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상적 사고 개념
추상적 사고는 개념형성과 현상을 추상적 개념으로 다루고 범주화 및 일반화함으로써
머릿속으로 미리 상상하여 계획을 세우거나
오감을 통한 직접적인 자극상황을 넘어서서 상상할 수 있는 능력으로
해결되어야 할 문제가 주어지는 상황에서 잘 관찰될 수 O.
추상적 사고(Abstract Thinking)는
전체적이고 정보를 현상이 아닌 머릿속으로 생각의 방식으로 논리적, 분석적 사고하여
추상적 개념이나 현상을 원리적으로 설명하는
철학자나 사상가 및 평론가로서 잠재력을 보일 수 O.
현재 보이는 대로가 아닌 추상적인 사고로 현상에 대한 가능성을 탐색하여
목표에 대한 전략을 구상하고 지향하는 미래지향적인 일에 잘 기능할 수 O.
눈에 보이는 현상은 서로 공유할 수 있기 때문에
구체적인 특성이 발달한 사람들은 함께 협력하는 일을 어려워하지 않지만
개인의 생각은 여러 사람과 공유하기 어려운 특성이 있어
추상적인 특성이 강한 사람들은 함께 일하는 것보다 혼자서 일하는 특성을 보임.
추상적 사고의 접수가 높으면
책을 많이 읽는 태도를 보이며
어려운 책도 원리나 개념을 쉽게 이해하며 읽는 특성을 보인다.
이성적 사고와 지적인 활동을 선호하며
이론과 논리전개 및 유추 등 보이지 않는 추상적 분야에 대한 관심과 참여도가 ↑.
추상적 사고 점수해석
추상적 사고 점수가 -3표준편차 이하인 29점 이하인 경우
눈에 보이지 않는 원리나 정보들을 개념별로 나누어 사고하고
정보를 분석하고 계획하고 추론하는 인지기능이 매우 약하고
스스로 계획하고 판단하는 능력이 약할 수 있어
조금만 깊이 생각해야 하는 과제에 어려움을 보일 수 있으므로
적절한 대처를 위해 전문가의 의뢰가 요구됨.
추상적 사고 점수가 -2표준편차 이하인 30~39점인 경우
눈에 보이는 감각정보에 의한 사실정보보다는
눈에 보이지 않는 원리나 개념을 정보별로 나누어 사고하고
정보를 분석하고 계획하고 추론하는 인지기능이 다소 약할 수 있고
스스로 계획하는 능력이 약할 수 있으며 깊게 생각해야 하는 과정에 빨리 싫증을 보일 수 O.
추상적 사고 점수가 표준편차인 40~59점인 경우
눈에 보이지 않는 원리나 개념적 정보들을 개념별로 나누어 사고하고
정보를 분석하고 계획하고 추론하는 인지능력이 대체로 잘 기능할 것으로 여겨지나
45 이하인 경우 다소 추상적 인지가 약할 수 있으니 많은 독서활동을 권한다.
추상적 사고 적성에 따른 강점/약점/전략
A: 적성특성
강점
모르는 것은 구체적인 교육 없이도 참고도서 둥을 참고하여
스스로 원리를 알아가며 연구하는 알아가는 방식을 선호한다.
현상이 아닌 머릿속에서 일어나는 원리적 사고 발휘 기능이 우수하여
어떤 일에 대한 구상 기획 전략설계 판단 및 결정 능력이 우수.
그리고 정보들을 있는 그대로가 아닌 가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하고
목표를 세우고 이루기까지의 기획을 구상하는 능력이 우수.
약점
핵심 줄기를 정확히 파악하는 능력이 우수하지만
세부적이고 구체적인 실습능력이 약할 수 있다.
또한 오감으로 들어오는 자극에 민감하지 못한 경우
현상적인 것보다 추상적 또는 목표나 주제 지향적이어서
주변 동료나 부하 직원들의 어려움을 관찰하지 못하거나 혼자 일하는 것을 좋아하고
자상함이 낮고 현실감각이 약할 수 있으며
소소한 대화보다 현학적인 특성을 보일 수 O.
전략
실제적인 경험보다 지나치게 책만 읽고 머릿속으로만 추론하는 것에 심취한 개인에게는
현상에서 타인과 어울리고 체험하며
오감으로 들어오는 자극들에도 민감하게 지각하는
듣고 보고 맛보고 냄새 맡고 조작하는 감각에 민감성을 키워 줄 필요가 有.
현실감각이 없으면 눈치 없는 느낌을 주어 왕따가 되기 쉽지만
역시 구체적으로 느껴지지 않아 본인은 잘 느끼지 못할 때가 有.
추상적 사고 성격에 따른 강점/약점/전략
P: 성격특성
강점
성격은 사소한 작은 사건들에 반응하지 않고
별로 중요하지 않아 중요한 것은 이거야 라고 생각하면
그 생각에 외의 것은 중요하지 않다고 판단하여 크게 신경 쓰지 않는 특성 有.
합리적이며 작은 것에 크게 진지하지 않아 목표로 여기는 중요한 것에 효율적으로 집중 가능.
약점
머릿속 생각 기능이 더 발달하여
대인관계에서 오감으로 들어오는 지각적 정보를 섬세하게 처리하지 못해
사람들에게 별 관심이 없는 사람으로 보여질 수 O.
관찰력이 약하여 부인이 머리를 바꾸었는지 집안이 무엇이 변했는지 눈치채기 어려울 수 O.
전략
갈등 문제가 생겼을 때
정서적 지지나 순차적 방법 제시보다는
생각의 전환 전략을 세우는 것이 효과적.
생각을 바꿔주기 위한 원리적 설명을 모색해야 할 것.
추상적 사고 학습특성에 따른 강점/약점/전략
L: 학습특성
강점
원리나 개념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
학원이나 과외에 의존하지 않아도 스스로 교과서를 보면서 공부할 수 있는 능력 有.
많은 시간 공부하지 않아도 공부하는 시간이 매우 효율적이어서 시간 대비 성적이 우수.
혼자 연구하듯 알아가는 수업이 좋지만
어릴 때부터 그런 기회를 주지 않고 학원이나 과외에 의존하면
주도성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여 우울하고 성적이 오히려 더 좋아지지 않을 수 O.
약점
경우에 따라 자신이 좋아하는 영역에 시간을 너무 많이 쏟게 되어
시간 내에 하기로 했던 공부를 하지 못하는 경우 有.
예를 들어 수학 문제 하나를 가지고 며칠을 꿍꿍대며 풀고 있을 수도 O.
전략
세부적인 내용보다는 큰 구성의 틀을 보여주는 원리적 수업이 효과적.
즉 이들은 책의 목차를 읽어 내려가면서 이미 교과서의 반절은 이해한 셈이 되며
교과서의 목차를 공부할 때 매우 중요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학습자.
'필기-교양 > 성인학습 및 상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인학습및상담] 성인학습상담의 개념 및 특성 - 상담 외 문제해결기법 (0) | 2021.11.21 |
---|---|
[성인학습및상담] 성인학습상담의 개념 및 특성 - 성인학습상담 (0) | 2021.11.21 |
[성인학습및상담] 성인학습의 실제: APL 활용 - 현상적 사고(Fact Thinking) (0) | 2021.11.14 |
[성인학습및상담] 성인학습의 실제: APL 활용 - 변칙처리(Random Processing) (0) | 2021.11.14 |
[성인학습및상담] 성인학습의 실제: APL 활용 - 순차처리(Sequential Processng) (0) | 2021.11.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