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0x100
신생아기란?
보통 생후 2주까지의 시기를 지칭.
신생아기의 발달
- 신체와 운동기능의 발달
- 하루 18~22시간 동안 잠을 자며,
남아가 신장도 약간 크고 체중도 약간 더 무거움.
남여아 모두 신장보다 체중에서 더 큰 개인차를 보임. - 아기의 머리는 신장의 1/4.
- 아기의 뼈는 주로 연골질로 구성되어 있어 연하고 잘 휨.
- 팔 근육이 다리근육보다 발달되어 있음.
- 호흡
: 첫 울음이 첫 호흡. 호흡이 얕고, 불규칙하며, 소리를 냄.
1분에 30~60회 호흡함.(성인의 2배 이상) - 소화 및 배설
: 출생 직 후부터 빨기, 삼키기 등의 행동과 소화에 필요한 기본 효소를 가지고 있음.
1회 수유양은 30~60cc 정도이며 2~3시간 간격으로 하루 7~8회 정도 먹음.
대변의 경우 하루 3~4회(8주경이 되면 하루 2회로 감소), 소변은 생후 2일부터 하루
10~20회 정도. - 체온조절
: 모체에서 일정하던 체온이 출생시 급격한 환경변화로 떨어졌다가
8시간 내에 정상으로 회복.
체온 조절체계가 불안정하고 지방질이 없어 성인보다 더 빠르게 체온을 잃음. - 혈액순환
: 심장고동은 평균 1분에 140회 정도로 빠르나 혈압은 낮음.
- 하루 18~22시간 동안 잠을 자며,
- 감각발달
- 시각
: 눈의 신경 근육은 출생시 완전하게 기능하지 못하나,
출생 후 2일이 되면 동공반사와 눈꺼풀 반사 가능.
1~2주가 지나면 물체에 시선 고정할 수 있음.
생후 15일정도의 신생아도 명암과 색 구분 가능.
출생시 대부분의 신생아가 사시이나 1달 후쯤이면 눈의 협응이 잘 이루어짐. - 청각
: 임신 7개월경이면 청각기능이 거의 완성되어 외부 소리에 반응 할 수 있음.
첫 2~4일 간은 귓 속의 양수 등으로 소리에 반응하지 못하나 곧 소리에 반응함.
cf.) 사람의 목소리 < 여자 < 엄마의 음성에 더욱 반응적. - 미각
: 맛 차이에 대한 반응은 생후 2주일 후에야 나타남. - 후각
: 초산, 암모니아, 오렌지 같은 냄새를 맡게 해본 결과
후각은 잘 발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음. - 통각
: 출생 후 3일 경에 갑작스럽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됨.
아기의 체질에 따라 아픔에 대한 감수성이 다르며,
여아가 더 아픔에 민감.
입술, 이마 등에 아픈 감각을 많이 느끼고 몸통, 팔, 다리, 손 등은 성인에 비해 덜 느낌.
- 시각
신생아의 반사행동
신생아기는 짧은 기간이지만
독립된 생명체로서 움직이며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 능력을 키워나가는 시기임.
신생아의 행동기능은 매우 제한되어 있으며
대부분 반사행동으로
자발적이지 못한 특성이 있음.
반사 종류 | 특징 |
방향 반사 | 신생아가 볼에 가볍게 닿는 물질을 향해 머리를 돌리는 반응. 출생 시부터 나타나며, 신생아기 젖꼭지를 빨아 영양을 섭취할 수 있도록 한다. |
빨기 반사 | 신생아가 입에 닿는 무엇이나 빨려고 하는 것. |
바빈스키 반사 (Babinski reflex) |
신생아의 발바닥을 긁으면 순간적으로 폈다가 오므리는 현상. 중추 신경계통이 미분화되어 나타나는 것으로 추정됨. |
모로 반사 (Moro reflex) |
신생아를 매트에 눕히고 이 매트를 세게 두드리면 사지를 번쩍 들어 쫙 폈다가 활같이 구부려 오므리는 것. |
다윈반사(잡기반사) (Darwin reflex) |
파악반사(Grasp reflex)라고도 함. 신생아가 무엇이든 손에 닿으면 손을 오므려 꽉 쥐는 현상. |
무릎 반사 | 신생아를 엎어서 물속에 넣으면 수영반응을 보이는 것과 무릎을 치면 발을 드는 현상. |
걷기 반사 | 신생아의 겨드랑이를 두 손으로 잡고 발을 바닥에 닿게 하면 무릎을 구부리고 두 발을 번갈아 움직이는 것. |
무릎반사를 제외한 모든 반응은 생후 1년 이내에 사라지며
무의식적, 반사적으로 나타나다가
아동이 성숙해짐에 따라 의식적인 운동으로 변한다.
신생아를 위한 부모의 역할
- 수유
: 출산 후 1~2일에 나오는 초유는
신생아에게 필요한 영양소 뿐 아니라 신생아의 전염병 예방 및 태변 배설을 촉진시키므로
반드시 먹이는 것이 좋음.
- 수유시 유의할 사항
- 수유시간은 신생아의 개인적 시간에 맞춤.
- 엄마와 아기 간에 충분한 애정교환이 이루어지도록 노력
- 인공수유의 경우, 위생관리 및 분유의 온도와 농도 조절 철저히
- 수유 후 트림을 시켜 수유 중에 아기가 마신 공기 제거
- 수유시 유의할 사항
- 잠재우기
: 수면 중 아기가 질식하지 않도록 주의. - 목욕시키기
: 물의 온도는 38~39도, 약 10분간이 적당.
목욕하는 것이 즐거운 시간이 되도록 하고,
목욕 후 온도조절을 잘 해주어 감기를 예방해야함.
320x100
'필기-교양 > 부모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모교육] 자녀발달 단계에 따른 부모역할 - 유아기 부모의 역할 (0) | 2021.10.16 |
---|---|
[부모교육] 자녀발달 단계에 따른 부모역할 - 영아기 부모의 역할 (0) | 2021.10.16 |
[부모교육] 자녀발달 단계에 따른 부모역할 - 태아기 부모의 역할 (0) | 2021.10.16 |
[부모교육] 가족생활주기에 따른 부모역할 - Galinsky의 부모기 6단계 (0) | 2021.09.30 |
[부모교육] 가족생활주기에 따른 부모역할 - Duvall 의 가족발달 8단계 (0) | 2021.09.30 |
댓글