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필기-교양/부모교육

[부모교육] 부모교육이론과 프로그램 - 적극적 부모역할훈련(APT)

2021. 11. 11.
320x100

 

 

 

적극적 부모역할훈련(APT)

 

  1. 이론적 배경
    • 팝킨(Popkin)
      : 1983년 아들러와 드라이커스, 로저스, 고든, 기노트, 앨리스, 에릭슨의 이론에 근거하여 
      1990년대에 필요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함.

    • 부모가 자녀를 인격적으로 대하되
      가정의 리더로서
      주도권과 권위를 가지고 양육하는 것을 강조함.
    • 인종과 문화를 초월하여 각 가정에서 공통으로 일어나는 문제를 다루어
      세계 속의 민주시민적 자질을 길러주고 
      가족화목활동과 생활인의 기술을 가르쳐주는 것을 목표로 함.


  2. 주요개념
    • 부모역할에 대한 신념
      • 자녀교육을 잘한다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 자녀교육을 잘한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 가족 내에서 지도적 역할을 할 사람은 자녀가 아닌 부모임.
      • 현대사회에서 생활하는데 필요한 기본 자질인 
        용기, 책임감, 협동심과 자존감을 길러야 하는데 
        이를 위해 부모들은 적극적으로 부모교육을 받아야 함.


  3. 자녀양육의 원리

    적극적인 부모 군주형, 허용형 민주형 부모유형 중 민주형을 이상적인 것으로 추구.

    군주형과 허용형의 중간 이상의 의미를 가지는 적극적인 부모유형으로
    자녀에게 한계 내에서 자유를 허용하고 
    가족 개개인을 모두 중요한 구성원으로 여기기 때문에 민주적 질서가 있는 가정을 이끔.
    자녀 이해하기 자녀의 행동의 목적을 이해하는 것이 必.

    자녀의 행동목적
    : 접촉, 힘, 보호, 물러서기
    긍정적 행동
    : 기여하기, 독립심 발휘하기, 주장하기, 용서하기 등
    부정적 행동
    : 관심끌기 힘 행사하기, 보복하기, 부적절한 행동 보이기 등
    용기 북돋우기 자아존중감
    : 자신이 능력 있고 사랑받으며 성공할 것이라는 신념에서 비롯됨.

    성공신념은 위험을 감수할 용기를 가지게 되나
    자존감이 낮고 실패할 것이라고 여기면 절망과 두려움에 빠짐.
    자녀의 기를 꺽지 말고(부정적 기대감, 지적하기, 완벽주의, 과잉보호 등)
    자신감을 키워주는 것이 필요함.
    책임감 부여하기, 자녀의 견해나 충고 구하기, 개입하고 싶은 충동 물리치기 등
    책임감 발전시키기 책임감이란 행동을 선택하고 그 결과를 수용하는 과정이므로
    선택의 자유를 주는 것이 필수적.

    방법
    : 정중히 요청하기, 나-전달법 사용, 자연적 귀결과 논리적 귀결 사용하기
    협동심 구하기 사회 속에서 타인과 협동하는 것과
    한 팀에 소속될 수 있는 마음을 배우는 것이
    현대사회를 사는데 必.

    적극적 의사소통을 통해 도울 수 O.
    의사소통의 방해요인 제외하기(의사소통의 걸림돌, 이면적 메세지) ⇨ 적극적 경청 및 나-전달법 사용하기 ⇨ 대안 찾아 실행하고 결과 모니터링
    민주사회에서의 
    적극적 부모
    민주사회에서 요구하는 부모역할은
    화목하고 민주적인 가정이 되도록 리더십 발휘하는 것.

    언론의 자유 허용하기
    : 가족 간 의사결정에 자녀의 발언권 허용
    가족회의
    : 가족구성원들이 동등한 자격으로 참여하여 가족의 문제를 해결하고 결정함.






320x10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