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0x100
신노년문화의 정의
자립적이고 적극적으로 살고자 하는 노인들이 추구하는 라이프스타일
신노년문화의 필요성 및 역할
- 노년의 생활방향 제시
노년의 잠재력 개발과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노년의 생활방향으로 주체적인 삶을 통해 즐거움을 찾도록 함 - 미래를 대비하는 활동
주체성을 강조한 모델을 제시함으로써
미래에 발생할 수 있는 고령화 문제를 미리 예방함.
신노년문화의 등장 배경
- ‘고령화 위기론’ 대항
- 고령화 위기론
: 급속한 인구고령화에 따른 노인에 대한 부정적 인식 팽배
급속한 노인인구 증가 → 신체능력 상실, 근로소득상실 → 경제적 의존 → 노인 = 의존 = 사회적 약자 → 사회적 부담, 사회적 보호, 부양 및 돌봄 대상으로 비노동의 잉여집단 - 신문 사설에 실린 노인 담론을 통해 본 ‘고령화 위기’
- 노인의 소외와 빈곤, 자살 등 노인의 현실에 대한 내용
- 국민연금제도, 기초노령연금,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등 노인복지제도에 대한 내용
- 저출산 ․ 고령화 현상에 대한 내용
- ‘고령화 위기론’에 대한 대항
- 노년의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사회참여의 가능성 강조를 통한
노년의 새로운 역할 강조 - ‘상실과 저하’에 초점을 맞추고
‘의존적 시기로서의 노년’에 대한 부정적 고정관념에 일조해온 기존의 노년 담론에 대항
→ 능동적, 자립적인 주체로써의 노년 - 현재와 미래 노년층이 지닌 잠재력과 문제 예방을 강조함
→ 노인을 생산적 자원으로 활용 가능성 강조. - 과거의 의존(차별과 배제), 사회적 부담 대신 건강하고 성공적이며
사회에 기여하는 활동적인 노인을 지향
- 노년의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사회참여의 가능성 강조를 통한
- 고령화 위기론
- 노년층의 질적, 양적 변화
- 신노년의 질적 변화
- 신노년층
: 기존의 의존적이고 수동적인 노인 이미지를 탈피해
여가·취미생활에 관심을 가지며, 보다 주체성을 갖춘 세대 - 이전 노인세대에 비해 건강하고 경제적 여유 有
→ 활동적이고 적극적이며 개척적인 움직임이 활발해짐
- 신노년층
- 베이비부머의 노년 진입
- 1955년생~1963년생 : 약 730만명 → 이전 세대에 비해 건강
- 학력↑(고졸 55.6%, 대졸이상 20.4%)
- 경제 성장과 함께 아파트, 해외여행, 자가용 등
우리 사회의 소비문화를 창출해 옴 - 경제적 여유가 있음에 따라
여가활동과 문화 측면에서도 소비성향 ↑ - 정보화에 대한 이해가 깊음
- 신노년의 질적 변화
대중매체를 통해 드러난 신노년문화
- 젊고 건강하고 활발하고 적극적이며
경제적으로 자립하려는 노인들의 모습을 다룸. - 성공적 노후에 대한 학계의 관심과 맥을 같이함.
- New Ageism의 또 다른 예
- Ageism
: 늙었다는 이유로만 노인들에게 고정관념의 틀을 씌우거나 차별하는 조직적 행태
(Robert Butler, 1969) - New Ageism
: 현대 사회에서 불이익을 당하는 노인들의 지위를 향상시키고
노인들의 욕구를 강조하기 위한 의도로
노인들을 옹호하기 위해 주장되는 개념 - TV 프로그램에서 등장하는 활동적이고 능동적인 노인
- 꽃보다 할배(tvN
- 디어마이 프렌즈(tvN)
- 나발레라
- 읽어볼 거리
: 김은준(2017). ‘미디어가 표방하는 고령화 사회의 바람직한 노인상: 환영받
는 시민으로 노년을 보낼 사명’, 한국언론학보, 61(3): 157-188
- Ageism
320x100
'필기-교양 > 노인과 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인과문화] 신노년문화 - 바람직한 노년문화를 위한 제언 (0) | 2021.12.11 |
---|---|
[노인과문화] 신노년문화 - 신노년문화 뒤집어보기 (0) | 2021.12.10 |
[노인과문화] 신노년문화 - 노인문화 이해하기 (0) | 2021.12.10 |
[노인과문화] 문화 속 노인과 죽음 - 좋은 죽음을 위한 죽음준비교육 (0) | 2021.12.10 |
[노인과문화] 문화 속 노인과 죽음 - 웰다잉(Well Dying) (0) | 2021.12.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