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0x100
1. 노년기 여가를 보는 시각
우리사회에서 노인 여가활동에 대한 시각
- 노년=소외된 인간이라는 등식으로
노인을 사회로부터 분리 - 사회에서 더 이상 필요한 존재가 아닌 부담스러운 부양자로 보고,
노인 또한 새로운 무엇인가를 꿈꾸는 것은 금기사항을 어긴 것처럼 생각 - 내가 이와 같은 노년기를 산다면?
- 나의 점검
: 노인들은 몸도 약해지고, 사회흐름도 잘 따라오지 못하니
무엇을 새롭게 시도하거나 일을 만드는 것을 별로 탐탁치 않게 여기지는 않은지? -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조사
:” 젊은 사람도 젊은 사람 나름이듯이, 노인도 노인 나름이다.
왜 노인은 무조건 아무것도 모르는 사람이라 생각하는지...“ - 노년기의 여가시간은 할 일 없이 보내는 것은
노년기 삶에 참 의미가 없으며
행복하지 않는 시간의 연속이라 할 수 있다.
2. 노년기 사회적 활동 욕구
- 노인의 사회적 욕구
- 다음의 시를 감상해보자. 이 시는 박성룡의 停年(정년)이라는 시의 전문이다.
사람(人)이 일손 놓고
亭子(정자)에 드는 나이를
停年(정년)이라 했던가
어느덧 나도 停年(정년)자청하고
丁字(정자)에 들어 칩거한다.
살만한 곳 찾아 헤맨
옛 李重煥(이중환)의 擇里志(택리지)로 치면
이곳이 복지인가 피병지인가
無風(무풍)하기 그지 없는
나의 현주소
이젠 진정
地番(지번) 고정하고
物慾(물욕) 고정하고
살고 싶다.
亭子(정자)밖 일들은
나와는 別無關(별무관)련한 채
또 하루해
저물어 가고 - 시를 통해서
인간이 노인이 된다고 해서 세상 관심으로부터 떠나 사는 존재가 아님을 알 수 있고
현실적인 여건 때문에 세상으로부터 분리되어 정자에 칩거하며 아무 일 없이 사는 것이
오히려 서글픈 삶임을 역설하고 있다. - 그러므로 노년기에 여전히 우리는 이 사회에 소속되고 이 사회에서 우리가 할 수 있는 역할을 찾
거나 만들어가야 한다.
- 다음의 시를 감상해보자. 이 시는 박성룡의 停年(정년)이라는 시의 전문이다.
3. 활기찬 노년기 여가활동 사례
- 활기찬 노년생활 사진 모음
- 가족이나 여러 사람들과 함께 하는 모습
- 야외 등 외부에서 활동하는 모습
- 봉사, 배움, 취미, 운동, 일하는 모습
* https://www.youtube.com/watch?v=h5n4B0jzUz4 <출처>진해노종합복지관 YouTube
- 93세 할머니의 놀라운 춤
- 즐겁고 신나게 노후를 보내는 모습이 보기 좋을 뿐 아니라, 그
들의 삶에도 긍정적인 효과가 높다. - 그러나 노년기의 여가가 단순히 즐거움만 추구하는 오락형 여가활동만은 아님
- 사람은 꿈을 꾸지 않음으로 비로소 늙어간다는 말처럼
크던 작던 새로운 도전이 노년기 여가에 포함되어야 한다.
* http://www.youtube.com/watch?v=hjHnWz3EyHs
- 즐겁고 신나게 노후를 보내는 모습이 보기 좋을 뿐 아니라, 그
- 새로운 도전의 시기
- 아직은 사회적으로 노년기에 새로운 것을 도전하는 것에 낯설은 눈빛을 보낸다.
그러나 노년기는 살아왔던 인생보다 더 의미 있고 아름답게 살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므로 노년기 삶에서 주어진 시간을 지금까지 살아왔던 삶과는 다르게
그러나 삶에서 쌓았던 경험을 활용하여
좀 더 의미 있고 가치 있는 인생의 후반부를 설계하는 것처럼 멋있는 삶은 없을 것이다. - 물론 어떤 것을 꼭 성취할 필요는 없다.
노년기에는 무엇을 이루기보다 남기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는 것처럼
각자의 삶을 통해 어떻게 살아왔는가를 후손에게 남겨주는 것,
그래서 그 후손이 정신적 유산을 이어가는 것이 필요하겠다. - 작은 것이라도 무엇인가 도전하는 노인의 모습을 보자.
- 늦깍이 공부하는 모습
- 아직은 사회적으로 노년기에 새로운 것을 도전하는 것에 낯설은 눈빛을 보낸다.
- 노인자원봉사
- 의미 있는 노년기 여가로 노년기 생활 만족과 긍정적 자아상 갖게 함
- 소속된 사회에 적극적으로 참여 기회 제공으로 사회통합을 이룸
- 사회적 지위와 새로운 역할 부여하여 자긍심 갖게 함
- 축적한 경험과 지혜를 활용하여 공익사업 유휴인력 제공으로 사회발전 기여
- 봉사하고 보호를 제공하는 주체일 수 있음을 보여주어 노인 이미지 변화
* https://www.youtube.com/watch?v=LpjXayk0mcw
- 어르신 놀이터
- 노인 맞춤 놀이기구 설치와 족욕장, 정자 등 돌봄·휴식·놀이·운동·문화를 아우르는 어르신 힐링 공간
- 노인 여가생활은 노인 개인의 노력만이 아닌, 사회적 관심과 지원이 필요함
- 어르신 놀이터는 건강한 일상생활과 더불어
‘놀이터’라는 공간 안에서 다른 노인들과 어울림으로써 정서적, 사회적 욕구 충족도 기대됨
* https://www.youtube.com/watch?v=-3ePPAjb-fc
4. 여가활동 지침
<잘 놀기 위해 배워야 할 10가지>- 유경, 2005, 마흔에서 아흔까지 中
- 내게 맞는 취미 와 여가활동을 찾자.
