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0x100
1. 노년기 친구의 중요성
- 노년기의 친구의 의미
- 친구관계가 가장 상보적이고 평등한 관계,
다른 어떤 관계보다 노인들이 편안함 속에서 자유스러운 소통, 지지, 수용 등을 얻음 - 또래노인을 통한 정서적 지지는
공간적 근접성과 노인이라는 특징으로
비슷한 수준의 신체적 기능 저하를 경험하고 있기 때문에
활동과 의식의 공유가 가능 - 비슷한 연령뿐 아니라,
유사한 자원과 취미, 흥미, 라이프 스타일을 지니고
동년배 집단만이 갖는 고유한 특성인 역사적 사건의 공유 - 친구관계가 사회심리학적인 기능 차원에서 정의하는 편
: 노인들은 공통적으로 친구를 헌신, 상호이해, 호혜성, 잦은 만남, 유사성의 특성을 갖는 사람들이라고 표현
- 친구관계가 가장 상보적이고 평등한 관계,
- 현대사회에서 노년기의 친구의 의미
- 노년기에는 가족을 중심으로 한 사회관계망을 형성하지만,
자녀세대의 비중이 줄어들고 있음 - 상대적으로 비혈연관계망을 중심으로 한 관계에서
심리적, 신체적 안녕을 추구함
- 노년기에는 가족을 중심으로 한 사회관계망을 형성하지만,
- 노년기 친구관계의 효과
- 대부분의 연구에서 이웃이나 친구와의 관계가 좋고,
이웃·친구의 지지가 높을수록
성공적 노화수준도 높아지는 경향을 보임 - 은퇴나 배우자 사망과 같은 생애단계의 전환과정에서
노인에게 든든한 지원망 - 노년기 친구 관계는 자아가치의 재확신과 자아검증을 위한 수단으로 기여
- 노인 자신의 부정적 자기평가로부터 보호
: 능력 있고, 필요한 사람으로 여기는 힘 작용
- 대부분의 연구에서 이웃이나 친구와의 관계가 좋고,
2. 노년기 친구의 기능
- 노인의 행복, 건강 증진 및 독립성에 대한 지지 기능
- 노년기에는 비슷한 가치관을 지닌 동시대적 관계가 중요
- 특히 노인의 친구관계는 노인의 삶의 질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차원
- 노년기 친구관계는 행복, 건강을 증진시키고
노인들을 가능한 독립적으로 기능케 함
- 사회적응에 대한 조력자의 기능
- 노년기 친구관계는 친구, 이웃, 사회동료와의 사회적 연계로
오랜 시간에 걸친 사회적 통합을 증진시켜줌으로써
노년기의 보다 나은 적응을 가능하게 해줌
- 노년기 친구관계는 친구, 이웃, 사회동료와의 사회적 연계로
- 자아통합의 기능
- 노년기에는 자아통합의 과제가 주어지는데
자신의 현재의 위치를 깨닫고 적응하며
자신의 인생을 돌아보는 계기가 됨
- 노년기에는 자아통합의 과제가 주어지는데
- 사회화의 기능
- 아동기는 물론 노년기에 이르기까지
사회화는 친구관계의 중요한 속성 - 노년기 친구는 삶의 전환기에 있어
새로운 역할 모델 즉, 친구를 통해서
자신의 현실의 위치를 더 잘 깨닫게 되고,
배우자 상실, 은퇴, 조부모 됨에 있어서의 역할모델이 되기도 하고,
자녀에 대한 기대와 자신의 행동에 적응하는 법을 배우게 된다.
- 아동기는 물론 노년기에 이르기까지
- 사회적 지지 제공 기능
- 노년기 친구관계는 사회적 지원의 측면에서
도구적 지원보다는 정서적, 사교적 지원의 제공자 - 즉, 친구는 동료애와 즐거움의 자원, 사교욕구의 만족, 필요한 아이디어와 정보 제공
- 노년기 친구관계는 사회적 지원의 측면에서
3. 노년기 친구의 성차
- 성별 친구의 특성
- 주요 초점
- 남성들은 공통성(Commonality) 중점
: 성격, 가치 ․ 태도의 유사성, 어떤 행동에 같이 참여하기 - 여성들은 상호성(reciprocity)에 더 중점
: 얼마나 서로에게 호감을 갖는가?
- 남성들은 공통성(Commonality) 중점
- 주요 특성
- 남성:
비슷한 활동이나 관심에 기초.
어렸을 때부터 경쟁을 즐기며,
지위를 얻기 위해 독립성을 주장하는 특성이 있어
신뢰감보다는 경쟁심이 강조됨.
따라서 여성들에 비해 친구 수도 적고,
친구에 대한 의존도도 낮으며,
상호 신뢰하는 친구관계 유지를 어려워 함 - 여성:
친구관계가 친밀하고 정서적으로 공감.
서로에게 긍정적인 정체성 제공.
서로 간 취미, 충고, 정서, 존경, 때로는 선물을 나누며 호혜적 관계임
- 남성:
- 주요 초점
- 성별 노년기 친구관계 의미
- 남성노인
- 외형상 자신의 감정을 제어 억압하여
서로 감정을 드러내지 않는 형태를 띠면서
행동이나 규범을 엄격하게 준수함 - 노인들은 친구로부터 고독감과 소외감 같은
불유쾌한 감정에 대해 보호 받음 - 그들의 친구 사이에는 상호간에 어려울 때 위로를 해 주거나
인정을 베풀며, 정감적 교류와 경제적 지원, 물질적 도움 등의 교환을 통해
호혜적 관계로 발전시키기도 함 - 그들이 생각하는 이상적인 친구는
도덕적 정감이나 신뢰감에서 비롯되나
실제 상호작용하는 정감의 정도를 통해 친밀한 관계의 성격을 가짐
- 외형상 자신의 감정을 제어 억압하여
- 여성노인
- 여성노인의 경우
남성 노인들에게 발견할 수 없는 정형화되지 않는 친밀한 관계와 정감을 가짐 - 남성 노인들이 자신의 가정에 관한 일을 밝히는 것을 주저하지만
여성들은 친구 간에 허물없이 문제를 이야기하는 상대가 됨 - 여성 노인들은 친구들 통해
그들의 이상향, 행복, 고뇌, 소외감, 걱정거리 등을 적극적으로 밝힘 - 여성의 친구 관계는 문화적으로 정의된 성의 역할로 인해
신뢰, 우정, 취향 등에서 적극적으로 표현함
- 여성노인의 경우
- 남성노인
320x100
'필기-교양 > 노인과 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인과문화] 문화 속 노인과 친구 - 행복한 노년을 위한 친구 (0) | 2021.09.25 |
---|---|
[노인과문화] 문화 속 노인과 친구 - 노년기 친구 만들기 (0) | 2021.09.25 |
[노인과문화] 문화 속 노인과 친구 - 친구의 개념 및 의미 (0) | 2021.09.25 |
[노인과문화] 문화 속 노인과 가족 - 노년기 노부모와 성인자녀 (0) | 2021.09.14 |
[노인과문화] 문화 속 노인과 가족 - 노년기 부부관계 (0) | 2021.09.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