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0x100
행동수정이론
- 이론적 배경
왓슨(Watson)은 1928년 행동주의 심리학을 바탕으로 한
<영아 및 아동의 심리학적 양육>이라는 저서 출간 후
부모교육 강연을 하면서 행동주의 양육법이 미국에서 유행함.
“자녀란 그들 부모가 원하는 대로 만들어지는 한 덩어리의 찰흙이다”
- 자녀의 행동을 학습된 것으로 보며,
환경의 중요성을 강조함. - 행동수정이론에 기초한 양육원리는
훈육과 기본적인 생활습관지도에 현재까지 적용되고 있음.
- 자녀의 행동을 학습된 것으로 보며,
- 행동수정이론의 주요 개념
부모의 역할은 좋은 모델이 되는 것과 자극과 반응의 연합을 잘 통제하는 것임.
==> 좋은 모델을 모방하는 동안 영유아들의 행동이 형성된다고 함.
- 인간의 모든 행동이란 관찰 가능한 것이며
적합한 훈련으로 획득되는 것이라고 함. - 자녀의 행동과 습관은 학습된 것으로 간주하고,
생물학적인 유전은 전혀 인정하지 않음. - 인간을 연구하는 유일한 정당한 방법은
인간의 행동을 체계적으로 관찰함으로써 가능하다고 봄.
- (예) 친구 못 사귀는 아이
--> 자아개념 혹은 자신감 부족 때문이 아니라 친구 사귀는 기술을 훈련해야.
- (예) 친구 못 사귀는 아이
- 부모-자녀 관계란 자극과 반응을 주면서 자녀의 행동과 습관을 만들어가는 관계.
- 인간의 모든 행동이란 관찰 가능한 것이며
- 부모교육에의 적용
- 목표행동의 선정
- 자녀에게 길러주고 싶은 행동이 있거나
또는 문제가 되는 행동을 수정하고 싶을 때에는
제일 먼저 목표행동을 선정해야 함. - 목표행동이 분명치 않으면 효과를 거둘 수 없음.
- 수정하고자 하는 목표행동이 여럿일 경우에는
빈도수를 파악하여 발생빈도가 높은 것부터 수정하는 것이 좋음.
---> 발생빈도가 높은 행동은 관찰 분석이 용이하고 수정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음.
- 자녀에게 길러주고 싶은 행동이 있거나
- 관찰과 기록하기
- 영유아의 행동 수정 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기록하는 것.
- 가정에서는 사건 중심 관찰기록법을 사용할 수 있음.
- 기록 시 빈도, 지속성, 강도 등을 객관적으로 기록해야 효과적인 행동수정이 가능함.
- 문제행동을 촉진하는 자극과 감소시키는 자극이 무엇인지 기록하는 것 필요함.
- 행동의 분석
관찰 기록된 자료를 가지고 아동의 행동을 분석하는 일로,
행동을 유발하는 선행자극과 행동 그 자체,
그리고 행동 뒤에 오는 후속자극을 찾는 과정임.
- 예) 엄마가 동생과만 놀아준다(선행자극)
> 동생을 때리거나 발로 찬다(문제행동)
> 엄마가 야단을 친다 또는 달랜다(후속자극 : 강화와 벌)
- 예) 엄마가 동생과만 놀아준다(선행자극)
- 강화와 벌 사용하기
목표행동이 정해지고 객관적 자료가 수집되면 행동주의 원칙들을 적용함.
지속시키고 싶은 행동은 더 자주 일어나도록 강화해 주고, 소멸시키고 싶은 행동은 일종
의 벌을 사용함으로써 감소시킴.
- 강화
: 바람직한 행동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대상물을 제공하거나 없애는 것.
- 정적강화
: 기대하는 효과가 나타났을 때 자녀에게 보상을 주어 그 행동이 다시
일어날 가능성을 증가시키는 것. - 부적강화
: 바람직한 행동을 못하게 만드는 방해요인이나 자녀가 싫어하는 자극
을 제거함으로써 바람직한 행동이 일어나게 하는 것.
*** 부적강화 에서 ‘부적’은 나쁜 의미가 아니라 단지 아이의 바람직한 행동에 방해되는 자
극을 없앤다는 의미임. - (예) 잡곡밥을 안 먹는 경우 --> 잡곡을 잘게 부숴 제공
받아쓰기 점수를 잘 받은 경우 쓰기 숙제 면제
- 정적강화
- 벌
: 원하지 않는 행동을 소거 또는 감소시키고자 할 때,
영유아가 행동의 결과에 대해 불쾌하거나 혐오스러운 자극을 제공하는 것.
: 벌 사용 시 분노나 반항심 유발하기 쉽고,
벌을 주지 않으면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이 다시 일어날 확률이 높음.
: 벌주는 것 자체로는 아이의 행동을 완전히 바꿀 수 없으므로
정적강화를 쓰는 것이 바람직함.- 격리하기
: 공격적 행동이나 파괴행동에 대하여 다른 사람의 관심이 보상을 주게
된다는 믿음이 있을 때, 아이가 속한 집단에서 분리시키거나 즐거움을 주는 공간에서 떨어
져 있게 하는 것. - 과잉교정
: 잘못된 행동이 지나칠 때 효과적이며 강화를 제공할만한 반응을 볼 수
없거나 효과적인 강화인자가 없을 때 사용함.
- 격리하기
- 강화
- 목표행동의 선정
320x100
'필기-교양 > 부모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모교육] 부모교육이론과 프로그램 - 체계적 부모효율성훈련(STEP) (0) | 2021.11.11 |
---|---|
[부모교육] 부모교육이론과 프로그램 - 부모효율성훈련 이론(PET) (0) | 2021.11.11 |
[부모교육] 부모교육이론과 프로그램 - 상호교류분석 (0) | 2021.11.11 |
[부모교육] 부모교육이론과 프로그램 - 인본주의 부모교육이론 (0) | 2021.11.11 |
[부모교육] 부모교육이론과 프로그램 - 민주적 부모교육이론 (0) | 2021.11.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