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필기-복지경영/사회복지자원 개발 및 전략

[사회복지자원개발및전략] 사회복지자원개발과 지역사회 - 지역사회 자원개발과 사회자본

2021. 10. 16.
320x100

 

 

1. 사회자본의 개념

 

  • Bourdieu
    지속적인 관계의 연결망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실제적이고 잠재적인 자원의총합
  • Coleman
    합리적 선택이론에 근거하여 사회구조에서 형성된 자본으로서
    그 구조안의 개별적행위 주체들이 어떤 행동을 하게끔 촉진시키는 것
  • Putnam
    사회구성원들이 상호이익을 위해
    조정과 협력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경제적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것

 

 

 

 

2. 국외 사회자본 관련 연구의 주요 개념 및 구성요소

출처: 강종수(2012)

 

  • Bullen and Onyx (1997)
    지역사회 참여, 사회에서의 적극적 활동력, 
    신뢰와 안전의 감지, 이웃관계, 가족 및 친구관계, 다양성의 포용력, 삶의 가치, 작업관계

  • Forrest and Kerns (2001)
    권한 위임(empowerment), 참여, 결사체적 활동과 공동의 목적,
    지지적인 네트워크와 상호부조, 집합적인 규범과 가치, 신뢰, 안전, 소속감

  • Narayan and assidy (2001)
    집단의 특성, 규범화, 사람들과의 어울림, 일상생활에서의 사회활동,
    이웃과의 관계, 자원봉사활동, 신뢰

  • Grootaert, Narayan, Jones, and Woolcock (World bank, 2004)
    집단과 네트워크, 신뢰와 단결성, 집단적 활동과 협력,
    정보와 의사전달, 사회적 응집성과 포용력, 권한과 정치활동

  • Dudwick, Kuehnast, Jones and Woolcock (2006)
    Grootaert 외(2004)에 의해 진행한 World Bank의 사회자본 측정의 6영역: 
    집단과 네트워크, 신뢰와 단결성, 집단적 활동과 협력, 
    정보와 의사전달, 사회적 적응성과 포용력, 권한과 정치활동에 대한 질적 분석

  • 미국의 Saguaro Seminar (2000)
    신뢰, 친구관계의 다양성, 정치참여, 시민 리더십 및 유관기관 참여, 
    비공식적 사회유대, 기부 및 자원봉사, 신앙활동참여, 시민참여의 평등

  • 캐나다의 PRI (2003)
    사회자본의 요소를 사
    회적 네트워크의 구조적 속성과 기능적 속성의 두 가지범주로 구분하여 
    개인적 차원(개인네트워크)과 집합적 차원(조직, 단체내 네트워크와 조직, 단체간 네트워크)으로
    측정지표를 나타냄

  • 영국의 ONS (2003)
    사회적 참여, 사회적 네트워크 및 사회적 지원, 호혜 및 신뢰,
    시민참여, 지역사회에 대한 견해

  • 박희봉·김명환 (2001)
    규범, 신뢰, 집단내 협력, 정보공유

  • 소진광 (2003) 
    신뢰기반, 네트워크, 사회적 규범, 참여기회, 이타적 성향 및 포용력

  • 정기환 외 (2006)
    사회적 교환과 보상, 협동, 경쟁, 갈등

  • 홍영란(2007) 
    시민의식 및 사회참여, 신뢰 및 관용성, 네트워크 및 파트너십

  • 한상미 (2007)
    네트워크-교량형, 결속형, 연계형, 호혜성-비즉시성, 비등가성,
    간접성, 신뢰-업무신뢰, 신뢰행동, 가치신뢰, 도덕신뢰

 

 

 

 

3. 사회적자본의 특성

 

  1. 사회적자본은 주체들 간의 관계 속에 내재
  2. 끊임없는 교환과 신뢰. 인정.
    일반적 호혜성(generalized reciprocity) 속에 유지
  3. 형성. 유지 관리의 어려움. 불안정성
  4. 참여주체, 거래빈도 높을수록 축적
  5. 등가원칙, 동시교환의 원칙에 예외적임

 

 

 

 

4. 사회적자본과 지역자원개발과의 관계

 

  1. 사회자본이 기부활동 증진에 미치는 영향
    : 사회자본의 구성요소인 네트워크 혹은 신뢰가 각각 기부행위에 미치는 영향
    • 참고연구) 강종수(2012) 실증적 분석사례
      : 중소도시의 지역사회자본이 기부를 중심으로한 복지자원개발에 미치는 영향분석결과
      • 대상 : 강원도 소재 중소도시 S시 279명대상 조사
      • 결과
        • 중소도시의 경우,
          강한 지역응집성과 상호관계망형성을 통해 기부문화가 확산됨
          : 지난 1년간 63.4%가 기부경험
        • 외적동기(이웃이나 동료로 부터의 자극)가 높음
          => 지역내 나눔문화 확산될수록 더 많은 주민의 동참 가능성
        • 적극적 모금요청에 대해 참여하는 지역문화
        • 지역사회자본이 기부에 대한 인식, 태도, 실제 기부횟수, 금액에 중요한 영향을 미침

          참여와 규범 => 기부인식, 네트워크
          => 기부금액, 기부태도 및 인식
          => 기부횟수, 금액
          => 근린지역사회(neighborhood)가 강화될수록 지역사회자본이 확충되어 
               실제 기부로 연결됨

  2. 신뢰와 자원개발
    • Putnam(1998), Brehm andRahm(1997)
      : 신뢰와 사회활동으로서 기부와 자원봉사 사이에는 쌍방적인 관계가 존재한다. 
      즉 지역사회를 위한 활동과 사회기관들에의 참여를 통해 타인과 사회에 대한 신뢰를 배우게 되고,
      타인과 사회에 대한 더 큰 참여를 구축하게 되면
      사람들은 지역사회를 위한 활동 및 사회기관들에의 참여를 더 적극적으로 전개하는 
      선순환적 관계가 있다.
    • 강철희(2004, 2007), Putnam(1993)
      : 시민이 다양한 종류의 사회적 기관에 대한 신뢰를 가질 수 있을 때 
      즉, 일반화된 신뢰를 가질 수 있을 때
      이들 기관에 대한 기부참여가 가능할 수 있게 된다
      : 신뢰의 수준이 더 높을 때 기부의 정도가 더 높아진다
      • 신뢰가 지역사회 발전, 민간 자원 개발을 위해 중요한 사회적자원

  3. 연결망과 자원개발
    • 전신현(1999) : 자원동원이론(resource mobilization theory)에 의하면 충분한 물적,
      인적자원이 동원될 때 집합협력의 가능성이 높다.
      • => 자원이 동원될 때 집합행동으로 초래될 결과의 성공가능성이 높고 그에 따른 전체의
        이익은 커질 것으로 기대하기 때문에 많은 성원들이 집합협력에 참여하게 된다는
        것이다
    • 성원들 간의 연결망이 강할수록 상호교환관계의 연결망이 형성되고 집합협력의 성과로
      공동의 이익이 창출될 가능성이 높다

  4. 네트워크와 자원개발
    • 네트워크가 긴밀하게 구축
      => 자원에 대한 홍보활성화
        => 많은 기부와 자원봉사로 연결가능
    • 네트워크가 잘 구축되어 있고,
      구성원 간의 교류가 긴밀한 지역사회일수록
      정보의 교류가 빈번하고 
      공동 의제의 합의에 이르기가 수월
    • 복지기관들은 지역사회에서 가장 욕구(needs)가 높고 긴급한 사안에
      기부금과 자원봉사 인력을 지원가능 
      => 자원 활용의 효과성 극대화 가능
320x10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