유치원 교육 시작, 여성교육의 확대

  • 자녀양육에 있어서 신체적 건강과 덕성 교육을 중시.


  • 서구적 부모교육의 시작 :
    이화보육전문학교의 브라운 리를 필두로 1910년경부터 미국에서 일어나고 있던 부모교육이 도입됨.

    • ⇒ 1914~41년까지 ‘모성교육’이라는 과목을 개설하여
      보모가 될 학생들이 졸업 후 어머니교육을 할 수 있도록 준비시킴.

    • 1915년 이화정동유치원에서 자모회가 조직되어
      유아교육기관 중심의 부모교육 처음으로 시작됨.

    • 유치원과 교회에 어머니회 조직하여 계몽교육 추진
      : 강연, 장난감 제작, 스크랩 북 제작, 유아식 요리실습, 목욕시키기 실습, 영유아복 제작 워크숍 등

 

 

 


5. 광복과 한국전쟁(6・25) 전후의 부모교육

: 자녀교육에 대한 관심 증가

  • 자녀교육 기사 급증, 새가정 운동
  • 유치원 자모회의 활성화
    : 유아기 발달과 부모역할을 강조하며 부모교육

  • 초등학교 사친회 
    궁핍한 학교 재정 후원 기능

 

 

 


6. 1960〜1980년대의 부모교육

: 산업화, 핵가족화의 진행 등으로 부모교육이 양적・질적으로 큰 변화함.

 

 

  • 새마을 운동
    : 농촌생활개선으로 시작한 것이 전국으로 확대되면서
    부녀자들을 대상으로 자녀교육도 일부 포함됨.

  • 1979년 UN이 정한 “세계 어린이의 해” 이후
    우리나라 유아교육 및 부모교육의 획기적 발전.

  • 유아교육 잡지 및 자녀양육 서적들의 출판
  • 여성단체의 부모교육, 미디어를 통한 부모교육, 학술대회
  • 소득층 가정을 위한 보상교육복지사업의 성격을 띤 부모교육
    : 1985년부터 새세대육영회를 통해 예비부모교육 실시.

 

 

 


7. 1990년대 이후의 부모교육

: 여성의 사회진출 증가, 이혼율 급증, 저출산 등으로 젊은 부모의 관심이 자녀교육에
쏠림.

 

  • 교육기관 운영에 부모들의 적극적인 참여

  • 지역사회 중심의 부모교육 활성화
  •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급속한 확산(고등학교부터, 대학생 대상)
  • 건강가족적 관점에서의 부모역할 강조
    ⇒ 2005년 건강가족기본법 공포, 건강가족지원센터에서 부모교육 실시

  • 아버지 대상의 부모교육 확대

320x10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