- 어떤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이 되기보다 목표자체로 만족감을 얻을 수 있는 활동
- 경제적 사정, 건강상태, 생활철학과 맞아야 함
- 이와 같이 전체적인 특성을 놓고 자신과 맞추어 보아야 함
- 어떤 활동이든 꾸준히 하는 것이 제일 중요하다.
- 꾸준한 활동을 통해 얻는 것이 훨씬 많고, 그 과정에서 예기치 못한 소득을 얻을 확률이 높다
- 한 우물을 파다보면 ‘전문가’라는 뜻밖의 보너스를 얻기도 한다. 맨손체조법을 개발해 오랫동안 해
오던 어르신이 그 체조를 그림으로 그려넣은 책자를 만들어 물리치료사에게 검증 받다 동년배 어
르신에게 보급하는 자원봉사 강사가 됨 - 건강을 취미로 꾸준히 하다고 전문가가 되고 덕분에 더욱 즐겁고 보람 있는 노년을 가지게 됨
- 여가활동도 일찍부터 배우고 훈련한 사람이 잘한다.
- 여가활동에 대한 지식과 기술이 적어도 중년기까지는 습득 되어야 노년에 이르러서도 잘 이용할
수 있다. - 먹고 살기 바쁘다고 미루기만 할 것이 아니라 여가활동에 대해 적극적으로 생각하고 배울 기회를
가져라
- 여가활동에 대한 지식과 기술이 적어도 중년기까지는 습득 되어야 노년에 이르러서도 잘 이용할
- 혼자 하면서도 여럿이 함께 할 수 있는 활동이 좋다.
- 혼자만의 영역에 사회적 관계가 더해져서 경험의 폭이 몇 배로 확대될 수 있음
- 반대로 혼자 하는 활동도 일부 있어 짝이 없을 때라도 할 수 있는 활동을 만듦
- 배우자와도 따로 또 같이가 좋다.
- 각자의 취향에 따라 자유롭게 활동하면서 마음 맞는 프로그램에만 참여하는 따로 또 같이가 좋다.
- 여가활동의 궁극적 목적은 행복이므로 상대방의 의사를 최대한 존중해야 하며 상대방에게 자신의
취미와 여가활동을 강요해서는 안된다.
- 혼자 놀기를 즐겨라
- 혼자 노는 것을 배우지 못하면 늘 누군가에게 시간과 관심을 구걸할 수 밖에 없다.
- 음식점도 혼자 들어가 보고, 영화도 혼자보는 것을 일정한 날을 정해 혼자만의 시간으로 떼어 놓을
필요 있다. - 처음에는 어색하지만 혼자 노는 것을 자꾸 연습하면 또 다른 즐거움을 느낄 수 있는 데 특히 혼자
놀기는 노년준비 항목임
- 다른 세대와 함께 어울리자
- 연령을 뛰어넘어 여가활동을 같이 할 수 있는 친구를 만들면 세대간 이해의 폭이 넓어지고 동년배
와 나눌 수 없는 새롭고 신나는 일을 경험
- 연령을 뛰어넘어 여가활동을 같이 할 수 있는 친구를 만들면 세대간 이해의 폭이 넓어지고 동년배
- 내 식대로 즐긴다.
- 여가활동을 유행에 따르지 않고 자신을 중심에 놓고 자기에게 잘 맞는 지 살펴볼것
- 내 속도로 걷는 일은 무엇보다 소중함 왜냐하면 그 안에 내 삶의 가치와 방향, 그리고 정신이 녹
아 있기 때문
- 사회적 여가에 눈을 돌리자.
- 개인의 발전과 만족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사람을 위해 시간과 능력, 정성을 쓰는 것은 노년
의 삶을 더욱 아름답게 함 - 자녀세대나 손자녀에게 이보다 좋은 산교육은 없음 또한 사회에 기여할 뿐 아니라, 노인 이미지
개선에 도 한 몫 함
- 개인의 발전과 만족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사람을 위해 시간과 능력, 정성을 쓰는 것은 노년
- 여가활동을 배우는 데 너무 늦은 때란 없다.
- 늦은 때란 없다. 단지 습득 속도가 나이가 들수록 늦을 수 있음으로 가급적 빨리 시작하라는 것이다.
- 일흔에 시작해도 평균수명이 80시대이니 10년은 즐겁게 활용할 수 있다. 지금 바로 시작하면 남
은 날들 중 제일 빨리 시작하는 것이다.
320x100
'필기-교양 > 노인과 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인과문화] 문화 속 노인과 일, 은퇴 - 노년기 퇴직 (0) | 2021.10.22 |
---|---|
[노인과문화] 문화 속 노인과 건강 - 노년기 우울 (0) | 2021.10.17 |
[노인과문화] 문화 속 노인과 여가 - 노년기 여가의 이해 (0) | 2021.10.11 |
[노인과문화] 문화 속 노인과 여가 - 여가의 이해 및 실태 (0) | 2021.10.11 |
[노인과문화] 문화 속 노인과 사랑(성) - 노년기의 성 관련 사회문제 (0) | 2021.10.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